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는 2020년 10월 6일부터 11월 13일까지 학생, 일반성인, 교사, 학부모(총 7,458명)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 (사이버폭력 경험률) 10명 중 3명은 사이버폭력 가해 또는 피해 경험

o 조사에 따르면, 2020년 사이버폭력 경험률*(학생+성인, 가해 또는 피해)은 32.7%로, 전년 대비 0.8%p 감소했으며, 가해 경험률 16.8%, 피해 경험률 29.7%, 가해 및 피해 동시 경험률은 13.7%로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자 대부분이 사이버폭력 피해도 동시에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8개 유형(언어폭력, 명예훼손, 스토킹, 성폭력, 신상정보 유출, 따돌림, 갈취, 강요)에 대한 경험률

□ (조사대상별 경험률) 성인의 사이버폭력 경험률 지속 증가

o 조사 대상별로는 학생의 경우 사이버폭력 경험률이 22.8%로 전년(26.9%) 대비 4.2.%p 감소한 반면, 성인은 65.8%로 전년(54.7%) 대비 11.1%p 증가하여 3년 연속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성인의 경우 가·피해 동시 경험률이 92.4%로, 성인의 경우 대부분의 사이버폭력 가해자가 동시에 사이버폭력 피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 성인 사이버폭력 경험률 : ‘18년 43.1% → ’19년 54.7% (11.6%p↑) → ‘20년 65.8%(11.1%p↑)학생 사이버폭력 경험률 : ’18년 29.5% → ‘19년 26.9% (2.6%p↓) → ’20년 22.8%(4.1%p↓)

□ (유형별 경험률) 학생?성인 모두 언어폭력이 가장 높지만, 성인은 명예훼손, 스토킹, 신상정보 유출 등까지 광범위하게 경험

o 사이버폭력 가·피해 경험 유형은 학생과 일반 성인 모두 ‘언어폭력’의 사례가 가장 많으며, 성인의 경우 언어폭력 외에도 명예훼손, 스토킹, 성폭력, 신상정보 유출, 따돌림 등 다양하고 심각한 유형의 사이버폭력을 전반적으로 다수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가해주체) 학생들은 익명 관계, 성인은 지인 관계에서 주로 발생

o 또한,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과 관련하여, 학생은 주로“전혀 누구인지 모르는 사람(45.8%)”에게, 성인은 “친구 또는 선후배(40.8%)”에게 사이버폭력을 행사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사이버폭력이 학생들의 경우 대부분 타인과의 익명 관계에서, 성인은 지인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부정적 영향 요인) 1인 크리에이터의 자극적인 인터넷 개인방송이 학생들의 사이버폭력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인식

o 사이버폭력과 관련하여 학생 또는 자녀들에게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대상에 대하여, 교사는 “친구 또는 선후배(91.7%)”, “1인 크리에이터(91.3%)”, 학부모는 “1인 크리에이터(92.6%)”라고 응답하였다.유튜브 등을 통해 접하게 되는 1인 크리에이터의 욕설이나 비방, 자극적인 표현 등이 학생이나 자녀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디지털 성범죄 목격 경험) 학생들의 디지털 성범죄 문제의식 제고 필요

o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2020년 초반에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켰던 ‘n번방’사태와 관련하여 성인 및 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성범죄 목격 및 인식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o 조사 결과, 성인은 29%, 학생은 5.7% 가 디지털 성범죄를 목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 중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성인은 9%, 학생은 16%로, 성인들에 비해 학생들의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문제의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디지털 성범죄 유형 : 몰카, 불법 영상물 유포, 지인 능욕, 디지털 성착취, 몸캠

□ 향후 계획

o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다양한 사이버폭력에 대한 인식제고 및 예방·대응을 위한 강화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폭력 예방교육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o 특히, 인터넷 개인방송 크리에이터의 욕설?비방, 자극적인 표현 등이 학생들의 사이버폭력에 부정적인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지적에 따라, 크리에이터가 콘텐츠 제작시 유의할 사항 등을 담은 「크리에이터 가이드북」(가칭)을 제작·배포하고, 시범 교육도 실시할 계획이다.

o 더불어,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교육?원격교육 수요 증가에 따라 학교, 기관 등에서 자체적으로 온라인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개발?보급할 예정이다.

o 한편, 방통위의 「사이버폭력 실태조사」는 전국민(학생?교사?학부모?성인) 대상 전국 단위 실태조사로, 2021년부터는 통계청의 국가승인통계로 전환되어 표본 규모 확대 등 조사대상?방식이 한층 개선될 예정이다. 이번 2020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는 방송통신위원회 홈페이지(www.kcc.go.kr)와 ‘아름다운 인터넷 세상’ 홈페이지(www.아인세.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방송통신위원회 2021-02-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14 타이어(트럭용) 안전성 조사결과, 1개 제품 리콜명령(12/15 조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4 10
9613 세계 최초 전국 시내버스 무료 데이터 이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4 21
9612 신유형 상품권 표준약관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4 13
9611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필수노동자 보호·지원대책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4 26
9610 방통위, ‘어르신을 위한 슬기로운 디지털 생활’ 캠페인 진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4 10
9609 ‘텔레 케어’는 ‘원격 돌봄’으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4 19
9608 국민권익위, 임차인 재산권 보호 강화 제도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4 9
9607 2020년 하반기 선불식 할부거래업자 주요정보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4 16
9606 무인민원발급창구에서 고용·산재보험 증명서 무료 발급서비스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4 11
9605 우리나라 여권, 주민등록번호(뒷자리) 없이 발급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1 42
9604 여권사실증명, 무인민원발급기에서 발급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1 40
9603 안전하지 않은 무작위(랜덤)채팅앱 11일부터 ‘⑲금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1 42
9602 방역 수칙과 평등한 가족 문화로 안전한 연말연시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1 35
9601 전월 대비 코로나19 관련 ‘보건·위생용품’, ‘숙박시설’ 소비자상담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1 10
9600 사례로 알아보는 식품관련 법령 이해하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1 8
Board Pagination Prev 1 ...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