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세계 말라리아의 날(425) 맞아 말라리아 감염주의 당부

- 내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인천, 경기강원북부) 거주 및 여행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말라리아 예방수칙 준수

- 발열, 오한 등 말라리아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방문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제14차 ‘세계 말라리아의 날*’을 맞아, 본격적인 국내 유행 시기(5월∼10월)에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인천, 경기‧강원 북부) 거주 및 방문객 대상으로 말라리아 감염주의를 당부하였다.


   * WHO에서는 2007년 말라리아의 퇴치를 위한 국제적 협력과 지속적인 관심 촉구를 목적으로 4월25일을 ‘세계 말라리아의 날’로 지정


 ○ 말라리아는 모기를 매개로 열원충이 전파되는 대표적인 모기매개 질환 중 하나로 현재까지 총 5가지 종류*가 인체 감염이 가능하다.


   * 삼일열말라리아, 열대열말라리아, 사일열말라리아, 난형열말라리아, 원숭이열말라리아



< 중국 얼룩날개모기 암컷 성충(좌) 및 유충(우) 그림 붙임 참조>



   - 우리나라에서는 삼일열 말라리아만 발생하고 있으며, 감염되면 초기에 발열과 권태감이 수일간 지속되다가 오한, 발열, 해열 등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 주요 임상증상(2020년) : 발열(96.1%), 오한(77.4%), 발한(50.9%), 두통(46.2%) 등의 순이었고, 그 외 상기도 감염이나 호흡기계(기침, 콧물)‧소화기계(복통, 오심) 증상들도 나타남


   - 국내에서는 휴전선과 인접한 지역(인천, 경기·강원 북부)에서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시기(5~10월)에 말라리아 환자의 90% 이상이 발생하며,


    * 2020년 국내발생: 경기 북부 230(64.6%), 인천 62명(17.4%), 강원 북부 30명(8.4%) 등


   - 치료예후가 좋지 않고 신속한 진단‧치료가 필요한 열대열 말라리아는 주로 아프리카 방문객 등을 통한 국외유입사례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 2020년 국외유입 : 아프리카(26명), 동남아시아(3명)



<국내 말라리아 연도별/월별 발생현황, 2016-2020 및 국내 말라리아 지역별 10만 명당 발생률, 2020 그림 붙임 참조>



   * [붙임2] 말라리아 발생현황 참고


□ 질병관리청은 말라리아 재퇴치를 위해 ▲환자관리 강화, ▲매개모기 감시 및 방제 강화, ▲관련 연구 지속 추진, ▲협력 및 소통체계 활성화라는 4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 중에 있다.


 ○ 말라리아 환자를 대상으로 사례관리, 복약점검 및 완치조사를 수행하고, 말라리아 발생위험이 높은 지역에서 매개모기 밀도조사 및 원충감염 감시, 환자 중심의 집중방제 등을 실시하는 한편,


   - 매년 전년도 환자 발생 현황을 토대로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선정하여 환자 집중관리, 말라리아 예방물품(신속진단키트, 치료제, 모기 기피제 등) 보급, 예방수칙 교육·홍보 등을 수행하고 있다.


 ○ 또한, 열대열말라리아 환자 치료에 필수적이나 아직 국내 도입되지 않은 의약품을 전국 10개 기관*에 비축하고, 의료기관 요청 시 신속히 제공하고 있다.


    * 국립중앙의료원, 부산 중구보건소, 대구 중구보건소, 인천 중구보건소, 광주 동구보건소, 대전 중구보건소, 경기 영통구보건소, 강원 강릉시‧춘천시보건소, 국립제주검역소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에 거주하거나 해당지역을 방문하는 경우 말라리아 감염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모기에 물린 후 말라리아 의심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할 것을 당부”하였다.


 ○ 야외활동 시 모기에 물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야간외출자제, 야간외출 시 긴 옷 착용, 야외취침 시 모기장 사용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해외 위험지역 방문 전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예방약을 복용해야 한다.


 ○ 말라리아 초기 증상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상기도 감염 증상과 유사하고 최근 초기 증상(미열, 오한 등)이 경미한 양상을 보이기도 하므로,


   - 위험지역 거주 또는 방문한 사람이 모기에 물린 후 증상이 나타나거나, 상기도 감염 의심 또는 발열 환자는 말라리아를 의심하여 신속한 검사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
 
 ○ 국내·외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 및 예방수칙 등은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dca.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말라리아 예방수칙>

국내에서는 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5월부터 10월까지 야간(10시부터 새벽 4)에는 야외(야외캠핑, 낚시터 등) 활동을 가능한 자제

야간 외출 시에는 긴 소매, 긴바지를 착용하여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개인 예방법을 철저히 실천

옥내의 모기 침입 예방을 위해 방충망의 정비 및 모기장 사용을 권고하고, 실내 살충제를 적절히 사용할 것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 여행 후 발열, 오한, 두통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가까운 의료기관이나 보건소를 방문하여 진료를 받을 것을 권고




[ 질병관리청 2021-04-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80 연료펌프 커버플레이트 변형 발생하는 현대자동차 투싼(LM) 차량, 기아자동차 스포티지(SL) 차량 무상수리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9 2022.01.03
2879 연료탱크 부식 현상 발생하는 올란도 LPG모델 차량 보증기간 연장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3.08.17
2878 연료 탱크 외부 정전기 방전으로 화재 위험 있는 Polaris ATV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3.02.13
2877 연기를 감지하지 못하는 무선 연기감지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2.06.07
2876 연기 감지 기능 미흡 및 경보 음량 저조한 DIGOO 화재감지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1.11.29
2875 연결나사 파손으로 부상 및 사망 위험 있는 킥보드 회수 및 환급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2.07.11
2874 역회전으로 부상 위험이 전동드릴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0 2017.06.02
2873 역화 현상으로 화재 위험이 있는 Ooni 캠핑용 피자 오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4.02.20
2872 역외보험 가입을 권유받을 때 주의하세요! - 소비자경보(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0.05.25
2871 역류에 의한 질식 위험이 있는 디지털 탕온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4.05.20
2870 여행수요 늘면서 항공 운항 취소·변경에 따른 피해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7.18
2869 여름철에는 벌레.곰팡이 이물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21.07.09
2868 여름철, 캠필로박터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0.07.23
2867 여름철, 에어컨 실외기 화재사고 주의 !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57 2015.08.03
2866 여름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07.28
2865 여름철, 수상레저 활동 중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5 2017.07.07
2864 여름철, 살모넬라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0.08.11
2863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0.06.25
2862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1.06.14
2861 여름철, ‘콘택트렌즈’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7.26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