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전동휠 대여서비스, 소비자 안전 대책 미흡

- 이용자격 제한 없고, 보험 미가입되어 소비자 피해 우려 -

이 자료는 1월 20일(수)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1월 19일(화) 12시)

 

  전국 유명관광지나 공원 등에서 관광객을 상대로 한 전동휠* 대여업이 성행하면서 소비자 위해사례도 증가하고 있으나 소비자 안전대책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망된다.

                * 전동휠 : 외바퀴 또는 두바퀴가 달린 전기 충전방식의 신종 1인용 이동 수단 1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전동휠 관련 위해사례는 총 31건으로 작년에만 26건이 접수되어 증가하는 추세이다. 위해사례 대부분이 전동휠 주행 중 넘어지는 사고이며, 위해 유형별로 보면 타박상과 골절이 각각 9(29.0%)으로 가장 많았고, 뇌진탕 7(22.6%), 찰과상 5(16.2%) 등의 순이었다.

  도로교통법 상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정격출력 0.59kw 미만의 전동휠은 원동기장치자전거로 분류되며, 운행을 위해서는 원동기장치자전거면허 이상의 운전면허가 있어야 하고,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도로만 주행해야 한다. 그러나 0.59kw 이상 전동휠의 경우에는 출력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차종 분류가 되어 있지 않아 운행기준 적용이 불명확하다.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관광지 및 공원 등에서 영업중인 전동휠 대여점 23업체를 대상으로 대여서비스 실태를 조사한 결과, 10(43.5%) 업체는 나이나 신장을 기준으로 이용을 제한하고 있으나 업체마다 제한기준이 제각각이고, 12(52.2%) 업체는 아무런 제한이 없어 어린이도 쉽게 대여하여 운행하고 있었다.

  22(95.7%) 업체가 안전모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 중 12(52.2%) 업체는 소비자에게 안전모 착용을 권고하지 않았고, 착용을 권고한 10(43.5%) 업체는 소비자가 안전모 착용을 거부해도 대여를 제한하지 않았다.

  또한, 21(91.3%) 업체는 인도나 자전거도로를 주행해서는 안된다는 사실을 안내하지 않아 보행자가 많은 관광지의 경우 인도를 주행하는 전동휠과 보행자가 충돌할 우려가 높았다.

5

안전모 미착용

인도 주행

어린이 탑승

2 

3 

3 

  관광지 등에서 전동휠을 대여하는 소비자는 대부분 초보자로 사고 위험이 높아 이에 대비한 보험 가입이 필요하지만 조사대상 23개 업체 중 19(82.6%) 업체는 가입된 보험이 없었고, 4(17.4%) 업체는 영업배상책임보험*에만 가입되어 있어 사고 발생 시 소비자의 경제적 손실이 우려되었다.

          *영업배상책임보험은 기기 결함 등 사업자(피보험자)의 법률상 책임에 대해서만 배상 책임이 있어 소비자의 운전 미숙이나 도로교통법 위반 등으로  발생되는 사고는 배상범위에서 제외될 수 있음.

  또한, 조사대상 23개 대여점 중 보행자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전동휠에 벨이나 경적을 설치한 업체는 한 곳도 없었고, 야간에도 대여를 하고 있는 16개 업체 중 야간 안전운행에 필요한 전조등 및 미등(후부 반사기 포함)을 설치한 업체는 7개에 불과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전동휠 운전자와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전동휠의 법적 지위를 명확히 하여 운전자격, 주행가능 도로, 주행속도 제한 등 운행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히고, 무분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대여서비스에 대한 안전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한국소비자원은 전동휠의 차종 재분류 및 운행기준 마련, 전동휠 대여 사업자의 준수사항 마련 및 계도, 전동휠 전용 손해보험 상품 개발 등을 관계기관에 건의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6-01-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70 특정 필라테스 업체의 휴업으로 환급·계약해제 상담 크게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3 98
1969 전세사기 피해자에 대한 금융권 자율 경매유예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9 98
1968 새로운 주택청약제도 2월 27일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27 99
1967 권익위, “향후 발생 민원 우려한 관할청의 과도한 건축허가 제한은 위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3 99
1966 경찰청·안전보건공단·배달앱 3사 힘합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8 99
1965 선글라스, 자외선 차단 양호, 사용 환경에 맞는 밝기 선택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9 99
1964 가해자와 피해자간 공모 등을 통한 자동차 보험사기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2 99
1963 하자담보책임기간 따로 정할 경우 계약서에 명시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2 99
1962 금융투자업자의 기업금융 기능 강화 등 경쟁력 강화방안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5 99
1961 “세 살 올바른 식습관 여든까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5 99
1960 집주인 리모델링 임대주택, 은퇴세대가 연금형 선택시 유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9 99
1959 LED등기구, 직류전원장치 등 34개 리콜명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2 99
1958 보건복지콜센터 10년 동안 천백만 콜 상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6 99
1957 폭스바겐, 클럭스프링 결함 리콜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2 99
1956 결핵 ‘피내용 백신’12월 17일부터 전국 보건소 접종 재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5 99
Board Pagination Prev 1 ... 790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