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고농도 미세먼지가 자주 발생하는 봄철에는 건강관리 주의

     - 특히 심뇌혈관질환자, 호흡기·알레르기질환자, 노인, 임산부·영유아, 어린이

     ◇ 거리두기, 손 위생, 외출 자제, 마스크 착용, 환기 등 수칙 철저히 지키기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봄철인 3월은 통상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연중 가장 높으므로 미세먼지 취약계층의 경우 건강관리에 각별히 주의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 (‘17∼’19년) 12월 28㎍/㎥ → 1월 33㎍/㎥ → 2월 31㎍/㎥ → 3월 35㎍/㎥


 ○ 미세먼지는 피부와 눈, 코, 인후 점막에 물리적 자극을 유발하고, 크기가 작아 폐로 흡입되어 호흡기에 영향을 미치며, 신체 여러 장기에 산화 손상을 촉진하여 염증반응을 일으킨다.


 ○ 특히, 심뇌혈관·호흡기 등의 기저질환자는 기존의 증상들이 더 악화될 수 있고, 노인은 이미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 더 위험할 수 있다.


 ○ 또한 임산부의 경우 태아의 성장 지연과 조산을 초래할 수 있고, 어린이의 경우 폐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 따라서 평소 미세먼지 건강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코로나19를 고려하여 각 상황별로 다음과 같은 주의가 필요하다.


< 외출은 가급적 자제 >


 ○ 평소 미세먼지 예보를 확인하여 미세먼지가 나쁜 날은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고, 실외 활동량을 줄인다.


< 외출 시에는 보건용 마스크 착용 >


 ○ 외출 시에는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KF80 이상의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보건용 마스크에는 입자차단 성능을 나타내는 ‘KF80’, ‘KF94’, ‘KF99’가 표시되어 있고, KF80은 평균 0.6㎛ 크기의 미세입자를 80% 이상, KF94와 KF99는 평균 0.4㎛ 크기의 입자를 각각 94%, 99% 이상 걸러낼 수 있다.


 ○ 보건용 마스크는 입과 코를 가리고 틈이 없도록 얼굴에 밀착하여 착용하고, 만약 호흡곤란, 두통,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무리해서 착용하지 말고 바로 벗도록 한다.


   - 증상 발생 시에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개별 공간 또는 사람 간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장소를 택하여 마스크를 벗고 휴식을 취한 후 증상이 완화되면 착용하는 것이 좋다.


   - 특히, 심뇌혈관·호흡기 등의 기저질환자는 장시간 마스크 착용 시 기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어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지만, 부득이 외출을 할 경우에는 의사와 상의 후 비교적 숨쉬기가 편한 마스크를 선택하도록 한다.


 ○ 또한, 외출 시에는 가급적 대로변이나 공사장 주변 등 대기오염이 심한 곳과 교통량이 많은 출퇴근 시간대를 피하여 활동한다.


 ○ 뛰는 대신 걷기 등 실외 활동량의 강도를 줄이고, 차량을 운행할 시에는 창문을 닫고 차량 내 공기 순환 방식을 선택한다.


 ○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등의 기저질환자는 증상완화제를 휴대하고, 아토피피부염 환자는 보습제를 휴대하여 증상이 발생하면 바로 사용하도록 한다.


< 실내에서는 주기적인 환기 >


 ○ 미세먼지가 나쁜 날은 실외 활동량을 줄이고 실내에 머무는 것이 좋지만, 장시간 창문을 닫고 지낼 경우 오히려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높일 수 있어 주기적인 환기가 필요하다.


   - 환기를 전혀 하지 않으면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같은 오염물질이 축적되어 실내 공기 질이 나빠지므로 짧게라도 환기를 하는 것이 좋다.


   - 환기 시에는 하루 중 가급적 미세먼지 농도가 높지 않은 시간대에 최소 하루 3번 이상 충분한 자연환기를 실시하고, 늦은 저녁이나 새벽에는 대기의 오염물질이 정체되어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 요리를 할 때는 미세먼지가 많이 발생하므로 환풍기를 작동하고 요리 후까지 충분히 환기하도록 한다.


 ○ 또한, 실내 공기 질을 관리하기 위해 물걸레질을 통한 청소를 실시하고 실내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 아울러, 심뇌혈관질환자, 호흡기·알레르기질환자, 노인, 임산부, 어린이는 미세먼지에 더욱 취약하므로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에는 각별히 주의가 필요하며, 주요 건강수칙 내용은 다음과 같다. (파일내용 참조)


□ 이 건강수칙은 대한의학회와 협력하여 마련한 근거 중심의 자료로, 홍보지, 소책자, 동영상, 근거보고서 등의 형태로 다양하게 제공되며,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dca.go.kr–정책정보–기후변화 –미세먼지)에서 국민 누구나 열람하거나 내려받기 하여 이용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모두가 지치고 힘든 요즘,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와 코로나19 모두로부터 안전한 일상을 위해서는 어느 때보다 건강관리가 중요하고, 적극적인 관심과 동참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 이를 위해 “국민들께 거리두기, 손 위생, 외출 자제, 마스크 착용, 환기 등의 수칙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1-03-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89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14-3330로 전화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1.01.20
1888 식품 등에 '불면증 치료.완화 등' 불법 광고행위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1.01.19
1887 고춧대 차(茶), 코로나19 예방.치료 광고에 현혹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01.19
1886 "일반의약품 사용설명서 버리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21.01.18
1885 화재 발생하면 피난 유도등 보고 신속히 대피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21.01.14
1884 눈에 넣기 전에 안약인지 다시 한번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21.01.13
1883 온라인으로 주문하는 '배달회' 안전하게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1.01.11
1882 '불법 스테로이드', 사용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9 2021.01.11
1881 '클로로퀸' 코로나19 치료.예방 효과 입증되지 않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1.01.05
1880 지퍼가 탈락되어 해외에서 리콜된 시마노(SHIMANO) 낚시 조끼 무상수리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1.04
1879 작은 조각으로 파손될 가능성 있어 해외에서 리콜된 Herobility 영·유아용 식기 구입가 환급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1.01.04
1878 종합마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0.12.31
1877 연말연시 강추위 예상, 한랭질환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0.12.30
1876 가구 소비자피해 2건 중 1건은 온라인 구입 제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0.12.24
1875 금융감독원을 사칭하여 추가 신규대출은 금융법위반이라며 자금을 편취하는 보이스피싱 주의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8 2020.12.24
1874 일부 자외선 살균제품, 살균파장 방출되지 않거나 오존 발생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0.12.23
1873 과기정통부, 연말연시 대비‘랜섬웨어 주의보’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0.12.23
1872 대부분의 헤나 염모제 제품, 미생물ㆍ중금속 기준 초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0.12.22
1871 나도 공황장애? 약 복용할 때 이런 점은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20.12.21
1870 전동킥보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6 2020.12.21
Board Pagination Prev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