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근 전남 나주시 소재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환자 집단 발생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안전한 음식 섭취, 조리 위생 준수, 유증상자 확인 시 주변 소독 당부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과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최근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집단감염 사례가 발생하였다고 밝히고,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전남 나주시 소재 어린이집에서 6월 4일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혈청형 O157) 환자가 확인된 후, 현재까지 6명의 환자가 확진되었다.


   - 이 어린이집은 등원을 중지하고, 재원 중인 모든 원아, 교사, 조리종사자 등에 대한 진단검사와 환경 검체 및 보존식 검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확진자의 가족들에 대해서도 역학조사를 시행하고 관련 식재료를 추적 조사하는 등 감염 경로를 파악 중에 있다.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의 주요 합병증인 용혈성요독증후군* 증상을 보이는 환자는 없으나(6.7. 오후 기준), 첫 증상 발생 후 최대 3주 이후까지 발생할 수 있고, 발생 시 후유증이 커서 환자들이 용혈성요독증후군으로 진행되는지 관찰하고 있다.


     *  용혈성요독증후군은 전형적으로 소아에서 급성신부전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미세혈관병성 용혈성빈혈과 혈소판감소증이 동반되는 것이 특징임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은 장출혈성대장균에 오염된 소고기·생채소류 등의 식품이나 물 등을 통한 감염 및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하며, 감염 시 심한 경련성 복통, 오심, 구토, 미열 등과 설사가 동반되고, 설사는 수양성에서 혈성 설사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 하절기(6~8월)에 주로 발생하며, 증상은 5~7일 이내에 대체로 호전되지만 용혈성요독증후군 등의 합병증으로 진행 시 치명률이 3~5%에 이른다.



<최근 5년간 (‘16~’20년) 월별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환자 발생 현황 그림 붙임 참조>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등 위생 수칙을 준수하고, 소고기, 야채 등의 식재료는 충분히 익히거나 흐르는 물에 충분히 씻어 먹는 등 안전하게 조리된 음식물을 섭취해야 한다.


 ○ 아울러, 조리도구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설사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음식을 조리하지 않는 등 조리 위생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장출혈성 대장균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위생수칙을 준수하여 조리된 안전한 음식을 섭취하며, 올바른 손 씻기 등 예방 수칙을 잘 지켜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예방수칙>

 

 

 

올바른 손 씻기를 생활화 한다

- 흐르는 물에 비누 또는 세정제 등을 사용하여 30초 이상 손 씻기

- 외출 후, 화장실을 다녀온 뒤, 조리 전, 기저귀를 사용하는 영유아를 돌본 뒤, 더러운 옷이나 리넨을 취급 후 등

안전한 음식 섭취

음식은 충분한 온도에서 조리하여 익혀먹기

* 비 살균 우유, 날 육류 등은 피하고, 소고기는 중심 온도가 72도 이상으로 익혀 먹기

물은 끓여 마시기

채소·과일은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서 벗겨 먹기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 ·도마는 소독하여 사용하기

- 조리도구(채소용, 고기용, 생선용)는 구분하여 사용하기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는 음식물 조리 금지

, 호수 수영장에서 수영할 때, 강물, 호수 물, 수영장물 마시지 않기

유증상자 발생 시 학교, 어린이집 등에서는 신속한 병원 진료 및 환경 소독, 가정에서는 집안 소독하기




[ 질병관리청 2021-06-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71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18.06.12
3470 니카라과 전지역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8.06.12
3469 어르신들, 무더위 때는 논밭일 자제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8 2018.06.14
3468 선풍기 에어컨 사용 전 점검으로 화재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06.14
3467 현대자동차㈜ 싼타페DM·맥스크루즈 차량, 냉매 누출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4 2018.06.20
3466 헬스투데이(주) 디퓨저(코코도르, 헤리티지, 얼반), 어린이보호포장이 되지 않아 교환·환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4 2018.06.20
3465 VTech 모빌 완구(2-in-1 Melodienmobiles), 클램프 파손 가능성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18.06.20
3464 UPPAbaby 유모차 시트(RumbleSeat), 시트 어댑터 분리 현상 발생하여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18.06.20
3463 Eternal Ink 문신잉크(Dark red), 발암 가능성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18.06.20
3462 Radiant Colors 문신잉크(Trial Black), 발암 가능성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06.20
3461 Colorations 크레용(200 extra-large crayons), 유리조각 혼입으로 부상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18.06.20
3460 ECOIFFIER 테이블 완구(Table eveil maxi Abrick), 작은 부품으로 인한 질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06.20
3459 CAN-AM Outlander ATV, DPS 샤프트 파손으로 사고 위험 있어 무상수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23 2018.06.20
3458 Polaris Scrambler ATV, 야간 주행 시 충돌 위험으로 인한 후부 반사경 무상 장착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8.06.20
3457 Polaris Phoenix ATV, 스로틀리미터 파손으로 사고 위험 있어 무상수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18.06.20
3456 Eternal ink 문신잉크(Dark Red),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18.06.21
3455 Eternal ink 문신잉크(Lightening Yellow),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8.06.21
3454 Intenze 문신잉크(Bright Red),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8.06.21
3453 Intenze 문신잉크(Dark Brown),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6.21
3452 Genuine Health의 프로틴바, 금속 조각이 들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0 2018.06.21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