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코로나 19로 인해 피해가 큰 소상공인들이 행정처분을 받아 행정심판을 제기하는 경우 폭 넓게 구제할 예정이다.
 
예를 들면 영업허가 취소처분 또는 정지처분을 받아 행정심판을 제기하는 경우, 처분이 위법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불합리하거나, 사회통념상 타당성이 결여된 경우 ‘취소처분’을 ‘정지처분’으로, 또는 ‘정지처분’을 ‘감경처분’으로 변경하여 구제하는 경우 등이다.
 
□ 또한, 경제적 사유 등으로 대리인 선임이 어려운 국민들에게는 행정심판 국선대리인 선임을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행정심판제도가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권익구제 수단으로 활용되기 위해 위법‧부당하지 않더라도 청구인의 주장이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도 구제할 수 있는 의견표명제도의 도입도 검토할 계획이다.
 
□ 국민권익위 전현희 위원장은 지난 1, 2월에 행정심판 발전방안 회의를 주재하면서 “국민권익위에 행정심판 기능이 있다는 것은 행정심판이 국민의 권익구제에 무게를 둬야 한다는 것”이라며, “행정심판은 국민의 권익구제를 위해 좀 더 노력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붙임] 제도안내
□ 행정심판제도의 법적 근거
○ 「헌법」제107조제3항,「행정심판법」,「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 (헌법 제107조제3항) 재판의 전심절차로서 행정심판을 할 수 있다. 행정심판의 절차는 법률로 정하되, 사법절차가 준용되어야 한다.
 
□ 행정심판의 종류
○ 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국가기관, 광역자치단체장 등의 처분에 대해 국민이 청구한 행정심판사건 심리·재결(준사법적 기능수행)
○ 17개 시·도 행정심판위원회는 관할 기초자치단체장 등의 처분에 대한 행정심판 사건 심리ㆍ재결
* 기타 조세, 토지수용, 공무원소청 등 관련 행정심판기관이 별도로 설치ㆍ운영됨
 
□ 행정심판의 기능 및 장점
 
○ 행정심판은 ①국민의 권익구제와 ②행정의 자율적 통제라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음
 
○ 행정심판은 단심제로 운영되어 절차가 단순하며 행정소송에 비해 처리기간이 매우 짧고, 심판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행정소송과 달리 위법성뿐만 아니라 부당성까지 검토
* 기각 재결시 : 청구인은 피청구인을 상대로 행정소송 제기 가능
인용 재결시 : 행정심판은 기속력이 있어 피청구인은 위원회의 결정을 반드시 수용


[ 국민권익위원회 2021-04-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63 내상조 찾아줘 홈페이지 시범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8 74
10162 2018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74
10161 노니제품, 수입자가 스스로 안전성 입증해야 수입가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1 74
10160 지방공기업 경영의 책임성·투명성 높아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1 74
10159 피아트사 경유차 배출가스 불법 조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05 74
10158 11월은 종합소득세 중간예납 납부의 달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8 74
10157 환경성 위반 제품, 온라인쇼핑에서도 발빠르게 감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0 74
10156 화장품이 모발성장? 탈모화장품 허위 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09 74
10155 프랜차이즈 관련 법 위반 · 피해구제 방법 국민신문고 문의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9 74
10154 근로․자녀장려금 260만가구에 1조 7천억 원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2 74
10153 여성 생리용품 현황조사 및 안전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24 74
10152 장기 사용 김치냉장고, 화재 발생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3 74
10151 계란 안전관리는 강화하고 규제는 합리적으로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4 74
10150 “추석연휴, 막힐 땐 이 길로!”…우회로 한 눈에 보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12 74
10149 동남아 여행자 18번째 지카감염증 확진... 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7 74
Board Pagination Prev 1 ...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