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잠복결핵감염 미 치료자는 치료 완료자 대비 활동성 결핵 발생 위험 5.7배 높음

 

높은 치료효과(83% 결핵 예방)에도 감염자 100명 중 30명만 치료완료

 

감염자중 1년 이내 활동성 결핵 발생률이 높아 적기치료 중요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2017〜2019년도에 실시된 집단시설 종사자* 대상 국가 잠복결핵감염 검진 사업의 중기 효과**를 발표하고, 결핵 예방을 위해 잠복결핵감염 검진 및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결핵예방법」제11조의 검진 대상자(의료기관, 산후조리원, 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아동복지시설) 및 병역판정 대상자, 고등학생, 교정시설 재소자 등 총 112만 명


   ** 국가 잠복결핵감염 검진사업 및 고위험군 대상관리 중장기 효과분석(연구책임자 : 김주상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잠복결핵감염* 검진을 받은 112만 명을 약 3년 2개월간 추적 관찰한 결과, 잠복결핵감염 양성률은 15.6%(1,120천 명 중 175천명)이며, 연령이 높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에서 양성률이 높았다.


    * 결핵균에 감염되어 몸속에 결핵균이 존재하나 활동하지 않아 결핵으로 발병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감염자의 약 10%가 결핵으로 발병<붙임 1 참조>


 ○ 잠복결핵감염자 중 미 치료자의 결핵 발생률(10만 인년 당 172.3건*)은 치료한 사람(30.1건)보다 5.7배 높았고, 잠복결핵감염 음성자(10.3건)에 비하면 17.2배 높았다.


    * 검진 시점별로 추적 기간이 상이해 분석 시 발생률 사용: 대상자x추적기간=인년


   - 이는 잠복결핵감염 양성자가 잠복결핵 치료를 완료하면 약 83%의 활동성 결핵 예방 효과*가 있다는 의미이다.


    * 잠복결핵감염 양성자 중 미 치료자의 결핵발생 위험 대비 치료완료자의 위험도를 비교한 값


□ 잠복결핵감염 치료와 관련하여, 잠복결핵감염자 17만 5천 명 중 약 10만 6천명(59%)이 의료기관을 방문했고, 이 중 약 6만 6천명(37%)이 치료를 시작하여, 최종 5만 4천여 명(30%)이 치료를 완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은 사례는 고령, 저소득층(의료급여수급권자) 및 평소 동반질환이 없는 경우에서 많았고,


 ○ 치료를 시작하지 않은 사례는 남성, 고령 및 대도시 거주에서 높았으며, 젊은 연령층 및 동반질환이 많은 경우에서 치료 중단 사례가 많아 치료를 저해하는 위험요인으로 분석됐다.


 ○ 또한, 연구기간 동안 활동성 결핵이 발생한 908명 중 62.4%(567명)가 잠복결핵감염 검사 후 1년 이내 결핵 진단을 받았으며,


   - 치료요법 중(9개월, 4개월, 3개월) 중 단기 치료로 시작한 경우 치료 완료율이 높은 반면 치료 효과는 떨어지지 않아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내 잠복결핵감염 치료가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잠복결핵감염자의 각 단계별 현황 및 치료군별 활동성 결핵 발생률 그림 1, 2 붙임 참조>



□ 잠복결핵감염 검진 대상자는 집단시설 종사자 및 결핵 환자의 접촉자 등 고위험군*이며, 가까운 의료기관 또는 전국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고, 잠복결핵감염 치료비는 국가가 부담한다.


<잠복결핵감염 검진 대상자>

집단시설 종사자: 결핵예방법11조 상 명시된 의료기관, 산후조리원, 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결핵발병 고위험군: HIV 감염인, 장기 이식으로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이거나 복용 예정자, TNF 길항제 사용자 혹은 사용예정자 등

  * 가족접촉자는 검사비 무료 전염성 결핵환자의 접촉자, HIV 감염인, 투석환자 등 9개 고위험군 범주에 속하는 경우 검사 본인부담률 3060%

   ** 코로나-19 대응으로 보건소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어 사전 확인 후 방문 필요


 ○ 질병관리청은 잠복결핵감염 검사 및 치료의 질 향상을 위하여 전국 잠복결핵감염 치료 의료기관(560개)을 운영하고 있고, 향후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잠복결핵감염 관리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잠복결핵감염의 진단과 치료는 결핵퇴치의 핵심 이며, 잠복결핵감염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높고, 감염 확인 후 1년 이내 결핵발병률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고 밝히면서,


 ○ “잠복결핵감염을 진단받은 사람은 빠른 시일 내 가까운 잠복결핵감염 치료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을 것”을 권고하였다.


   * 치료 의료기관 명단은 결핵제로 누리집(http://tbzero.kcda.go.kr)에서 확인 가능


 ○ 아울러, 의료인에게는 의료기관에 방문한 감염자가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고, 중단 없이 치료를 완료하도록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를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1-04-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31 2021년 청소년 인터넷ㆍ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4 76
10230 수입 영.유아용 이유식 중금속 검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4 71
10229 모더나 백신 5.5만 회분 5월 31일 도착 예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4 67
10228 방통위, 시·청각장애인용 TV 무료 보급 대상자 5월24일부터 신청 접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4 65
10227 나들이철 맞아 4월에 ‘의류’, ‘숙박’ 소비자상담 전월 대비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1 46
10226 배달음식도 '음식점 위생등급'을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1 68
10225 온라인 달걀 판매업체 등 위생점검 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1 68
10224 올라가는 기온만큼 식품 변질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1 69
10223 예방접종 2차까지 받으면 요양병원·시설 대면(접촉) 면회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1 65
10222 통신판매업자 신고증, 이제 시·군·구청에 가지 않고 집에서도 발급 가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1 69
10221 햄버거 가격, 배달주문 시 매장구입보다 비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0 53
10220 코백스 화이자 백신 29.7만 회분 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0 68
10219 코백스 화이자 백신 29.7만 회분 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0 64
10218 사업용 차량 보험사기 관리 강화로 보험금 누수 막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0 68
10217 소규모 노후 건축물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0 50
Board Pagination Prev 1 ...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 923 Next
/ 92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