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동 자료는 종단면분석으로 동일한 집단을 대상으로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며,
2019년 기준 혼인 5년차 초혼부부 212,287쌍*을 대상으로 작성함
* '14.11.1.부터 '15.10.31. 기간에 혼인신고 후 5년 동안 국내 거주하며 혼인을 유지 중인 부부

1. 기본 현황

○ 2019년 기준 혼인 5년차 신혼부부 중 혼인신고 후 5년 동안 국내에 거주하면서 혼인 관계를 유지 중인 초혼부부는 21만 2천 쌍
○ 이들 초혼부부 중 아내는 1980년대생이 80.3%(초반 36.3%, 후반 44.0%)로 가장 많았음
○ 5년간 맞벌이를 유지한 부부는 25.6%, 5년간 외벌이 유지 부부는 18.5%임
○ 5년차 신혼부부의 40.7%는 5년간 주택을 소유하지 않았고, 1차년에 주택을 소유하여 5년 동안 주택 소유를 유지한 부부는 28.7%임

2. 5년간 출산·경제활동·주택소유 변화

○ 유자녀 비중은 혼인 1차년 23.0%에서 매년 증가하여 5차년 82.5%임
○ 맞벌이 비중은 혼인 1차년 51.6%였으나 3차년(43.9%)까지 하락하다가 다시 상승하여 5차년 46.6%임
○ 주택소유 비중은 매년 증가하여 혼인 5차년 50%를 초과한 53.9%임

3. 아내 출생연도별 동태적 분석

○ 혼인 5년차 1980년대 초반생 아내의 유자녀 비중은 83.5%(평균 자녀 수 1.16명)이며, 후반생은 84.6%(평균 자녀 수 1.19명)임
○ '80년대생 아내의 경제활동 비중은 혼인 1차년 가장 높았고, 5년 동안 비활동보다 활동 비중이 더 높았음
○ '80년대생 아내의 유자녀 비중은 혼인 2차년 50%를 초과하며, 초반생이 58.4%로 후반생(52.9%)보다 5.5%p 더 높았음

4. 경제활동 변화에 따른 동태적 분석

○ 혼인 5년차 유자녀 비중은 5년간 외벌이를 유지한 부부(86.4%)가 5년간 맞벌이 유지한 부부(82.3%)보다 높았음
○ 유자녀 비중은 5년간 맞벌이·외벌이 유지 부부 모두 혼인 2차년에 50%를 초과하며, 외벌이 유지 부부가 64.7%로 맞벌이 유지 부부(50.4%)보다 14.3%p 더 높음

5. 출산과 주택소유 변화에 따른 동태적 분석

○ 무자녀 부부의 아내 경제활동은 5년 동안 활동이 높은 반면, 유자녀 부부의 아내 경제활동 비중은 혼인 1차년 57.0%였으나 3차년(47.9%)까지 하락 후 다시 상승하여 5차년에 50.9%임
○ 5년간 주택을 소유한 부부의 유자녀 비중이 82.9%로 5년간 무주택(80.7%)인 부부보다 유자녀 비중이 더 높았음



[ 통계청 2021-04-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33 누구나, 무료로, 공항에서 안전체험 할 수 있어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6 82
5632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공유형 모기지 출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8 251
5631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의약품 정보를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30 47
5630 누구나 쉽게 실천하는 산업안전보건교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1 88
5629 누구나 들어보았지만 어떻게 산정되는지 모르는 위약금에 대해 방통위가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07 13
5628 누구나 더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공공 웹‧앱 본격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1 17
5627 뇌종양, 시공간적 유전체 분석으로 정밀의료 실현에 다가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62
5626 뇌종양, 개인 유전체 분석으로 맞춤형 치료의 장을 열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6 93
5625 뇌졸중, 초기 집중재활치료로 일상생활 회복을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9 18
5624 뇌졸중, 초기 집중재활치료가 중요하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30 45
5623 뇌전증 환자, 적극적 치료 및 예방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3 96
5622 뇌전증 치료제(CBD) 등 공급으로 난치질환 치료기회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2 36
5621 뇌·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고위험 노동자에 대한 심층건강진단 지원을 강화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19 19
5620 뇌·뇌혈관 MRI 검사, 뇌질환 의심 등 꼭 필요한 경우에만 건강보험 보장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7 20
5619 뇌·뇌혈관 MRI 검사 필수수요 중심으로 보험기준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6 19
Board Pagination Prev 1 ...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