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소비자원은 Connectland 헤드폰(CL-AUD63033) 제품이 금속(땜납 부위)에서 납*이 REACH(신화학물질관리제도) 기준을 초과(2.62% 검출)하였으며, 플라스틱 재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EHP)**가 ROHS2 기준을 초과(18.8% 검출)하여 해외에서 리콜되고 있다는 정보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됨에 따라 국내유통 여부를 조사했다.
* (납) 인체 유입 시 두통·빈혈 등 중독증세가 발생할 수 있음.(REACH 기준 : 0.1 % 미만, 국내 기준 : 동일)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생식과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ROHS2 기준 : DEHP, BBP, DBP, DIBP 총 합 0.1% 미만, 국내 기준 : DEHP, BBP, DBP 총 합 0.1% 이하)
조사 결과, 국내 온라인 쇼핑몰에 동일한 제품이 게시,판매되고 있어 소비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판매차단 등의 조치를 권고하였으며, 이에 해당 사업자는 제품의 판매를 차단(2021.3.11.기준)하였다.


< 유해성분이 검출된 Connectland 헤드폰 판매차단 안내 >


1. 대상 제품
- 제품 상세 정보

브랜드Connectland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제품사진.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3pixel, 세로 339pixel
 
※이미지출처 : EC(https://ec.europa.eu)
제품명
(모델명)
Stereo Headset With Microphone
(CL-AUD63033)
제조국중국
바코드번호3700284614548
제품특징- 노랑색과 흰색으로 된 헤드폰으로, 플라스틱 투명 박스에 포장되어 있음.


2. 조치 사유
- 해당 제품은 금속(땜납 부위)에서 납(Pb)*이 REACH(신화학물질관리제도) 기준을 초과(2.62% 검출)하였으며, 플라스틱 재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EHP)**가 ROHS2 기준을 초과(18.8% 검출)하여 스웨덴에서 리콜(’21.2.19.) 됨.
* (납) 인체 유입 시 두통·빈혈 등 중독증세가 발생할 수 있고, REACH 기준 0.1 % 미만이며, 국내 기준 동일함.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생식과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REACH 기준: DEHP, BBP, DBP, DIBP 총 합 0.1% 미만, 국내 기준 DEHP, BBP, DBP 총 합 0.1% 이하)

3. 기 조치 사항
- 해당 제품을 취급한 온라인쇼핑몰 및 해외구매대행업체에 판매차단 조치
※ 사업자는 해당 제품에 대한 판매내역이 없음을 회신함.
 
4. 소비자 유의사항 및 조치 방법
- 해당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 소비자는 즉시 사용을 중지할 것
- 수입·판매사가 확인될 경우에는 연락을 통해 교환, 환급 등의 조치를 받을 것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안전이슈/위해정보 처리속보 2021-04-1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37 2017년 3/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7.11.16
4236 2017년 3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99 2017.05.02
4235 2017년 4/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8.01.22
4234 2017년 4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5 2017.05.22
4233 2017년 5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0 2017.07.19
4232 2017년 6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5 2017.09.18
4231 2017년 7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7.09.18
4230 2017년 8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7.09.18
4229 2017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3.27
4228 2018년 1/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8.05.30
4227 2018년 2/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18.07.25
4226 2018년 보이스피싱 피해액, 역대 최고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19.02.28
4225 2018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7 2019.04.01
4224 2018년 유사수신 혐의업체 특징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18.04.09
4223 2018년 제 2차 생리대 VOCs 자율모니터링 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19.03.11
4222 2018년 해외유입 콜레라 첫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8 2018.07.04
4221 2019-2020절기 인플루엔자“유행주의보 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20.03.27
4220 2019년 4/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2 2020.02.11
4219 2019년 상반기 달라진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해외여행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8.12.28
4218 2019년 유사수신 신고,상담 현황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0.08.0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