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요양생활수당 월 최대 131만 원에서 146만 원으로 인상

▷ 피해등급도 10개 등급에서 5개 등급 체계로 개편

▷ 산재 장해등급 대신 환경오염피해등급 평가 기준 새롭게 마련


환경부(장관 한정애)는 환경오염피해 등급 체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고, 요양생활수당의 지급 기준액을 상향하는 내용을 담은 '환경오염피해 배상책임 및 구제에 관한 법률(이하 환경오염피해구제법)' 하위법령이 6월 1일 개정·공포된다고 밝혔다.


이번 하위법령 개정으로 요양생활수당의 지급기준액은 중위소득의 89.7%에서 100%로 인상된다. 


개인별 요양생활수당 급여액은 지급기준액(중위소득)에 피해등급별 지급비율을 곱하여 결정되는데, 지급비율을 결정하는 피해등급도 10개 등급에서 5개 등급으로 조정된다.


이에 따라, 피해자들이 지원받을 수 있는 요양생활수당 급여액은 올해 기준으로 1등급의 경우 월 131만 원에서 월 146만원으로 11.5% 늘어난다.


아울러, 요양생활수당 급여액이 상대적으로 적은 4등급과 5등급의 피해자는 월 급여 대신 일시금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여 피해자들의 선택권을 확대했다.


올해 기준으로 3년간의 요양생활수당을 일시금으로 받으면 4등급 피해자는 1,264만 원, 5등급 피해자는 526만 원을 받게 된다.


환경오염피해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이 피해자의 전반적인 중증도를 평가하여 결정하는 방법으로 변경된다.


중증도 평가는 피해자가 보유한 질환 중 환경오염 때문에 발생한 질환을 선정하고, 그 질환들에 대해 각각 중증도 점수를 산정한 후 합산하여 피해등급을 결정하는 정량적 평가방식이다.


평가 점수에 따라 1등급부터 5등급 및 등급 외로 결정된다.


등  급  기  준  요양생활수당(중위소득의 %)  1등급  중증도 평가 점수가 90점 초과 100점 이하  47.50% (1,463천원/월)  2등급  중증도 평가 점수가 70점 초과 90점 이하  34.20% (1,053천원/월)  3등급  중증도 평가 점수가 50점 초과 70점 이하  22.80% (702천원/월)  4등급  중증도 평가 점수가 30점 초과 50점 이하  11.40% (351천원/월)  5등급  중증도 평가 점수가 20점 초과 30점 이하  4.75% (146천원/월)  등급 외   중증도 평가 점수가 20점 이하  미지급
 

중증도를 평가하는 지표는 △신체증상 △합병증 △예후 △치료예정기간 등 4가지이며, 의료기관에서 검진·검사한 결과를 토대로 환경오염피해조사단*이 점수를 부여하여 환경오염피해구제심의회**에서 최종 결정한다. 

* 환경오염피해 구제급여를 결정하기 위한 조사 및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 설치하는 기구

** 법·의료·환경 분야 전문가 15명으로 구성되어, 환경오염피해 구제급여 지급에 관한 사항을 심의·결정하는 기구


<중증도 평가 지표 />  평가 지표  정   의  신체증상  환경오염피해로 인정되는 질환으로 인해 겪는 신체적·정신적인 증상의 정도  합병증  2차적으로 더욱 심각한 질환이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정도  예후(豫後)  질환을 치료받지 않을 경우 건강이 악화될 수 있는 정도  치료예정기간  질환의 치료와 요양에 필요한 기간
 

새로운 피해등급 평가 기준을 적용하면, 기존에는 피해등급을 인정받지 못한 피해자 중 50% 이상이 피해등급을 인정받아 요양생활수당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새로운 피해자뿐만 아니라, 기존 피해자에 대해서도 올해 11월까지 피해등급을 다시 평가하여 요양생활수당을 지급할 계획이다.


한편, 환경오염피해 구제급여 개선 외에도 이번 하위법령 개정으로 환경오염피해의 원인에 화학사고가 명확하게 포함된다.


그동안 환경오염피해 배상의 사각지대였던 대기·수질·토양 등 환경오염을 동반하지 않는 화학사고로 발생한 피해도 환경책임보험 등을 통해 배상받을 수 있게 된다.

※ (사례) 안산 소재 아파트형 공장 2층에서 염산이 스며들어 1층 전자업체 자외선(UV) 장비가 훼손('17.3) 되었으나, 매체오염 미발생으로 보험 미보장


박용규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관은 "구제급여액을 늘리고 피해등급 기준을 합리적으로 개선하여 피해자들의 피해 회복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었다"라면서, "앞으로도 환경오염피해 주민들이 피해로 입은 고통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도록 환경오염피해 구제제도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환경부 2021-05-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25 월세시대를 맞아 새로이 개편한 월세통계, 첫 공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3 76
10324 비행기, 버스, 대형시설물 등 안전점검 결과 공개 의무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9 76
10323 탄생의 순간부터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가 시작됩니다”4종의 텔레비전 시리즈 광고 방영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2 76
10322 『일과성 대뇌 허혈성 발작』, 70대 이상 환자수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7 76
10321 앞으로 공간정보이용이 쉬워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7 76
10320 보고 느끼고 체험하는‘찾아가는 양조장’8개소 신규 선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6 76
10319 『급성 신우신염』, 여름철 여성이 더 주의를 기울여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3 76
10318 올해 상반기 주택매매거래량은 61.1만건으로 2006년 이후 최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76
10317 연말이면 지방재정을 한 번에 볼 수 있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8 76
10316 뜨거운 여름『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조심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6 76
10315 11개 해외구매대행 사업자의 전자상거래법 위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6 76
10314 자동차 전용도로 교량 구간에 대피 공간 설치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2 76
10313 “종이계약서는 옛말”…온라인·모바일로 부동산계약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5 76
10312 인터넷으로 제안하면 도로정책으로 "뚝딱!"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8 76
10311 농후발효유 비교정보 생산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3 76
Board Pagination Prev 1 ...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