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여름철 발생 할 수 있는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에 대한 예방수칙 준수 등 당부

안전한 물과 음식 섭취, 조리 위생 준수,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올바른 손 씻기 등 개인위생 실천이 가장 중요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무더위가 시작되는 여름철,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집단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과 지방자치단체는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대응을 위하여 하절기 비상방역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5월 한 달간 총 52건의 집단발생이 보고되었고, 628명이 의료기관에서 치료 받았다(붙임 1 참조). 


   - ‘17~‘19년 평균 62건에 비해 적으나, ‘20년 사회적 거리 두기 시행 후 감소하였던 집단발생이 무더위가 본격화되는 6월 이후 증가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 5월 집단발생 건 수 :  (’17년)51건 → (’18년)62건 → (’19년)72건 → (’20년)8건 → (’21년)52건


□ 집단발생 52건 중 병원체가 확인된 사례는 총 14건이며, 노로바이러스 11건, 그룹A형 로타바이러스 1건, 장독소성대장균 1건, 캄필로박터균 1건이 보고되었다.


 ○ 동기간동안 장관감염증 표본감시를 통해 살모넬라균,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환자 발생 건수가 매주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붙임 2 참조).


 ○ 특히, 하절기에는 온도와 습도가 높아져 세균증식이 활발해지면서, 살모넬라감염증,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병원성대장균 감염증 등이 증가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전국 표본기관의 살모넬라균 및 캄필로박터균 신고현황(‘21.5.2.~6.5.)>

( 단위 : 명 )   



구분

19(5.2.~5.8.)

20(5.9.~5.15.)

21(5.16.~5.22.)

22(5.23.~5.29.)

23(5.30.~6.5.)

살모넬라균

25

37

43

42

45

캄필로박터균

48

62

55

65

89


□ 5월 집단발생 장소는 어린이집에서 집단발생이 24건(46.2%)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음식점 12건(23.1%), 산후조리원, 요양원 등 시설 관련 4건(7.7%), 가족 4건(7.7%) 순이었다. 


 ○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17~‘19년에는 음식점, 시설 및 학교 순*으로 집단발생이 많았으나, 올해는 특히 어린이집에서 많이 발생하는 양상이다.


   * (’17년) 음식점, 시설, 직장 순, (’18년) 음식점, 학교, 시설 순, (’19년) 음식점, 학교, 직장 순


 ○ 올해 하반기에 코로나-19 백신접종 등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완화되면 집단급식과 단체생활의 증가로 학교와 요양병원 등 시설에서의 집단발생이 증가될 수 있어,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등 위생 수칙을 준수하고, 음식은 충분히 익히거나 흐르는 물에 충분히 씻어 먹는 등 안전하게 조리된 음식물을 섭취해야 한다.


 ○ 아울러, 조리도구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설사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음식을 조리하지 않는 등 조리 위생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기

물은 끓여 마시기

채소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을 벗겨 먹기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에 조리하지 않기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 도마 조리 후 소독하고 생선고기채소 도마 분리 사용하기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여름철에는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발생위험이 높아지므로 자주 손을 씻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안전한 물과 음식을 섭취하는 예방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1-06-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13 체인핀 품질 결함으로 파손 위험있는 DAHON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4.04
2912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AllMeInGeld 유아용 잠옷(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5.03
2911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Natava Super Foods 클로렐라 가루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5.03
2910 라벨 미표기된(우유) 성분 함유한 Two bears 귀리 우유 음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5.04
2909 어린이 안전사고 관련 소비자 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5.24
2908 체외용인슐린주입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5.25
2907 천장에서 무너질 위험있는 Monsterrax 차고용 선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6.07
2906 포장 비닐 및 소형 부품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부활절 달걀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6.13
2905 오폐수처리장.폐기물처리시설 작업 중 화재·폭발사고 증가에 따른 경보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6.20
2904 인플루엔자 발생 증가, 아동 및 청소년 예방수칙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17.12.15
2903 가을 수확기 안전수칙 준수로 농기계 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18.10.25
2902 야생 버섯 절대 먹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0.10.22
2901 비상시 이렇게 하면 안전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0.12.02
2900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Pumpkin Pie Spice 호박파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01.29
2899 식품으로 오인할 수 있는 Garnier 샴푸 및 컨디셔너(바나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03.17
2898 증권사 전산장애 발생시 반드시 3가지를 기억하세요!(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06.09
2897 가정 내 어린이 트램펄린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06.29
2896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MDH 커리 가공식품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11.04
2895 콘도회원권 계약 시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11.05
2894 고령소비자, 이동전화서비스 불완전판매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11.16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