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OPERA로 수입검사 과학화‧체계화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15년 수입식품(축‧수산물 및 축산물 가공품 제외) 규모가 수입 금액으로는 155억4천4백만 달러, 중량으로는 1,474만1천 톤이며, 149개 국가로부터 수입되었다고 밝혔다.
○ ‘14년 대비 수입 금액은 6.3%(’14년 146억2천6백만 달러), 중량은 3.9%(’14년 1,418만5천 톤), 수입 국가는 11개국(’14년 138개국)이 늘었다.

□ 지난해 수입 국가 상위 20개국을 분석해보면 수입 금액으로는 호주, 중량으로는 미국, 수입 신고 건수로는 중국이 가장 많았다.
○ 수입 금액의 경우, 호주가 33억3천2백만 달러로 가장 컸으며 미국(30억9천6백만 달러), 인도(9억4천1백만 달러), 네덜란드(6억7백만 달러), 베트남(5억8천만 달러) 순이었다.
- 호주에서는 정제·가공을 거쳐야 하는 식품원료(식물성 유지 등)와 밀, 미국에서는 대두와 밀, 인도에서는 참깨와 두류가공품, 네덜란드에서는 맥주, 베트남에서는 연육이 주로 수입되었다.
※ 연육: 생선을 채육‧가공한 어육살에 염‧당류‧인산염 등을 가한 것
○ 중량의 경우, 미국이 298만 톤으로 가장 많았으며 호주(273만8천 톤), 중국(248만3천 톤), 브라질(131만3천 톤), 태국(67만5천 톤) 순이었다.
- 미국으로부터는 밀과 대두가 주로 수입되었으며 밀과 대두가 주요 식품 원료에 해당하는 만큼 미국은 수입 금액별, 수입 신고 건수별 주요 수입국에서도 각각 2위를 차지하였다.
○ 수입 신고 건수의 경우, 중국이 122,57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미국(61,042건), 일본(36,222건), 이탈리아(20,181건), 프랑스(18,922건) 순이었다.
- 중국에서는 배추김치와 기구류(스테인레스제), 미국에서는 체리와 서류가공품, 일본에서는 식품첨가물(혼합제제)과 기구류(폴리프로필렌),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는 과실주가 주로 수입되었다.
- 수입 금액으로는 1위를 차지했던 호주가 수입 신고 건수로는 17위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수입 신고 한 번에 많은 양이 수입되는 원료성 식품들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한편, 식약처는 ‘14년 4월부터 자체 개발한 사전예측 수입식품검사시스템(OPERA, Observation & Prediction by Endless Risk Analysis)을 활용하여 수입 식품 검사를 과학적‧체계적으로 하고 있다.
○ OPERA가 제품별 수입이력, 부적합 정보, 국내·외 위해정보(회수 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위해도가 높은 식품을 선별하면 해당 식품에 대해 정밀검사를 실시한다.
○ ‘15년 OPERA를 활용하여 수입식품을 검사한 경우 부적합 식품 검색률(0.8%)이 그렇지 않은 경우(0.4%)보다 2배 높았다.

□ 식약처는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위해도가 높은 제품이 수입되지 않도록 안전관리를 강화하여 국민들의 수입식품에 대한 불안감 해소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1-1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18 지하역사 미세먼지, 엄격하게 관리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3 45
2017 지하철 2호선,‘통장매매 등’불법금융예방 동영상 방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31 53
2016 지하철 디지털 성범죄, 빅데이터로 잡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6 14
2015 지하철 승강장 초미세먼지 농도, 쉽게 확인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30 21
2014 지하철역 AED 설치 여부와 위치 등 안내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7 6
2013 직거래 여부·중개사 소재지 등 실거래가 정보 공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1 5
2012 직거래를 통한 지역농업 활성화 기반 마련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1 70
2011 직거래장터에서 제수용품 저렴하게 구입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3 56
2010 직류전원장치, 유아용모자 등 중점관리대상 품목 42개 리콜명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7 122
2009 직업계고 입학부터 취업까지, 모든 정보는「하이파이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9 54
2008 직영주차장 무료이용 등 추석연휴 국립공원 이용 지원 대책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6 7
2007 직장 건강보험료 정산제도 개선으로 한꺼번에 내는 부담 완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31 94
2006 직장 내 괴롭힘, ‘근로복지넷’에서 무료 상담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7 16
2005 직장 내 괴롭힘은 무료교육으로 예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01 16
2004 직장 내 성희롱 피해 경험률 낮아졌으나, 피해자 보호 강화·조직문화 개선 요구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7 123
Board Pagination Prev 1 ... 781 782 783 784 785 786 787 788 789 790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