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같은 치수의 고무신을 샀지만 각기 다른 크기 때문에 낭패를 보곤 했던 어머니들, 전구소켓에 전구가 맞지 않아 안간힘을 쓰며 전구를 끼워보려 애쓰셨던 아버지들.....’. 1960년대 초반까지 국민들은 여러가지 도량(度量) 단위 사용으로 많은 불편을 겪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량형을 미터법으로 통일하는 정책을 실시했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우리나라의 미터법 전면 실시(1964.1.1.)를 계기로, 1월 「이달의 기록」 주제를「측량단위, 언제부터 미터법 사용했나?」로 정하고, 관련 기록물을 누리집(www.archives.go.kr)을 통해 19일부터 제공한다. 

이번에 제공되는 기록물은 총 29건(동영상 6, 사진 5, 문서 3, 홍보물 7, 우표 2, 포스터 4, 유물 2)으로, 미터법 실시 경위, 미터법 사용을 위한 계도(啓導) 활동 등 우리나라의 미터법 사용 관련 내용을 보여주고 있으며, 국가기록원 소장 기록물뿐만 아니라 국가기술표준원 및 개인 소장 기록물도 포함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현대적 의미의 도량제도는 1894년 국제미터원기(原器)와 킬로그램원기(原器)를 도입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1902년에는 도량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도량형 규칙」이 제정되었고, 1905년 대한제국 법률 1호로 「도량형법」이 제정되었다. 

1959년 우리나라는 국제미터협약에 가입했으며, 1961년 「계량법」을 제정하여 법정계량의 기본단위를 미터법으로 정하고, 1964년부터 시행토록 했다. 

1962년 국무회의 보고자료에 따르면, 정부기관은 1963년부터 업무·증빙 상의 계량단위로 미터법을 사용하고, ‘미터법 통일운동’을 전개하는 등 미터법의 원활한 실시를 위한 제반작업을 추진했다. 1964년 1월 1일부터는 척관법(尺貫法), 야드·파운드법의 사용이 금지되고 미터법 사용이 전면 실시됨으로써, 기존의 복잡한 도량단위의 통일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정부는 미터법 사용이 국민들의 일상생활에 조기 정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계도(啓導)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길이를 잴때에는 미터(m) 자만 사용하자.”, “바로재고 바로달자 단골손님 늘어난다.” 등 미터법의 사용을 장려하는 각종 표어가 등장했고, 척관법의 불편함과 미터법의 효율성을 홍보하는 문화영화가 상영됐다. 

또한, 미터법 홍보 리플렛 및 해설집을 배포하고, 출판물이나 방송프로그램에도 도량 단위를 미터법으로 표기해 출간·방영했다. 

아울러, 정부는 비미터제 계량단위를 거래 또는 증명에 사용할 경우 1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고, 비미터제 계량기를 쓸 경우에는 2년 이하의 징역이나 5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는 등 강력한 제재조치도 시행했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관계자는 “미터법의 전면실시와 관련된 기록을 통해, 공정한 상거래와 산업의 선진화에 기여했던 도량형 통일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담당 : 국가기록원 콘텐츠기획과 조이현 (042-481-6381), 신경훈 (6392)

 

[행정자치부 2016-01-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797 인체이식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 책임보험으로 배상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3 1
13796 근로장려금 맞벌이가구 소득요건, 단독가구의 두배 수준으로 상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04 1
13795 벤츠 · 스텔란티스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04 1
13794 ’23년도 택배 서비스평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1 1
13793 제로에너지 공동주택으로 주거비 부담 줄여 드려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1 1
13792 대리운전기사가 대리운전 중 사고위험을 실질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도록 보상범위,한도가 확대된 대리운전자보험 상품이 출시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1 1
13791 질병청, 봄철 어린이 체험활동 증가 대비 야외활동 주의 당부, 예방가이드라인 및 교육영상 배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1 1
13790 영·유아 시설 종사자, 매년 결핵 검진 받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1 1
13789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평일 경부선은 안성나들목까지 연장, 주말 영동선은 폐지’ 6월 1일부터 전면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8 1
13788 근로자가 선호하는 국가기술자격 상위 5개 종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16 1
13787 해외직구 소비자 안전강화 및 기업경쟁력 제고방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16 1
13786 심야버스 걱정‧불안, 제도개선으로 안전벨트 ‘딸깍’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16 1
13785 수험생 발 ‘동동’ 큐넷 먹통 2시간, “해결방안 마련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16 1
13784 2024년 4월 강원특별자치도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17 1
13783 질병, 부상 등으로 급히 돌봄이 필요할 때 ‘긴급돌봄 서비스’를 이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17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