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사회적 편익 투자대비 11~15배 높아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중점적으로 확대·추진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효율적인 운영·관리를 위해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를 이달 중으로 설치하여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또한 급식 아동수가 20명이하인 소규모 가정 어린이집에 대한 위생 및 영양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등록을 의무화하는 제도 개선도 추진할 예정이다.

□ 안전한 어린이 급식관리를 위한 ‘16년 주요 추진 정책 내용은 ▲안전관리 상향 평준화 ▲급식소 및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지원체계 점검 ▲어린이 급식안전 수혜율 제고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급식관리 등이다.

<안전관리 상향 평준화>
○ 표준화된 정보 공유 체계 마련을 위해 표준 레시피, 공동 교육 교재·교구 등을 개발하고 전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효율적으로 관리·지원하는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한다.
○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 역량강화를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 운영하고, 급식소 지원 수준 향상을 위한 벤치마킹 프로그램을 확대 실시할 계획이다.

<급식소 및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지원체계 점검>
○ 급식소 및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지원체계 점검을 강화하기 위하여 지자체와 합동으로 지도·점검을 실시하고 보건복지부, 교육부와도 협업을 강화할 예정이다.
○ 어린이 급식소를 위생·영양 수준별로 구분하여 순회방문 횟수를 차등 지원(6~9회) 하고, 가정 어린이집 등에 적합한 맞춤형 식단, 식재료 품질관리 기준 및 급식관리 매뉴얼을 배포하여 지도할 계획이다.

<어린이 급식안전 수혜율 제고>
○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인근 시·군·구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들을 통합하거나, 제주도 등 독립된 지역은 설치·운영 예산 규모를 11~16억 수준으로 확대하는 등 설치기준을 개선할 예정이다.
○ 또한 가정 어린이집(20명이하)부터 단계적으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등록을 의무화하기 위해 관련 법령 개정을 추진한다.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급식관리>
○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미등록 어린이집의 급식도 관리하기 위해 ‘육아종합지원센터’와 ‘지역아동센터’등에 영양균형 등을 고려한 전문적인 식단 및 레시피를 제공할 예정이다.
○ 어린이와 부모 대상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가정에서도 활용 가능한 위생·영양관리 정보집 등을 제작하여 배포할 계획이다.
○ 식단 작성, 영양소 데이터베이스 관리, 위생안전 점검 등을 급식소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식단관리 앱 등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할 예정이다.

□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는 ‘11년 설치된 이후 ’12년 22개소에 불과하던 것이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15년 191개소로 대폭 확대 설치되어 100명 미만 어린이집·유치원 등 급식소에 대한 체계적인 위생·영양 안전관리를 해오고 있다.
※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어린이집, 유치원 등 영양사 고용의무가 없는 어린이 급식소를 대상으로 위생 및 영양관리 등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지자체가 직영 또는 위탁 형태로 운영
○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확대로 인하여 혜택을 받는 어린이 수는 ‘12년 12만명에서 ‘15년 71만명으로 6배로 증가하여 100명 미만 어린이집·유치원에 다니는 어린이의 절반이 수혜를 받게 되었다.
* 지원 급식소 수 : (’12년) 1,944개소 → ('15년) 19,105개소
** 수혜 어린이 수 : (’12년) 12만명 → ('15년) 71만명
※ 100명 미만 어린이 급식시설 및 어린이수 : 47,755개소(141만명)

□ 어린이 식생활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15년 10월말 기준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144개소)의 지원을 받는 어린이집·유치원 조리종사자 8,283명과 아이를 맡긴 부모 81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어린이들의 식생활이 크게 개선 된 것으로 나타났다.
○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통해 개인위생관리 요령 등을 교육 받은 어린이들은 교육을 받기 이전(‘11년)에 비해 ’식사 전 손 씻기‘의 경우 49.3%에서 95.7%로 크게 향상되었고 ‘음식 남김 감소’는 50.3%에서 83.7% ‘편식 정도 감소’는 60.7%에서 84.5%로 행동변화에 긍정적인 개선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 또한 부모와 조리종사자의 서비스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부모의 경우 ▲급식소 위생관리 만족(90.1점) ▲메뉴의 다양성, 영양균형성 등 영양관리 만족(88.6점) ▲어린이 식습관 변화도(76.7점) 등 평균 87.9점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 조리종사자는 ▲조리·배식 시 올바른 위생복장 착용(94.1점) ▲액세서리 미착용(94.4점) ▲올바른 손씻기 수행(94.9점) 등 위생수준 개선에 도움이 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위생복장 착용 : (‘13) 90.4→(‘14)91.9→(‘15)94.1점, 액세서리 미착용 : (‘13) 92.8→(‘14)93.6→(‘15)94.4점, 올바른 손씻기 수행 : (‘13) 92.0→(‘14)93.0→(‘15)94.9점

□ 한편,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사회적 편익은 투자대비 이익이 11~15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설치·운영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비용 659억원(‘11~’14) 대비 최소 7,343억원에서 최대 10,356억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비용편익분석은 연세대학교 산합협력단이 ‘15년 수행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설치 운영에 따른 효과분석 연구 결과임
○ 성과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관리 이후 성장단계별 식단 운영, 1인 1회 분량 제공 등 균형 잡힌 영양관리 부분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생관리 수준 역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식단관리 체크리스트 10개 평가항목(총 40점 만점)을 분석한 결과, 설치지역은 평균 34.74점, 미설치지역은 평균 16점으로 나타났고, 염도값은 2011년 평균 0.55%에서 2015년 평균 0.48%로 감소함(43개 급식소).
** 급식소 위생관리 수준(센터 설치 지역 92.3±7.0점, 미설치 지역 73.6±15.2점)

□ 식약처는 전국 210만명 어린이 모두 안전한 급식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관련부처와 협업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센터 설치‧확대를 위한 예산 반영 등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와 지원도 당부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1-0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68 이직한 근로자도 ‘국세청 홈택스’에서 이전 근무지 원천징수내역 확인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9 51
10267 이젠 집으로 갈 수 있어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83
10266 이젠 집에서도 진로탐색! 초등학생 맞춤형 ‘주니어 커리어넷’ 서비스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2 31
10265 이젠 전통시장도 ‘당일·묶음·새벽 배송’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21 14
10264 이젠 인감증명서 대신 집에서 전자본인서명확인서 발급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30 122
10263 이젠 닭고기 살때도 동물복지 인증마크 확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9 104
10262 이젠 국민비서 덕분에 필요한 서비스 놓치지 않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25 8
10261 이젠 개인정보 수집 동의서 읽기가 한결 쉬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3 51
10260 이제부터는 온라인으로도 발급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9 16
10259 이제부터는 만 나이가 내 나이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6 14
10258 이제부터 주민등록번호 보관 시 반드시 암호화 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8 67
10257 이제는‘한 잔만 마셔도’음주운전 단속 대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3 11
10256 이제는 일자리 정보도 ‘정부24’에서 손쉽게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13 37
10255 이제는 빅데이터 분석으로 버스노선 선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4 13
10254 이제는 모두가 함께 지켜요, 안전속도 5030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4 36
Board Pagination Prev 1 ...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