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 이하 “방통위”)는 긴급구조기관(소방청ㆍ해양경찰청) 및 경찰관서에서 긴급구조를 위해 활용되는 개인위치정보 품질을 측정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위치정보 품질은 ‘20년 9월부터 12월까지 이통3사 및 기타 단말기의 각 측위기술(기지국ㆍGPSㆍWi-Fi)에 대해 단말기의 GPS와 Wi-Fi 기능이 “꺼진(Off)” 열악한 상태에서 긴급 상황발생 시 단말기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켜서(On)”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위치정보를 제공하는지를 측정한 것이다.

방통위는 긴급구조기관 및 경찰관서의 신속하고 정확한 구조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19년부터 긴급구조 위치정보의 품질 측정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개해 이통3사가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향상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통3사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제공 성공률이 GPS 방식은 82.9%, Wi-Fi 방식은 82.3%로 나타났다. ‘19년 대비 GPSㆍWi-Fiㆍ기지국 등 각 측위방식에 대한 위치정보 성공률·응답시간·정확도 모두 전반적으로 개선되었다.

< 이통3사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측정 주요결과 >

GPS 방식 측정 결과, 위치성공률은 SKT 94.4%, KT 93.1%, LGU+ 61.1% 순으로 SKT가 제일 우수하며, 위치정확도는 KT 34.5m, SKT 39.5m, LGU+ 82.2m로 KT가 제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LGU+의 위치성공률·위치정확도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19년 대비, 이통3사 평균 GPS 위치성공률은 80.6%에서 82.9%로, 위치정확도는 62.5m에서 60.3m로 개선되었다.

Wi-Fi 방식 측정 결과, 위치성공률은 KT 97.4%, SKT 97.2%, LGU+ 52.3%, 위치정확도는 SKT 30.2m, KT 33.0m, LGU+ 90.2m로 SKT와 KT는 양호하나, LGU+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9년 대비, Wi-Fi 위치성공률은 80.7%에서 82.3%로, 위치정확도는 65.2m에서 61.9m로 개선되었다.

기지국 방식 측정 결과, 위치정확도는 SKT 70.0m, KT 142.4m, LGU+ 485.6m로, 위치응답시간은 SKT 1.6초, KT 1.9초, LGU+ 2.3초로 SKT와 KT는 양호하나 LGU+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9년 대비, Wi-Fi 위치정확도는 264.0m에서 225.5m로, 위치응답시간은 2.8초에서 1.9초로 개선되었다.

< 기타 단말기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측정 주요결과 >

이통3사 이외의 기타 단말기의 위치정보 품질 측정 결과, 기지국 위치정보의 경우는 주요 외산(외국 제조사) 단말기ㆍ자급제(일반시장 판매) 단말기ㆍ알뜰폰(이동전화 재판매) 단말기ㆍ유심(USIM)이동(이동통신사 변경) 단말기 모두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GPSㆍWi-Fi 위치정보는 이용하는 단말기의 측위기술 적용여부 등에 따라 부분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나, ‘19년보다는 점진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애플(iPhone 11)의 경우 GPS는 긴급통화 중에만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Wi-Fi는 이통3사 측위모듈이 탑재되지 않아 위치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샤오미(Mi10)?화웨이(P40 Pro)의 경우, GPS?Wi-Fi 모두 이통3사 측위 모듈이 탑재되지 않아 위치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상혁 위원장은 “이번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측정 결과를 토대로 위급상황에서 구조자의 위치정보를 긴급구조기관 등에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긴급구조 표준 측위기술 적용을 위한 관계 부처 및 사업자와의 협의를 거쳐 관련 제도 개선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 방송통신위원회 2021-03-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75 전국 초.중.고, 학부모부담 교육비 신용카드 납부제도 전면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6 12
11074 전국 지자체, 올해 소방·복지직 등 지방공무원 3만2,042명 채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9 13
11073 전국 지자체, 개인지방소득세 환급금 2개월 앞당겨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28 10
11072 전국 자동차 매연 특별단속, 2천여 대 개선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2 36
11071 전국 유명해수욕장 청소년 흡연, 음주예방 캠페인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7 124
11070 전국 유명 제과업체.음식점 위생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0 7
11069 전국 어디서나 주민등록증 발급 신청, 수령도 원하는 곳에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1 6
11068 전국 어디서나 주민등록 전입신고, 주민등록증 신규발급 신청이 가능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0 15
11067 전국 아파트 대상 첫 외부회계감사, 19.4% (1,610개 단지) 부적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1 154
11066 전국 수유시설 3,259개소 전체 실태조사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7 53
11065 전국 석면건축물 한눈에 파악…종합정보망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0 39
11064 전국 산후조리원 일제 점검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9 96
11063 전국 사립대학 입학금 폐지 확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19 38
11062 전국 보건소에서 ‘사전연명의료 거부신청’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8 33
11061 전국 버스터미널, 디지털 범죄(몰카) 안전지대 만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2 21
Board Pagination Prev 1 ...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