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1. “출생신고를 못했다고 화장장려금도 안주다니요, 우리 아기가 사람이 아니라고 부정당하는 것 같아 너무 속상합니다.”
#2. “장기기증 절차를 마치고 화장 후에 장려금을 신청했는데, 신청기한이 지났다고 화장장려금을 줄 수 없다네요. 좋은 일 한 대가로 오히려 지원 혜택에서 소외되는 게 맞는 건지 의문입니다.”
 
□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화장장려금 제도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당초 제도 취지와는 달리 불합리하게 장려금 지급을 제한하거나 불명확한 절차 규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국민고충 해소를 위해 ‘유족 부담 경감을 위한 화장장려금 지급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해 해당 81개 지자체에 권고했다.
 
국민권익위 조사에 따르면, 상당수 지자체가 사망에 따른 최초 화장에 대해서만 화장장려금을 지급하고 ‘분묘 개장 후 화장’을 지급 대상에서 제외했으며 ‘영·유아 등 화장’에 대해 장려금을 지급하지 않았다.
 
또한, 사망자 뿐 아니라 유족의 주소지까지 ‘관내’로 제한해 당초 취지와는 달리 불합리하게 제도 혜택에서 소외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밖에도, 화장장려금 신청기한의 예외를 인정하지 않아 장기기증 절차 이행 등 불가피한 사유로 기한 내 장려금을 신청하지 못한 경우에도 장려금을 지급받지 못했다.
 
또한 지자체 스스로 지켜야할 장려금 지급기한을 정하지 않은 채 지급시기를 자의적으로 결정·지급해 불필요한 유족 고충과 불만을 낳기도 했다.
 
□ 이에 국민권익위는 ▴‘묘지 개장 후 화장’과 ‘영유아 등 화장’을 화장장려금 지급대상에 포함 ▴유족(신청자)의 주소지를 관내로 제한하는 규정 폐지 ▴불가피한 사유로 기한 내 장려금을 신청하지 못한 경우 이를 구제할 수 있도록 신청기한의 예외 규정 ▴지자체가 지켜야 할 장려금 지급기한 명확화 등을 반영해 관련 조례를 개정하도록 해당 지자체에 권고했다.
 
□ 2019년 기준 전국 묘지 면적은 282.2㎢에 달한다. 이는 전국 공원면적 합계(279㎢)보다 크고 전체 학교용지(311㎢)와 맞먹는 수준이다. 이러한 묘지로 인한 국토 훼손 방지를 위해 「장사등에 관한 법률」은 국가·지자체로 하여금 화장 장려시책을 강구·시행토록 하고 있다.
 
이 시책의 일환으로 전국 81개 지자체가 화장장려금 지급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화장장려금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 대부분 관내에 화장시설 또는 공동 화장시설(지자체간 협약)을 설치해 해당 주민들에게 사용료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지원하고 있다.
 
□ 국민권익위 양종삼 권익개선정책국장은 “이번 제도개선으로 화장장려금 지급과 관련한 유족들의 고충과 불편이 상당 부분 해소되기를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국민들이 불편을 겪는 분야를 더욱 적극적으로 찾고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21-05-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95 원윳값 인하에 따른 우유가격 인하 촉구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8 74
3694 레지오넬라증 증가에 따라 다중이용시설 냉각수 관리 철저 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9 74
3693 2016년 7월 29일, 환자안전법 시행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9 74
3692 국토부, 다카타社 에어백에 대한 리콜 확대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8 74
3691 지진 피해주민에 “재해 복구 위한 지적측량수수료 50% 감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9 74
3690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농산물을 식품용으로 판매한 업자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20 74
3689 시중 유통·판매 중인 물티슈 관리 강화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9 74
3688 금융꿀팁 200선 - (17) 신용카드 제대로 활용하기(1) 카드 선택시 고려사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09 74
3687 돔페리돈 및 돔페리돈말레산염 사용상의 주의사항 변경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1 74
3686 동남아 여행자 18번째 지카감염증 확진... 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7 74
3685 “추석연휴, 막힐 땐 이 길로!”…우회로 한 눈에 보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12 74
3684 계란 안전관리는 강화하고 규제는 합리적으로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4 74
3683 장기 사용 김치냉장고, 화재 발생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3 74
3682 여성 생리용품 현황조사 및 안전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24 74
3681 근로․자녀장려금 260만가구에 1조 7천억 원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2 74
Board Pagination Prev 1 ... 675 676 677 678 679 680 681 682 683 68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