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청소년 흡연, 음주는 줄고, 탄산음료, 단맛음료 섭취는 여전히 높은 수준

 

   <주요 지표별 결과>


현재흡연율(일반담배(궐련)) : 남학생 ’199.3% ’206.0%, 여학생 3.8% 2.7%

현재음주율 : 남학생 ’1916.9% ’2012.1%, 여학생 13.0% 9.1%

하루 60분 주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 ’1914.7% ’2014.0%

3회 이상 탄산음료 섭취율 : ’1937.0% ’2035.5%

3회 이상 단맛음료 섭취율 : ’1950.4%’2045.8%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제16차(2020)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 발표를 통해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행태에 대한 최근 통계를 공개하였다.


 ○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2005년 도입되어 전국 중ㆍ고등학생 약 6만 명을 대상으로 매년 건강행태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교보건정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고 있다.


 ○ 2020년에는 코로나19 상황에서 표본학교와 협조하여 방역수칙 준수 하에 조사가 진행되도록 하였다.


   * ’19년 조사참여율 95.3%(57,303명/60,100명) → ’20년 94.9%(54,948명/57,925명)


1

 

청소년건강행태조사(2020) 주요 결과


□ 청소년(중1~고3) 흡연, 음주 등 건강행태는 ’19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개선


 ○ 현재흡연율(일반담배(궐련))은 ’19년에 비해 남, 여학생 모두 감소하였고(남자 9.3%→6.0%, 여자 3.8%→2.7%), 전자담배* 현재사용률도 감소하였다.


   * (액상형) 남자 4.7%→2.7%, 여자 1.5%→1.1%, (궐련형) 남자 4.0%→1.6%, 여자 1.2%→0.5%



<현재흡연율 자료 붙임 참조>



 ○ 현재음주율도 남, 여학생 모두 ’19년 대비 감소하였고(남자 16.9%→12.1%, 여자 13.0%→9.1%), 1회 평균 음주량이 중등도(남자 소주 5잔, 여자 3잔) 이상인 위험음주율도 감소하였다(남자 8.2%→5.6%, 여자 7.5%→4.8%).


 ○ 편의점이나 가게 등에서 담배 또는 술 구매를 시도한 학생 중 살 수 있었던 구매 용이성은 ‘19년에 비해 감소하였다(담배 69.0%→67.0%, 술 66.2%→63.5%). 특히 중학생(담배 51.2%→39.4%, 술 46.6%→36.1%)은 10%p이상 크게 감소하였다.



<현재음주율 자료 붙임 참조>



□ 신체활동 감소, 식생활 개선 필요


 ○ 하루 60분 주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남학생 19.9%, 여학생 7.7%로 ’19년 대비 남학생은 소폭 감소, 여학생은 7%대를 유지하였다.


  - 최근 7일 동안 주3일 이상 조깅, 축구, 농구와 같은 고강도 신체활동을 실천한 청소년은 ’19년에 비해 감소하였고, 남학생에서 감소폭이 더 컸다(남자 44.8%→ 37.8%, 여자 18.0%→16.5%). 특히 남자 중학생에서 크게 감소하였다(52.0%→40.8%).


 ○ 주중 학습목적으로 앉아서 보낸 시간은 ’19년 대비 약 50분 감소한 반면(467.4분→ 416.4분), 주중과 주말 학습목적 이외 앉아서 보낸 시간은 각각 1시간, 40분 증가하였다(주중 167.3분→ 229.7분, 주말 284.1분→324.7분). 


 ○ 주5일 이상 아침식사 결식률은 증가 추이를 유지하며, ’19년 대비 증가하였고(35.7%→37.3%), 여학생(39.2%)이 남학생(35.5%)보다 더 높았다.


 ○ 주3회 이상 단맛음료 섭취율(50.4%→45.8%)과 탄산음료 섭취율(37.0%→ 35.5%)은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높았고, 패스트푸드 섭취율은 ’19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25.5%→25.4%).



<주3일 이상 고강도 신체활동 실천율, 주3회 이상 단맛음료 섭취율 자료 붙임 참조>



□ 청소년 손 씻기 실천은 증가하였으나, 칫솔질 실천율은 감소


 ○ 학교 또는 집에서 비누이용 손 씻기 실천율이 ‘19년 대비 모두 증가하였다. 특히 외출 후 집에 돌아왔을 때 비누 이용 손 씻기 실천율은 ‘19년에 비해 12.0%p 증가하였고(77.4% → 89.4%),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남자 87.8%, 여자 91.1%). 


 ○ 학교에서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은 ‘19년에 비해 감소하였고,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았다(남자 24.9%, 여자 40.8%).


□ 우울감 경험, 수면 충족감 개선, 스마트폰 과의존은 4명 중 1명


 ○ 정신건강 지표인 스트레스 인지율은 ‘19년에 비해 감소하였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남자 28.1%, 여자 40.7%). 우울감 경험률도 ’19년에 비해 감소하였고, 여학생에서 감소폭이 더 컸다(남자 22.2%→20.1%, 여자 34.6%→30.7%).


 ○ 주관적 수면충족률도 ‘19년 대비 남, 여학생에서 크게 증가하였고(남자 26.9%→34.7%, 여자 15.4%→25.6%), 중학생이 고등학생에 비해 높았다(중학생 35.7%, 고등학생 25.0%).


 ○ ‘20년 스마트폰 과의존 선별도구를 도입하였고, 청소년 4명 중 1명은 스마트폰 과의존 잠재적 위험군 이상(40점 만점 23점 이상)이었고(25.5%),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남자 21.2%, 여자 30.0%).



<스트레스인지율, 우울감경험률 자료 붙임 참조>



2

 

조사 결과의 의의


□ 교육부 조명연 학생건강정책과장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시행으로 학교 건강관련 예방교육과 생활지도가 어려웠던 점을 감안할 때,


 ○ 본 조사에서 나타난 건강 관련 행태변화가 학생 건강에 미칠 영향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고 적극적인 지도, 교육이 학교와 가정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2020년 조사에서 청소년의 흡연, 음주지표가 개선되었고 신체활동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코로나19의 영향인지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건강행태 변화의 장기적 영향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 “특히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청소년 정신건강을 살펴보고자, 외로움 경험 문항과 범불안장애 조사도구를 추가, 2021년까지 조사하여 정신건강 변화에 대해 심층 분석할 계획이다.”


 ○ “이번 주요결과와 함께 공개되는 원시자료가 관련 분야 통계생산이나 연구에 잘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 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상세 보고서는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누리집(http://www.kdca.go.kr/yhs/)에 원시자료와 함께 공개될 예정이다.



[ 질병관리청 2021-03-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080 국민권익위,“국민들과 함께하는「반부패 10대 과제」온·오프라인 반부패 상담 창구 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5 34
10079 잠복결핵감염 치료 받으면 결핵 예방 효과 8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4 43
10078 이제는 모두가 함께 지켜요, 안전속도 5030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4 36
10077 이제는 고속도로에서도 전기차 초급속 충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4 30
10076 국민권익위, “음주운전자 차량시동잠금장치 및 음주치료 의무화” 제도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4 22
10075 2021년 3월 강원도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4 27
10074 폐업한 영세사업자의 경제활동 재기를 위한 지방세 부담 완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3 32
10073 전자상거래 구입 에어컨, 설치 관련 소비자불만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3 20
10072 의료급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4.1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3 20
10071 「장애인복지법」하위법령 등 개정안 공포ㆍ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3 20
10070 장애인 학대 발견 시, 이제 문자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3 26
10069 입시비리·근로강요 등도 공익신고로 보호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3 20
10068 공정거래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3 25
10067 고용행정 통계로 본 ’21.3월 노동시장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2 23
10066 “이제부터 산재.고용보험 민원 처리과정을 모바일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2 24
Board Pagination Prev 1 ...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 919 Next
/ 9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