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이재욱)은 2015.10.7. ~10.31.까지 양곡 매매업체와 가공업체를 대상으로 양곡표시 이행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양곡표시는 소비자에게 정확한 품질정보를 제공하여 선택의 폭을 넓혀 주고, 생산자에게는 품질향상을 유도하기 위한 제도로 양곡 부정유통 방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매년 양곡표시 이행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조사개요

조사기간 : ’15.10.7 ~ 10.31(25일간)
조사대상 : 총 1,123개소(매매 1,038개, 가공업체 85개)
* (매매업체) 대형유통업체, 생산자단체매장, 도소매상, (가공업체) RPC, 임도정공장 등
조사방법 : 각 업체 방문, 양곡ㆍ원산지표시의 적정여부 조사
조사품목 : 미곡, 맥류, 두류, 잡곡류, 서류, 혼합곡, 압착물, 전분류 등
** 미곡(쌀현미 등), 맥류(보리쌀보리 등), 두류(콩팥 등), 잡곡류(조수수옥수수 등), 서류(고구마감자)
의무표시 : 모든품목(품목, 중량, 생산가공자정보, 원산지), 쌀현미(품종, 생산연도, 도정년월일), 멥쌀(등급) * 임의표시 : 쌀(단백질 함량)

이번 조사는 투명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하여 (사)소비자교육중앙회에 위탁하였으며, 전국을 대상으로 임의 추출한 1,123개 업체(매매 1,038, 가공 85개소)*를 직접 방문하여 양곡표시** 및 원산지표시의 적정 여부를 업태품목항목별로 조사하였다.
* (매매)대형유통업체, 생산자단체매장, 도소매상 등, (가공)RPC, 임도정공장 등
’15년도 조사결과, 전체적인 양곡표시 이행률은 96.5%로 ’14년 96.4%보다 0.1% 높아져 양곡표시가 정착된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일부 보완해야 할 점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태별) 농협 등 생산자단체매장 99.7%, 대형유통업체 99.7%, 도매상 97.1%로 양호한 반면,
- 미곡종합처리장(RPC) 95.1%, 임도정공장 94.9%, 소매상 94.2% 등 으로 조사되었다.
(품목별) 혼합곡 97.7%, 미곡 97.4%, 맥류 96.3%, 잡곡류 96.0%, 두류 94.5%, 서류(고구마감자 등) 93.7% 순으로 나타났으며,
- 서류의 양곡표시가 다소 미흡한 것은 그동안의 집중 홍보ㆍ단속에도 불구하고 서류가 양곡표시 대상임을 아직 인지하지 못한 결과로 보여진다.
(항목별) 모든 양곡에 의무적으로 표시해야하는 품목은 99.7%, 중량 99.2%, 생산가공자정보 98.7%, 원산지는 98.6% 이었음.
- 쌀과 현미만 의무표시 항목인 생산연도 98.7%, 도정연월일 98.3%, 품종은 97.9% 이었음.
- 조사대상 10,910건 중 품종이 표시된 10,681건의 단일품종 표시는 2,790건(26.1%), 혼합품종 표시는 7,891건(73.9%)으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단일품종 표시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단일품종 표시가 낮은 주요 이유는 △ 계약재배에 의한 농가관리의 어려움 △ 품종 순도가 80%이하일 경우 양곡관리법 위반에 따른 형사처벌* 위험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단일 품종명 표시 : 80%이상 순도를 유지해야 표시 가능하며, 위반시 3년이하의 징역 또는 사용처분한 양곡을 시가로 환산한 가액의 5배 이하의 벌금
농관원 이재욱 원장은 쌀 관세화, FTA체결 확대 등 쌀 시장 여건변화에 따른 양곡 부정유통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설, 추석 및 햅쌀출하기 등 취약시기 위반행위에 대해서는 엄정히 단속하여 올바른 양곡표시를 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소비자들도 양곡을 구매할 때 양곡표시사항을 꼼꼼히 확인하고, 부정유통이 의심될 경우 적극 신고*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양곡부정유통 신고센터 : 1588-8112(신고포상금 : 위반 물량에 따라 5~100만원)

[농림축산식품부 2016-01-0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10 앱 설치 없이 모바일 홈택스 간편하게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25 51
4809 앱 소셜커머스 통해 불법 의료광고 한 의료기관 278개 적발 환자유인·알선, 거짓·과장 광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31 7
4808 앱 이용 소비자의 70% 이상이 정보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6 96
4807 야생멧돼지 거짓신고 행위 집중 단속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20 16
4806 야생버섯 함부로 섭취하지 마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1 89
4805 야생포유류 조류인플루엔자 예방 국민의 적극적인 신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3 10
4804 야영장 안전·위생과 화재예방 시설 지원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8 14
4803 야영장 화재안전 및 위생 기준 강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4 35
4802 야외 운동기구 관리 미흡으로 인한 안전사고 우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9 121
4801 야외활동하기 딱 좋은 가을, 적당한 운동으로 비만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8 8
4800 야외활동하기 딱 좋은 가을, 적당한 운동으로 비만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9 9
4799 약! 온라인 판매·구매는 불법입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6 13
4798 약과 음식도 궁합이 있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1 71
4797 약관 분야 분쟁 5건 중 3건은 온라인 광고 사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15 21
4796 약국 조제실 들여다 볼 수 있게 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6 34
Board Pagination Prev 1 ...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 923 Next
/ 92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