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최근 기온상승 등으로 병원성 미생물 증식이 활발해지고, 야외 활동이 증가하여 물이나 음식으로 감염되는 세균성장관감염증* 집단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세균성 장관감염증 : 살모넬라감염증, 캄필로박터균감염증, 비브리오균감염증, 병원성대장균감염증 등


   ** 집단발생 : 시간, 장소 등으로 연관성이 있는 2명 이상에서 설사, 복통, 구토 등 장관감염증상이 있는 경우


 ○ 지난 ’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한 방역긴장감 등으로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의 집단발생이 최근 5년 발생 대비 크게 감소하였으나, 올해는 예년 수준으로 더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 통상 하절기(5~9월)에는 집단발생이 그 외 기간(10~4월)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되고 있으며,


   - 작년에는 전체적으로 집단발생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올해는 148건의 집단발생이 신고 되어 전년 동기간(66건)대비 124% 증가하였다.


<월별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현황>

(단위 : )

연도

1

2

3

4

5

6

7

8

9

10

11

12

2019

600

48

35

56

67

72

65

58

49

48

29

35

38

2020*

244

42

9

4

11

8

20

45

27

17

15

21

25

2021

148

20

32

53

43

-

-

-

-

-

-

 

 

*2020, 2021년 현황은 잠정통계로 변동가능


□ 코로나19가 지속되는 상황이지만,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을 조기 인지하여 여름철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대응이 지체되지 않도록, 전국 시·도 및 시·군·구 보건소와 함께 비상방역체계를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운영한다.


   * 제2급감염병 중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제4급감염병 장관감염증(살모넬라감염증, 장염비브리오균 감염증, 캄필로박터균감염증 등)


 ○ 질병관리청과 전국 지방자치단체는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시 신속한 보고와 역학조사 등 감염병 대응을 위한 24시간 업무체계를 유지할 예정이다.


   - 지방자치단체는 평일 9∼20시, 주말·공휴일은 16시까지 비상근무를  실시하고 그 외 시간에는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하며, 질병관리청은 신속한 대응을 위해 24시간 종합상황실을 운영한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집단발생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2인 이상 장관감염증 환자가 발생하면 가까운 보건소에 즉시 신고해 줄 것”과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해 안전한 물과 음식물 섭취(끓여먹기, 익혀먹기),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등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여름철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

 

 

 

   ○ 일반적인 예방수칙

 

   -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 끓인 물 마시기

   - 음식은 충분한 온도에서 조리하여 익혀먹기

   - 채소,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 벗겨먹기

   -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 조리기구는 구분하여 사용하고 조리 후 소독

   -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 음식조리 및 준비금지




[ 질병관리청 2021-04-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53 유화 상태 붕괴된 do organic 클렌징 밀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4.16
4252 어린이가 액체를 섭취할 위험이 있는 Tickit 액상형 모래시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4.16
4251 알코올 함량 기준 초과 가능성이 있는 발효 음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4.16
4250 안전적합성 평가를 받지 않은 안전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4.16
4249 구독형 도시락에서 병원성 세균 검출, 소비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4.16
4248 인공눈물,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4.16
4247 부품 이상으로 낙상 위험이 있는 청소년용 스키 부츠(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4.15
4246 스트랩 앵커 이탈로 부상 위험있는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4.15
4245 소형 자석으로 인한 질식 및 부상 위험 있는 Sucetoy 자석 체스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4.15
4244 살모넬라균 오염 위험이 있는 건조 과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4.15
4243 부품 이상으로 낙상 위험이 있는 청소년용 스키 부츠(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4.15
4242 부품 이상으로 낙상 위험이 있는 청소년용 스키 부츠(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4.12
4241 라벨 미표기 알레르기 유발물질(대두) 함유된 Doritos 과자(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4.12
4240 라벨 미표기 알레르기 유발물질(대두) 함유된 Doritos 과자(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4.12
4239 납이 지나치게 함유된 HOLA 오리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4.12
4238 납 함량기준을 초과한 키 파인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4.12
4237 낙상 위험 있는 Topfun 접이식 스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4.11
4236 과도한 농도의 납이 함유된 아동용 카메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4.11
4235 곰팡이 오염 가능성 있는 Nanosupps 단백질 보충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4.11
4234 강한 알칼리성을 띠는 APGAR 점 제거 크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4.1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