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OPERA로 수입검사 과학화‧체계화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15년 수입식품(축‧수산물 및 축산물 가공품 제외) 규모가 수입 금액으로는 155억4천4백만 달러, 중량으로는 1,474만1천 톤이며, 149개 국가로부터 수입되었다고 밝혔다.
○ ‘14년 대비 수입 금액은 6.3%(’14년 146억2천6백만 달러), 중량은 3.9%(’14년 1,418만5천 톤), 수입 국가는 11개국(’14년 138개국)이 늘었다.

□ 지난해 수입 국가 상위 20개국을 분석해보면 수입 금액으로는 호주, 중량으로는 미국, 수입 신고 건수로는 중국이 가장 많았다.
○ 수입 금액의 경우, 호주가 33억3천2백만 달러로 가장 컸으며 미국(30억9천6백만 달러), 인도(9억4천1백만 달러), 네덜란드(6억7백만 달러), 베트남(5억8천만 달러) 순이었다.
- 호주에서는 정제·가공을 거쳐야 하는 식품원료(식물성 유지 등)와 밀, 미국에서는 대두와 밀, 인도에서는 참깨와 두류가공품, 네덜란드에서는 맥주, 베트남에서는 연육이 주로 수입되었다.
※ 연육: 생선을 채육‧가공한 어육살에 염‧당류‧인산염 등을 가한 것
○ 중량의 경우, 미국이 298만 톤으로 가장 많았으며 호주(273만8천 톤), 중국(248만3천 톤), 브라질(131만3천 톤), 태국(67만5천 톤) 순이었다.
- 미국으로부터는 밀과 대두가 주로 수입되었으며 밀과 대두가 주요 식품 원료에 해당하는 만큼 미국은 수입 금액별, 수입 신고 건수별 주요 수입국에서도 각각 2위를 차지하였다.
○ 수입 신고 건수의 경우, 중국이 122,57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미국(61,042건), 일본(36,222건), 이탈리아(20,181건), 프랑스(18,922건) 순이었다.
- 중국에서는 배추김치와 기구류(스테인레스제), 미국에서는 체리와 서류가공품, 일본에서는 식품첨가물(혼합제제)과 기구류(폴리프로필렌),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는 과실주가 주로 수입되었다.
- 수입 금액으로는 1위를 차지했던 호주가 수입 신고 건수로는 17위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수입 신고 한 번에 많은 양이 수입되는 원료성 식품들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한편, 식약처는 ‘14년 4월부터 자체 개발한 사전예측 수입식품검사시스템(OPERA, Observation & Prediction by Endless Risk Analysis)을 활용하여 수입 식품 검사를 과학적‧체계적으로 하고 있다.
○ OPERA가 제품별 수입이력, 부적합 정보, 국내·외 위해정보(회수 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위해도가 높은 식품을 선별하면 해당 식품에 대해 정밀검사를 실시한다.
○ ‘15년 OPERA를 활용하여 수입식품을 검사한 경우 부적합 식품 검색률(0.8%)이 그렇지 않은 경우(0.4%)보다 2배 높았다.

□ 식약처는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위해도가 높은 제품이 수입되지 않도록 안전관리를 강화하여 국민들의 수입식품에 대한 불안감 해소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1-1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10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10.30.)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12
1909 「구직자취업촉진법」 하위법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10.30.~12.9.)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12
1908 공사비 분쟁 완화 지원 방안… 20일부터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9 12
1907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 하위법령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6 12
1906 해외주식 거래할 때 미공개정보 이용 등 불법행위 연루 주의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05 12
1905 스토킹범죄 가해자에게도 전자발찌 채울 수 있게 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7 12
1904 추석연휴에 무료 개방하는 공공주차장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6 12
1903 추석 연휴 문 여는 병의원 및 약국 정보, 이젠(E-Gen)에서 찾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6 12
1902 ‘모바일 연계’ 철도서비스로 철도여행이 편리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5 12
1901 추석 명절 쓱싹 빈그릇에 도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1 12
1900 2022년 자살률(인구 10만 명당 명) 25.2명, 전년 대비 0.8명(3.2%)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1 12
1899 국토위성영상, 쉽고 편하게 활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1 12
1898 2023년 8월 강원특별자치도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3 12
1897 식약처, 일본산 수입 수산물 3단계로 꼼꼼하고 안전하게 관리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4 12
1896 농축산 분야 재난피해 지원 대폭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3 12
Board Pagination Prev 1 ... 794 795 796 797 798 799 800 801 802 80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