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21년 1월 초미세먼지 농도 20㎍/㎥, 지난해 1월 26㎍/㎥ 대비 약 23%, 최근 3년 1월 평균 31㎍/㎥ 대비 약 35% 감소

- 1월 초미세먼지 좋음 일수 전년 대비 4일 증가(6일 → 10일), 나쁨 일수 전년 대비 6일 감소(7일 → 1일)

▷ 정책추진에 따른 배출 감축량, 농도 변화 영향 등 분석 예정


환경부(장관 한정애)는 제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2020년 12월 1일~2021년 3월 31일) 시행 두 번째 달인 올해 1월 전국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20㎍/㎥를 기록하여 최근 3년 평균치 대비 35% 감소했다고 밝혔다. 

※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인 그해 12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평소보다 강화된 배출 저감과 관리 조치로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의 강도와 빈도를 완화하고 국민건강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제도로 2019년 12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처음 제도를 시행했으며, 2020년 12월부터 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시행 중


< 2021년 1월 초미세먼지 상황 >


올해(2021년) 1월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과거 대비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월 한 달간 전국의 초미세먼지 평균농도 20㎍/㎥은 역대 1월 농도 최저치로 지난해(2020년) 1월 26㎍/㎥ 대비 약 23%, 최근 3년(2018, 2019, 2020년) 1월 평균농도 31㎍/㎥ 대비 약 35% 감소했다. 


이에 따라 올해 1월에 좋음 일수(전국 일평균 초미세먼지 농도 15㎍/㎥ 이하)는 10일로 전년 동기 대비 4일 증가했고, 나쁨 일수(일평균 36㎍/㎥ 이상)는 1일로 전년 동기 대비 6일 감소했다. 


[과거 대비 1월 초미세먼지 농도 상황 비교]    평균농도(㎍/㎥)  좋음(15㎍/㎥ 이하) 일수(일)  나쁨(36㎍/㎥ 이상) 일수(일)
 

< 기상 상황 >


한편, 올해 1월의 기상상황은 기온 급감을 동반하는 대륙고기압의 강한 확장이 있었고, 이는 1월 초미세먼지 농도 개선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 기온 감소를 동반('20.1월: 3.3°C, '21.1월: -0.2°C)하며, 오염도 낮은 기류 유입과 원활한 대기확산을 초래하여 '21.1월 6-9, 17, 19, 29일 전국 평균 '좋음' 발생에 기여


1월 월평균 풍속은 2.0m/s로 지난해 1월 1.9m/s 대비 소폭 증가했고, 정체 일수는 감소(21일→17일)했다.


[1월 기상 현황 비교(전국 30개 지점 종관기상관측소 관측자료 평균)]    구분  평균기온(℃)  강수일수(일)  월강수량(mm)  평균풍속(m/s)  정체일수(일)  동풍 일수(일)  2018~2020년  1월 평균   0.8   6   37.9   2.0   19   3   2020년 1월  3.3  7   83.9  1.9  21   8   2021년 1월  -0.2  8   23.5  2.0   17   6
 

< 향후 계획 및 맺음말 >


환경부는 올해 1월 초미세먼지 농도가 예년보다 감소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정책, 기상영향 등에 대한 대기질 수치 모델링을 실시할 예정이다.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 동안 정책 시행으로 인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고 이를 토대로 모델링을 실시하여 정책 시행이 농도 변화에 미친 영향도 분석하여 공개할 계획이다. 


김승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4개월간 시행되는 2차 계절관리제가 반환점을 지났지만 앞으로 3월까지 남은 두 달은 초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은 시기"라며,


"계절관리제가 끝날 때까지 흐트러짐 없이 상황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환경부 2021-02-0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90 유통기한 경과 원료 사용 건강기능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5 28
5389 사회서비스 이용권(바우처) 부정수급 신고에 따른 포상금 상한액을 100만 원→500만 원으로 인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28
5388 학교 내 커피 등 고카페인 식품 판매 금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31 28
5387 방송·통신 결합상품 가입 시 중요정보 제대로 전달 안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0 28
5386 기능성(흡습속건) 티셔츠, 저렴한 제품도 기능성 양호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26 28
5385 대전지역 소비자 피해, 헬스장이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26 28
5384 건전지, 가격 대비 성능 제품별 최대 7.3배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6 28
5383 정책관련 정보도 ‘정부24’에서 손쉽게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2 28
5382 7월부터 저소득층 589만 세대 건강보험료 21% 내려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0 28
5381 의원급 건강검진기관,“우수등급”은 늘고“미흡등급”은 줄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0 28
5380 내 민원처리 어디까지 왔나...쉽게 알 수 있게 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28
5379 BMW, 혼다 리콜 실시(총 23개 차종 2,806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0 28
5378 결핵 ‘피내용백신’ 국내공급 재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18 28
5377 법률 위반 과태료 관련 자치법규 정비해 주민편의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15 28
5376 가정의 달 대비 가정간편식 제조업체, 학교주변 식품 등 판매업소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3 28
Board Pagination Prev 1 ...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