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는 2020년 10월 6일부터 11월 13일까지 학생, 일반성인, 교사, 학부모(총 7,458명)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 (사이버폭력 경험률) 10명 중 3명은 사이버폭력 가해 또는 피해 경험

o 조사에 따르면, 2020년 사이버폭력 경험률*(학생+성인, 가해 또는 피해)은 32.7%로, 전년 대비 0.8%p 감소했으며, 가해 경험률 16.8%, 피해 경험률 29.7%, 가해 및 피해 동시 경험률은 13.7%로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자 대부분이 사이버폭력 피해도 동시에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8개 유형(언어폭력, 명예훼손, 스토킹, 성폭력, 신상정보 유출, 따돌림, 갈취, 강요)에 대한 경험률

□ (조사대상별 경험률) 성인의 사이버폭력 경험률 지속 증가

o 조사 대상별로는 학생의 경우 사이버폭력 경험률이 22.8%로 전년(26.9%) 대비 4.2.%p 감소한 반면, 성인은 65.8%로 전년(54.7%) 대비 11.1%p 증가하여 3년 연속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성인의 경우 가·피해 동시 경험률이 92.4%로, 성인의 경우 대부분의 사이버폭력 가해자가 동시에 사이버폭력 피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 성인 사이버폭력 경험률 : ‘18년 43.1% → ’19년 54.7% (11.6%p↑) → ‘20년 65.8%(11.1%p↑)학생 사이버폭력 경험률 : ’18년 29.5% → ‘19년 26.9% (2.6%p↓) → ’20년 22.8%(4.1%p↓)

□ (유형별 경험률) 학생?성인 모두 언어폭력이 가장 높지만, 성인은 명예훼손, 스토킹, 신상정보 유출 등까지 광범위하게 경험

o 사이버폭력 가·피해 경험 유형은 학생과 일반 성인 모두 ‘언어폭력’의 사례가 가장 많으며, 성인의 경우 언어폭력 외에도 명예훼손, 스토킹, 성폭력, 신상정보 유출, 따돌림 등 다양하고 심각한 유형의 사이버폭력을 전반적으로 다수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가해주체) 학생들은 익명 관계, 성인은 지인 관계에서 주로 발생

o 또한,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과 관련하여, 학생은 주로“전혀 누구인지 모르는 사람(45.8%)”에게, 성인은 “친구 또는 선후배(40.8%)”에게 사이버폭력을 행사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사이버폭력이 학생들의 경우 대부분 타인과의 익명 관계에서, 성인은 지인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부정적 영향 요인) 1인 크리에이터의 자극적인 인터넷 개인방송이 학생들의 사이버폭력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인식

o 사이버폭력과 관련하여 학생 또는 자녀들에게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대상에 대하여, 교사는 “친구 또는 선후배(91.7%)”, “1인 크리에이터(91.3%)”, 학부모는 “1인 크리에이터(92.6%)”라고 응답하였다.유튜브 등을 통해 접하게 되는 1인 크리에이터의 욕설이나 비방, 자극적인 표현 등이 학생이나 자녀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디지털 성범죄 목격 경험) 학생들의 디지털 성범죄 문제의식 제고 필요

o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2020년 초반에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켰던 ‘n번방’사태와 관련하여 성인 및 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성범죄 목격 및 인식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o 조사 결과, 성인은 29%, 학생은 5.7% 가 디지털 성범죄를 목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 중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성인은 9%, 학생은 16%로, 성인들에 비해 학생들의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문제의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디지털 성범죄 유형 : 몰카, 불법 영상물 유포, 지인 능욕, 디지털 성착취, 몸캠

□ 향후 계획

o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다양한 사이버폭력에 대한 인식제고 및 예방·대응을 위한 강화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폭력 예방교육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o 특히, 인터넷 개인방송 크리에이터의 욕설?비방, 자극적인 표현 등이 학생들의 사이버폭력에 부정적인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지적에 따라, 크리에이터가 콘텐츠 제작시 유의할 사항 등을 담은 「크리에이터 가이드북」(가칭)을 제작·배포하고, 시범 교육도 실시할 계획이다.

o 더불어,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교육?원격교육 수요 증가에 따라 학교, 기관 등에서 자체적으로 온라인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개발?보급할 예정이다.

o 한편, 방통위의 「사이버폭력 실태조사」는 전국민(학생?교사?학부모?성인) 대상 전국 단위 실태조사로, 2021년부터는 통계청의 국가승인통계로 전환되어 표본 규모 확대 등 조사대상?방식이 한층 개선될 예정이다. 이번 2020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는 방송통신위원회 홈페이지(www.kcc.go.kr)와 ‘아름다운 인터넷 세상’ 홈페이지(www.아인세.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방송통신위원회 2021-02-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75 열심히 일한 3040 남성 이제는 혈압관리로 건강 챙기자!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5 85
11074 커피 한 잔 마시려면, 물 얼마나 필요할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2 85
11073 고금리 수취 등 불법사금융 척결 특별대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8 85
11072 도심 하천.도로변 등 오염우려지역 야생 봄나물 섭취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4 85
11071 주택수리 및 인테리어, 서비스 시장 중 소비자 평가 가장 낮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3 85
11070 방치된 학원의 개인정보 점검 강화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0 85
11069 해외 인터넷 사이트 판매 제품 구입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5 85
11068 한국소비자원, 물티슈 업계에 맞춤형 정보 제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5 85
11067 무허가 위조 의약품 제조.판매업자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5 85
11066 대학생 노리는 불법 다단계 판매 피해주의보 발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3 85
11065 식약처, 국민의견 직접 수렴하는 양방향 소통채널‘국민소통단’운영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27 85
11064 알아두면 도움되는 설연휴 ‘꿀 팁’ 「공공정보 10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6 85
11063 “교통안전은 높이고, 국민 불편은 줄이고” 대각선 횡단보도 확대하고, 제한속도 탄력 운영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5 84
11062 해외로부터의 입국 절차와 시간이 대폭 간소화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16 84
11061 허위·과장 부동산 매물, 더 이상 발붙일 수 없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7 84
Board Pagination Prev 1 ...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