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올라가는 기온만큼 식품 변질에 주의하세요!

 제품변질 신고 하절기 집중…식품 취급․보관 주의 필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기온이 높아지는 계절 식품변질 가능성 높아지는 만큼 취급·보관·관리 각별한 주의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식약처가 최근 5년간(16~20) 부정불량식품신고센터(1399) 신고 내용을 분석한 결과, 6~10월에 식품변질 신고 가장 많았고* 이는 온·습도가 높은 환경요인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 5년간 식품변질과 관련된 신고 총5,513건 중 2,884건 차지(52.4%)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년신고.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70pixel, 세로 54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5년간 신고.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14pixel, 세로 560pixel

  식품변질과 관련된 주요 신고내용은 ▲이상한 맛과 냄새 ▲제품의 팽창과 변색 등이며, 섭취 구토‧복통 증상을 동반할 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식약처는 부정불량식품신고센터(1399) 신고 내용 식품변질로 오인될 있는 사례들도 안내했습니다.

 

  초콜릿 표면에 흰색 또는 회색의 반점이나 무늬가 생기는 ‘블룸현상’ 제품변질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여름철이 지난  초콜릿에서 흔히 발견되는 물리적인 변화 인체에는 해가 없으며

  닭고기 사용 식품에서 불그스름하게 보이는 속살 변질된 것으로 신고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육류의 근육세포에 있는 미오글로빈이 조리 산소나 열과 반응해 붉게 보이는 ‘핑킹현상’이므로 안심해도 좋습니다.

식품의 변질은 대부분 미생물, 곰팡이 등으로 성분이 변질돼 맛과 냄새 등이 변하기 때문에 식품을 취급·보관하는 유통·소비단계에서 적절한 관리 중요합니다.

  이에 식약처는 다음과 같이 제품변질 예방요령을 안내하여 준수해 것을 당부했습니다.(카드뉴스 별첨)

 

< 제품변질 예방요령 >

 

 

 

◇ 냉장제품은 0~10, 냉동제품은 -18℃이하에서 보관 및 유통

◇ 외관상 이상 있는 제품은 개봉하지 말고 즉시 반품 요청

◇ 구매 후 가급적 빠른 시일내 섭취, 개봉 후 남은 식품 밀봉보관

◇ 야외활동을 위한 도시락은 아이스박스 등을 이용해 10℃ 이하에서 보관·운반,
음식이 상온에서 2시간 이상 방치되지 않도록 주의

 

 





식약처는 소비자가 제품변질을 발견한 경우 제품명, 업소명, 유통기한, 구매처 관련 정보를 확인할 있도록 증거품(제품, 포장지, 영수증, 사진 )  보관하고 즉시 부정불량식품 통합신고센터(1399)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 신고 것을 당부했습니다.


   * 제품변질을 포함해 불량식품으로 의심되는 제품은 부정불량식품 신고전화(1399) 또는 스마트폰은 ‘내손안() 식품안전정보’ 앱으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68 의료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7.26.)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6 18
10267 현대·벤츠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11 18
10266 일상을 잠시 멈추고 마음에 쉼표를 더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16 18
10265 중고차 구입 시 침수 흔적 철저히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26 18
10264 가정폭력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등·초본 교부 제한 신청이 쉬워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30 18
10263 지진, '설마' 하지 말고 미리 대비하고 알아두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5 18
10262 현대·기아·테슬라·벤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27 18
10261 `23년 부동산 보유세, `20년 수준으로 되돌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24 18
10260 해외구매대행으로 구입한 미인증 캠핑용 가스용품 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29 18
10259 표시·광고사항의 통합 공고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30 18
10258 2022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02 18
10257 '22년도 표준하도급계약서 제·개정 주요사항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9 18
10256 내년 노인 단독가구 소득인정액 월 202만 원 이하면 기초연금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3 18
10255 2022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 종합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5 18
10254 올 설명절은 주차걱정 없는 전통시장에서 준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6 18
Board Pagination Prev 1 ...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