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청소년 흡연, 음주는 줄고, 탄산음료, 단맛음료 섭취는 여전히 높은 수준

 

   <주요 지표별 결과>


현재흡연율(일반담배(궐련)) : 남학생 ’199.3% ’206.0%, 여학생 3.8% 2.7%

현재음주율 : 남학생 ’1916.9% ’2012.1%, 여학생 13.0% 9.1%

하루 60분 주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 ’1914.7% ’2014.0%

3회 이상 탄산음료 섭취율 : ’1937.0% ’2035.5%

3회 이상 단맛음료 섭취율 : ’1950.4%’2045.8%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제16차(2020)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 발표를 통해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행태에 대한 최근 통계를 공개하였다.


 ○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2005년 도입되어 전국 중ㆍ고등학생 약 6만 명을 대상으로 매년 건강행태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교보건정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고 있다.


 ○ 2020년에는 코로나19 상황에서 표본학교와 협조하여 방역수칙 준수 하에 조사가 진행되도록 하였다.


   * ’19년 조사참여율 95.3%(57,303명/60,100명) → ’20년 94.9%(54,948명/57,925명)


1

 

청소년건강행태조사(2020) 주요 결과


□ 청소년(중1~고3) 흡연, 음주 등 건강행태는 ’19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개선


 ○ 현재흡연율(일반담배(궐련))은 ’19년에 비해 남, 여학생 모두 감소하였고(남자 9.3%→6.0%, 여자 3.8%→2.7%), 전자담배* 현재사용률도 감소하였다.


   * (액상형) 남자 4.7%→2.7%, 여자 1.5%→1.1%, (궐련형) 남자 4.0%→1.6%, 여자 1.2%→0.5%



<현재흡연율 자료 붙임 참조>



 ○ 현재음주율도 남, 여학생 모두 ’19년 대비 감소하였고(남자 16.9%→12.1%, 여자 13.0%→9.1%), 1회 평균 음주량이 중등도(남자 소주 5잔, 여자 3잔) 이상인 위험음주율도 감소하였다(남자 8.2%→5.6%, 여자 7.5%→4.8%).


 ○ 편의점이나 가게 등에서 담배 또는 술 구매를 시도한 학생 중 살 수 있었던 구매 용이성은 ‘19년에 비해 감소하였다(담배 69.0%→67.0%, 술 66.2%→63.5%). 특히 중학생(담배 51.2%→39.4%, 술 46.6%→36.1%)은 10%p이상 크게 감소하였다.



<현재음주율 자료 붙임 참조>



□ 신체활동 감소, 식생활 개선 필요


 ○ 하루 60분 주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남학생 19.9%, 여학생 7.7%로 ’19년 대비 남학생은 소폭 감소, 여학생은 7%대를 유지하였다.


  - 최근 7일 동안 주3일 이상 조깅, 축구, 농구와 같은 고강도 신체활동을 실천한 청소년은 ’19년에 비해 감소하였고, 남학생에서 감소폭이 더 컸다(남자 44.8%→ 37.8%, 여자 18.0%→16.5%). 특히 남자 중학생에서 크게 감소하였다(52.0%→40.8%).


 ○ 주중 학습목적으로 앉아서 보낸 시간은 ’19년 대비 약 50분 감소한 반면(467.4분→ 416.4분), 주중과 주말 학습목적 이외 앉아서 보낸 시간은 각각 1시간, 40분 증가하였다(주중 167.3분→ 229.7분, 주말 284.1분→324.7분). 


 ○ 주5일 이상 아침식사 결식률은 증가 추이를 유지하며, ’19년 대비 증가하였고(35.7%→37.3%), 여학생(39.2%)이 남학생(35.5%)보다 더 높았다.


 ○ 주3회 이상 단맛음료 섭취율(50.4%→45.8%)과 탄산음료 섭취율(37.0%→ 35.5%)은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높았고, 패스트푸드 섭취율은 ’19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25.5%→25.4%).



<주3일 이상 고강도 신체활동 실천율, 주3회 이상 단맛음료 섭취율 자료 붙임 참조>



□ 청소년 손 씻기 실천은 증가하였으나, 칫솔질 실천율은 감소


 ○ 학교 또는 집에서 비누이용 손 씻기 실천율이 ‘19년 대비 모두 증가하였다. 특히 외출 후 집에 돌아왔을 때 비누 이용 손 씻기 실천율은 ‘19년에 비해 12.0%p 증가하였고(77.4% → 89.4%),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남자 87.8%, 여자 91.1%). 


 ○ 학교에서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은 ‘19년에 비해 감소하였고,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았다(남자 24.9%, 여자 40.8%).


□ 우울감 경험, 수면 충족감 개선, 스마트폰 과의존은 4명 중 1명


 ○ 정신건강 지표인 스트레스 인지율은 ‘19년에 비해 감소하였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남자 28.1%, 여자 40.7%). 우울감 경험률도 ’19년에 비해 감소하였고, 여학생에서 감소폭이 더 컸다(남자 22.2%→20.1%, 여자 34.6%→30.7%).


 ○ 주관적 수면충족률도 ‘19년 대비 남, 여학생에서 크게 증가하였고(남자 26.9%→34.7%, 여자 15.4%→25.6%), 중학생이 고등학생에 비해 높았다(중학생 35.7%, 고등학생 25.0%).


 ○ ‘20년 스마트폰 과의존 선별도구를 도입하였고, 청소년 4명 중 1명은 스마트폰 과의존 잠재적 위험군 이상(40점 만점 23점 이상)이었고(25.5%),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남자 21.2%, 여자 30.0%).



<스트레스인지율, 우울감경험률 자료 붙임 참조>



2

 

조사 결과의 의의


□ 교육부 조명연 학생건강정책과장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시행으로 학교 건강관련 예방교육과 생활지도가 어려웠던 점을 감안할 때,


 ○ 본 조사에서 나타난 건강 관련 행태변화가 학생 건강에 미칠 영향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고 적극적인 지도, 교육이 학교와 가정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2020년 조사에서 청소년의 흡연, 음주지표가 개선되었고 신체활동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코로나19의 영향인지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건강행태 변화의 장기적 영향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 “특히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청소년 정신건강을 살펴보고자, 외로움 경험 문항과 범불안장애 조사도구를 추가, 2021년까지 조사하여 정신건강 변화에 대해 심층 분석할 계획이다.”


 ○ “이번 주요결과와 함께 공개되는 원시자료가 관련 분야 통계생산이나 연구에 잘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 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상세 보고서는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누리집(http://www.kdca.go.kr/yhs/)에 원시자료와 함께 공개될 예정이다.



[ 질병관리청 2021-03-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39 학교 안 다녀도 발달장애학생 방과 후 활동 서비스 이용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17 30
8338 식약처, 설 명절 인기 제품의 불법행위 온라인 집중점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7 30
8337 비엠더블유·르노·포르쉐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25 30
8336 청년취업에 필요한 실무경력 인정 문턱 확 낮아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14 30
8335 ‘자동차 교환·환불 중재제도’ 개선으로 소비자의 권익을 보다 두텁게 보호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6 30
8334 '22년 12월 주택 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31 30
8333 서민·청년층을 속이는 「주택·중고차 미끼용 가짜매물 특별단속」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2 30
8332 최면진정제.마취제, 안전하고 적정한 사용기준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7 30
8331 여름철 모기기피제.제모제, 올바르게 사용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7 30
8330 약자복지를 지원하는 노인일자리 사업, 2027년 노인인구의 10%로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8 30
8329 공공주택사업 부실시공‧전관유착 집중신고 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0 30
8328 중도상환수수료 제도개선을 위한 「금융소비자보호 감독규정」 규정변경예고('24.3.4일~4.15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05 30
8327 빈곤 노인, 여성이 남성의 약 1.5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07 30
8326 ‘24년 2월 주택 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9 30
8325 「폐렴구균 신규 백신(PCV15)」 예방접종 시작(4.1.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01 30
Board Pagination Prev 1 ...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