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2월부터 국번 없이 1398번을 누르면 무료로 부패·공익신고 상담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누구나 요금 부담 없이 부패·공익신고와 관련한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올해 2월부터 상담전화 ☏1398을 수신자 부담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 2002년부터 운영해 온 ☏1398은 그 동안 부패신고나 공익신고를 망설이는 국민들이나 내부 신고자들이 안심하고 신고할 수 있도록 신고자들의 도우미 역할을 해 왔으나 전화요금으로 인해 장시간의 전화 상담이 부담스럽다는 이용자들의 의견이 있었다.
 
이에 따라 국민권익위는 ☏1398의 공익적 성격이나 신고유발 효과를 고려할 때 무료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재정부 등 관계 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1398 무료통화 예산을 확보했다.
 
□ 국민권익위 정부합동민원센터에서 운영하는 ☏1398은 ▴부패행위 ▴공익침해행위 ▴청탁금지법 위반행위 ▴공공재정 부정청구행위 ▴공직자의 행동강령 위반행위 등에 대해 전문적인 상담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로 익명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나 상담내용에 대해서는 비밀이 철저히 보장된다.
 
현재 국민권익위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공수처’) 출범을 계기로 고위공직자 부패행위 집중신고기간(1.22~4.21.)을 운영하고 있는데, 고위공직자 부패행위 신고에 관한 사항도‘☏1398’을 활용하면 편리하게 상담 받을 수 있다.
 
국민권익위는 부패공익신고상담을 위해 전화상담 외에도 방문상담 및 청렴포털(www.clean.go.kr)을 통한 온라인 상담을 운영하고 있으며, ☏1398을 통한 전화상담은 지난 4년간 총 51,011건으로, 전체 부패공익신고 상담(60,704건)의 84.0%를 차지하고 있다.
 
□ 국민권익위 이건리 부위원장 겸 사무처장은 “상담전화 1398의 무료화로 그 동안 통신비용이 부담스러워 전화를 망설였던 사회취약계층의 상담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특히, 공수처 출범으로 고위공직자 부패에 대한 국민들의 높은 관심이 예상되는데, 고위공직자의 부패행위에 대한 상담도 1398번을 적극 활용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21-02-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5 영.유아식 등 특수용도식품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1 12
4444 영.유아용 기구 및 용기.포장에 비스페놀A 사용금지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31 51
4443 영·유아 시설 종사자, 매년 결핵 검진 받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1 38
4442 영구임대주택 주민공동시설, ‘입주자 맞춤형’으로 개선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6 48
4441 영농철, 농기계 이용시 안전사고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5.02 55
4440 영문 예방접종 확인서류, 온라인 발급 서비스 신규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0 42
4439 영문 운전경력증명서, 누리망(efine.go.kr)무료 발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1 366
4438 영문운전면허경력증명서, 「민원24」에서 무료발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8 511
4437 영문장애인증명서, 정부24에서 온라인 발급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8 12
4436 영사콜센터, 위챗·라인 상담 오픈, 재외국민보호 사각지대 해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16 23
4435 영상으로 알아보는 「연말정산 절세팁」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09 81
4434 영세 중소 가맹점 권익제고를 위한 가맹점 표준약관 개정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8
4433 영세·성실기업은 1년간 지방세 세무조사 유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6 9
4432 영세·소액체납자를 위한 적극적 세정지원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5 32
4431 영세사업장에 일자리안정자금 근로자 1인당 최대 월 18만원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6 17
Board Pagination Prev 1 ...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633 63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