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0 한국의 사회지표 주요 결과>

1. 인구

○ 2020년 우리나라 총인구는 5,178만 명이며, ‘28년에 5,194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계속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2020년 합계출산율은 전년보다 0.08명 감소한 0.84명으로 ’17년 이후 4년 연속 역대 최저치를 경신함
○ 2020년 수도권 인구는 2,595만 8천 명으로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음

2. 가구·가족

○ 2019년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2.39명으로 '00년 대비 1인 가구 및 2인 가구의 비중은 커지고, 3인 이상 가구의 비중은 줄어듦
○ 2020년 국민 중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51.2%, 이유가 있으면 이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16.8%로,
     각각 2년 전 대비 3.1%p, 0.1%p 증가함

3. 건강

○ 2019년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83.3년임
○ 2019년 사망률(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은 암,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질환 순이며,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은 급격히 증가하다가
     2019년에는 전년보다 0.3명 감소함
      * 폐렴 사망률 변화(명/10만 명): (’05) 8.6 → (’10) 14.9 → (’15) 28.9 → (’18) 45.4 → (’19) 45.1
○ 2019년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흡연율은 20.2%로 전년 대비 0.9%p 감소했으며, 음주율은 57.7%로 전년 대비 0.1%p 감소함

4. 교육·훈련

○ 2020년 초등학교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14.2명), 중학교(11.8명), 유치원(11.4명), 고등학교(10.1명) 순으로 많고,
     중학교를 제외한 모든 학교급에서 전년 대비 감소함
○ 2020년 성인 10명 중 4명은 평생교육에 참여하고 있으며, 참여자 1인당 평균 36만 원을 자부담학습비로 지출함
○ 2019년 25~64세 국민 2명 중 1명은 고등교육을 이수하였으며,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67.1%가 취업함

5. 노동·여가

○ 2020년 고용률은 전년보다 0.8%p 하락한 60.1%, 실업률은 0.2%p 상승한 4.0%임
○ 2020년 8월 기준 임금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률은 공적연금 69.8%, 건강보험 76.7%, 고용보험 72.6%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0.3%p, 1.0%p, 1.7%p 상승함
○ 2020년 15세 이상 국민의 평균 여가시간은 평일 3.7시간, 휴일 5.6시간으로 전년보다 각각 0.2시간씩 증가함

6. 소득·소비·자산

○ 2019년 연평균 가구소득은 전년보다 96만 원 증가한 5,924만 원이고,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246만 원임
○ 2019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0.339, 소득 5분위 배율은 6.25배, 상대적 빈곤율은 16.3%로, 소득분배 정도가
     개선되는 추세를 보임
○ 2020년 가구당 평균 순자산액은 3억 6,287만 원으로 전년 대비 2.9% 증가함

7, 주거

○ 2019년 우리나라의 최저 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중은 전년보다 0.4%p 감소한 5.3%임
○ 2019년 1인당 주거면적은 전년보다 0.7㎡ 늘어난 29.2㎡이며, 수도권 지역의 1인당 주거면적이 다른 지역보다 좁은 것으로
     나타남
○ 2019년 현재 거주 중인 주택에 대한 만족도는 3.00점으로 전년대비 0.02점 상승하였으며, 아파트, 다세대주택, 단독주택,
     주택 이외의 거처, 연립주택 순으로 높음

8. 생활환경

○ 2020년 우리나라 국민의 생활환경 만족도는 녹지환경(58.7%), 대기질(38.2%), 수질(37.7%), 토양환경(36.7%), 소음(35.7%)
     순으로 높으며, 전 분야에서 2년 전 대비 상승함
○ 2019년 우리나라의 환경성 질환자 수는 861만 1천 명, 유병률은 16.7%로 전년보다 각각 3만 7천 명, 0.1%p 감소함
○ 2018년 정수장, 수도꼭지, 소규모 수도시설, 약수터의 수질기준 초과율은 각각 0.1%, 0.1%, 3.6%, 34.7%로 측정됨

9. 범죄·안전

○ 2019년 인구 10만 명당 범죄 발생 건수는 전년보다 1.5% 증가한 3,419건으로 10년 전과 비교하여 22.2% 감소함
    - 지역별로는 제주 지역의 범죄율이 인구 10만 명당 4,294건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전남(3,867건), 부산(3,817건) 순으로 높게
       나타남
○ 2020년 국민 10명 중 7명(66.5%)은 야간보행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며, 남자(83.1%)가 여자(50.2%)보다 30%p 이상 높음

10. 사회통합·주관적웰빙

○ 2020년 집단 간 사회갈등 정도가 심하다고 인식하는 비중은 보수와 진보(85.4%), 빈곤층과 중·상층(82.7%),
     근로자와 고용주(74.2%) 집단이 높고, 남자와 여자(48.8%), 종교 간(55.4%) 갈등은 상대적으로 낮음
○ 2020년 우리나라 국민 중 전과자와 동성애자를 어떤 관계로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답한 사람의 비중은 각각 69.4%, 57.0%임
○ 2020년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 사람의 비중은 전년보다 0.9%p 증가한 61.6%임


[ 통계청 2021-03-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034 잔류농약 기준 초과 곡류가공품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6 72
10033 6월말 전국 미분양 59,999호, 전월대비 8.2% (4,543호)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6 72
10032 넘쳐나는 민간자격증, 사회적 활용도를 감안 신중히 선택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7 72
10031 소비자 93.7%, 사물인터넷 제품 가격에 부담 느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6 72
10030 고용복지 연계서비스 건수, 작년보다 3배가량 늘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2 72
10029 서민을 울리는 유사수신 금융범죄 집중단속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72
10028 생애주기별 소비자교육 콘텐츠 다운로드 받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6 72
10027 지능화되는 테러 수법, 확실하게 대응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5 72
10026 과징금부과 세부기준 등에 관한 고시 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8 72
10025 추석 명절 성수식품 합동 점검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3 72
10024 권익위, “생활불편 민원 분석정보가 제도개선으로 이어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1 72
10023 우리 아이『화상』, 초기 응급치료가 중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72
10022 3040 직장인, 혈관건강 챙기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31 72
10021 우수 농식품, 모바일로 즐기며 쇼핑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6 72
10020 “사시” 10대 이하가 환자의 84.9% 차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4 72
Board Pagination Prev 1 ...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