•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2020년도 공공기관 공익신고 접수·처리 현황 >
 
‣ 접수 3,318,441건*, 처리 3,209,095건, 혐의적발 72.1%
   * 2019년(2,800,892건)대비 18.5% 증가
‣ (법률별) 「도로교통법」(81.4%),‘장애인등편의법’(7.8%), 「자동차관리법」(1.3%) 순
‣ (분야별) 안전(84.2%), 소비자이익(11.0%), 환경(2.5%) 분야 순
‣ 위반행위 적발로 2천9백억 원*의 과징금 등 금전적 제재, 포상금 42억 원 지급
   * 2019년(2,242억 원) 대비 30% 증가

□ 2020년 공공기관(511개)*에 전년 대비 18.5% 증가한 약 331만 건의 공익신고가 접수되고, 약 320만 건이 처리돼 2천9백억 원의 과징금이나 과태료 등이 부과된 것으로 나타났다.
   
* 중앙행정기관(47개), 지방자치단체(243개), 교육청(17개), 공직유관단체(204개)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공익침해행위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신고자 보호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해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등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2020년도 공익신고자 보호제도 운영 실태를 조사했다.
 
□ 2020년 한 해 동안 공공기관에 접수된 공익신고는 총 3,318,441건으로 「공익신고자 보호법」 시행 초기(2011년 9월 ~ 2012년)에 비해 8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2020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공익신고 대상법률*이 확대됐고, 공익신고자 보호제도의 인지도**가 꾸준히 상승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2011년 180개 → 2018년 284개 → 2020년 467개 → 2021년 현재 471개
** 2017년 30.6% → 2018년 38.7% → 2019년 44.0% → 2020년 49.2% (국민권익위 인식도 조사)

공공기관 공익신고 접수 추이
 
법률별로는 「도로교통법」 위반 신고가 81.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장애인등편의법’(7.8%)과 「자동차관리법」(1.3%) 순이며, 분야별로는 안전 분야 신고가 84.2%로 가장 많았고 소비자이익(11.0%), 환경(2.5%) 분야 순으로 신고가 많았다.
  
또한 2020년에 새로 추가된 공익신고 대상법률(182개)의 경우 ‘어린이 제품법’, ‘성폭력처벌법’, ‘저작권법’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법률 위반에 대해 총 11,677건의 공익신고가 접수됐다. 이는 일상생활과 가까운 영역에서 발생한 공익침해행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적극적 신고를 보여준다.
 
4
 
□ 한편 각급 공공기관이 2020년도에 처리한 공익신고 3,209,095건 중 72.1%에 달하는 2,315,149건에 대한 혐의가 확인돼 행정처분 되거나 수사기관에 송부‧송치됐다.
  
혐의가 확인된 피신고자에게는 총 2,915억 원의 과징금‧과태료 등이 부과됐는데, 전체 대상법률 중 ‘공정거래법’ 위반 공익신고에 대한 총 부과금액이 1,046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대규모유통업법’의 경우에는 1건에 대해 408억 원이 부과돼 건당 부과금액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법 제정ㆍ시행이후 2020년까지 공익신고로 부과된 과태료, 과징금 등 금액은 약 1조 5천억 원에 이른다.
 
 
5

□ 또한 511개 기관 중 418개 기관(81.8%)에서 공익신고자 보호제도 자체 운영규정(조례, 내부규정 등)을 제정해 공익신고자를 보호 및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0년에는 각급 공공기관에서 공익신고자 보호 자체 운영규정이나 개별 법령‧규정 등을 근거로 13,429건에 대해 총 42억 원의 보상‧포상금을 지급해 공익신고자를 적극 지원했다.
 
□ 2020년 각급 공공기관에서 처리한 대표적인 공익신고 사례로는 ▴(관세청) 마약을 생활용품에 은닉해 밀수입하는 등 ‘마약류관리법’ 위반 공익신고를 접수해 마약사범을 검거 ▴(식품의약품안전처) 불법 의료기기를 제조ㆍ판매하는 등의 「의료기기법」 위반 공익신고를 접수해 업체에 과징금을 부과하고 관계자 수사 의뢰 ▴(특허청) 위조상품을 SNS 라이브 방송으로 판매하는 ‘상표법’ 위반 공익신고를 접수해 위조상품 판매 사실 적발 ▴(해양경찰청) 고래를 불법으로 포획하는 등 「수산업법」 위반 공익신고를 접수해 고래 불법포획 사범 검거 등이 있다.
  
공익신고자에 대한 포상금 지급 사례로는 ▴(공정거래위원회) 공공구매입찰 관련 부당한 공동행위 등 ‘공정거래법’ 위반행위를 신고한 공익신고자에게 2억 5천여만 원 지급 ▴(한국사회보장정보원) 부정하게 사회서비스이용권(바우처)을 발급받는 등 ‘사회서비스이용권법’ 위반행위를 신고한 공익신고자에게 6천여만 원 지급 등이 있다.
 
□ 국민권익위 김기선 심사보호국장은 “공익신고자 보호제도 우수 운영기관에 대해서는 공익신고의 날(매년 12월 9일)에 표창을 수여하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미흡 기관은 컨설팅 등을 통해 중점적으로 지원‧독려해, 공익신고자에 대한 보호와 지원을 내실화 할 계획이다.”라며 “앞으로도 각급 공공기관과 지속적으로 우수 정책을 공유하는 등 긴밀한 상호 협조체계를 유지해 공익신고자 보호제도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37 중고차 매매 평균가격도 자동차365에서 알아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2 119
10436 국민권익위, “체당금 지급대상 근로자 여부는 노무제공의 실질을 살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2 99
10435 재난 시 개인정보 이용 구체적 기준 마련해 재난피해자 정보 보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2 107
10434 50대 연령층 예방접종 사전예약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2 102
10433 여성청소년 생리대 구매권, 잊지 말고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2 108
10432 ‘실시간상거래 방송’, 식품 등 부당광고 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2 57
10431 와플·샌드위치 메이커 일부 제품, 안전기준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1 73
10430 의료기기 부작용 발생 시 피해 배상 기회가 확대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1 70
10429 김포공항에서 보낸 짐, 제주도 숙소에서 찾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1 70
10428 닛산, 기아, 비엠더블유, 포르쉐 결함시정(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1 76
10427 국민권익위, “공무원 적극행정 신청하고 소극행정 신고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1 78
10426 국민권익위, “구직자에게 채용 신체검사 비용 부담 안 돼” 제도개선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1 71
10425 국민권익위 경찰옴부즈만, “현장 출동경찰관, 당사자에게 사전 고지하고 영상 촬영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1 67
10424 “버려지는 음식물 재활용, 국민의견 듣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1 54
10423 쿠팡(주)의 이용약관 상 불공정약관 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1 56
Board Pagination Prev 1 ...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