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국민권익위원회 경찰옴부즈만은 “경찰관이 직장에 전화해 경찰서에서 본인과 다툰 사실을 알린 것은 부당하다.”라는 고충민원에 대해, “수사나 민원처리 과정에서 제3자에게 사건관계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라며 경찰관에 대해 교육 등 조치를 취할 것을 해당 경찰서장에게 권고했다.
 
□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 경찰옴부즈만은 비록 해당 경찰관이 사과와 합의를 하려는 취지였다고는 하나, 민원인이 동의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건과 무관한 직장에 연락해 경찰서 방문사실 등을 알린 것은 적절치 않다고 판단했다.
 
□ 국민권익위의 조사결과, ㄱ씨와 경찰관은 경찰서에서 말다툼 후 서로 옷자락을 잡는 등 실랑이를 벌였고, 며칠 뒤 경찰관은 사건에 대해 진술하기 위해 경찰서에 방문한 ㄱ씨에게 사과했으나 ㄱ씨는 이를 거절했다. 이후 경찰관은 전화를 걸어 사과를 하려 했지만 ㄱ씨가 받지 않자 결국 ㄱ씨의 직장에 전화를 걸어 직장상사에게 사과와 합의 의사를 전달했다.
 
□ 「범죄피해자 보호법」,「범죄수사규칙」은 경찰관이 피해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수사과정에서 알게 된 비밀을 제3자에게 제공하거나 누설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국민권익위는 이처럼 관계법령에서 사건관계인의 비밀엄수에 신중을 기하도록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건과 무관한 사람의 정보를 조회하는 행위 ▴민원 제기 사실을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고소인의 비공개 요청에도 참고인 조사 시 반복해서 고소인의 성명을 언급하는 행위 등 사건관계인의 정보를 소홀히 다룬 경찰관의 행태에 대해 그간 지속적으로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당 경찰서에 재발방지를 위한 조치를 권고해왔다.
 
□ 국민권익위 강재영 경찰옴부즈만은 “수사 과정에서 경찰관의 고의 또는 과실로 사건관계인의 정보가 유출돼 2차 피해를 당했다는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라며, “국민권익위는 경찰옴부즈만으로서 이러한 민원을 적극적으로 해결해 경찰관들이 피해자 보호 및 비밀 엄수에 경각심을 갖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경찰에 고소·고발을 하거나 수사 과정에서 권익을 침해받는 경우 언제든지 국민권익위
    경찰옴부즈만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신청방법: 민원인의 성명, 주소, 전화번호 및 민원내용을 기재해 접수
|  접수처: 국민권익위 누리집(www.acrc.go.kr), 국민신문고(www.epeople.go.kr)
                방문·우편〔(우30102)      세종특별자치시 도움5로 20. 국민권익위원회)〕
                팩스 044-200-7971
|               전화상담: 국번없이 110




[ 국민권익위원회 2021-04-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15 고령 환자 의료 사고, 10건 중 6건 수술·시술에서 발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7 104
10114 고령소비자 불만상담, 5년 전보다 17.9%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4 41
10113 고령소비자 의약품 선택권 강화를 위한 정책 대안 마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3 42
10112 고령소비자, 정수기 렌탈계약 시 중요정보 확인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31 39
10111 고령소비자, 활발한 전자상거래 이용에 따른 불만 상담 증가 추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3 31
10110 고령소비자에 대한 전자상거래·키오스크 등의 비대면 거래 교육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9 18
10109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의 인지능력진단, 전국 보건소의 치매안심센터에서 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7 21
10108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의 인지능력진단, 전국 보건소의 치매안심센터에서 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7 10
10107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제도를 활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09 9
10106 고령자 낙상사고 주로 ‘침대’에서 발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2 92
10105 고령자 안전사고 10건 중 6건이 낙상사고로 나타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30 11
10104 고령자 특별기획 보도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변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6 17
10103 고령자, 미끄러운 바닥재에서 가장 많이 다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2 82
10102 고령자, 식품첨가물 섭취 평가 결과..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7 6
10101 고령자-유병자-장애인-외국인 등을 위한 금융서비스 개선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2 88
Board Pagination Prev 1 ...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