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엠바고 17() 14 

작성과

사회재난대응정책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098122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20pixel, 세로 1080pixel

담당자

 

사무관

연락처

044-205-5250

044-205-5259

국민이 방역 주체, 코로나19 안전신고 운영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의 점검만으로는 방역관리에 한계가 있어 국민 참여(안전신문고) 통해 일상생활 방역 사각지대를 발굴하고자 지난해 7 1()부터 안전신문고에 코로나19 안전신고 코너를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안전신고 운영으로 국민은 일상생활 위험요소와 이에 대한 우려를 정부에 전달하고, 방역 준수의식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으며,

  정부는 방역 사각지대와 위험요소를 발굴해 방역정책을 보완하는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방지할 있었다.

실제로 코로나19 안전신고제 운영 이후, 매월 월별 신고 건수* 신규 확진자 수와 비례하여 증감하고 있다.

     * (7) 1,779  (8) 8,071  (9) 8,343  (10) 4,654  (11) 10,036  (12) 31,400

  신고내용은 식당, 카페, 실내체육시설, 종교시설, 대중교통 등에서 방역수칙 위반 신고가 많았고, 위반행위로는 마스크 미착용에 대한 신고가 가장 많았다.

 

행안부는 이러한 코로나19 안전신고를 지속적으로 활성화하고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방역관리에 도움을 국민 115* 선정해 포상하기도 하였다.

     * (20년 포상 규모) 행안부장관표창 15, 포상금 100

  포상대상은 새로운 위험요소 발굴 여부, 방역정책·점검 기여정도, 방역 효과 등을 고려해 선정되었다.

 

< 포상 개요 >

 

   

 

(목적) 20207월에 코로나19 안전신고제를 처음 시작하면서 국민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포상제 운영

 - 포상금은 모든 신고자에게 포상금을 지급하는 것은 아니며, 우수한 신고자를 선발하여 포상

   * (20년 포상 규모) 행안부장관표창 15, 포상금 100(110만 원 상당 온누리상품권)

(포상 대상자 선정 기준)

  ① 코로나19의 새로운 위험요소를 발굴하는데 기여한 경우

  ② 코로나19 방역관리 정책이나 점검에 도움이 되는 신고

  대규모 행사·모임으로 코로나19 확산 등 국민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큰 신고 등

 ※ 주요 신고시설 사례

  - 게스트하우스 파티, 요양원, 공연장 팬클럽, 독서실, 종교시설, 프로야구장, 무인 스터디 카페, 물류센터, 대형기숙사학원, 락볼링장, 한증막, 구내식당, PC, 클럽, 환기 미실시 등

 

최복수 재난협력실장은 “안전신고에 적극 참여해 주신 국민들에게 감사를 드리고, 코로나19 상황은 정부만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국민의 보다 적극적인 이해와 참여가 있어야만 확진자 증가 추세의 반전을 기대할 있다”고 강조하며,

  “국민들의 참여와 향후 코로나19 추이를 보면서 국민과 적극 소통할  있는 안전신고 운영 대책을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참고1

 

 코로나19 안전신고 운영(국민 참여로 생활 위험요소 발굴)

도입 배경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의 점검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국민의 신고를 통해 방역 사각지대 발굴 필요

  국민들이 쉽게 참여할 있도록 안전신문고 내에 코너 개설

운영 개요

  (안전신고) 안전신문고 「코로나19 안전신고」개설(7.1~)

  (신고대상) 방역수칙·집합금지 위반, 자가격리 무단이탈, 제안

  (신고현황)  (12.31. 기준) 64,283 신고 / 55,062 처리(처리율 85.7%)

      7월 1,779건 → 8월 8,071건 → 9월 8,343건 → 10월 4,654건 → 11월 10,036건 → 12월 31,400

  (처리절차)

(국민코로나19 안전신고*

(행안부)

소관기관 분류

(해당기관) 신고 접수 후 7일 이내 처리·통보**

(행안부) 사후관리

 

  * (신고방법) 안전신문고 앱(휴대폰) 및 포털(www.safetyreport.go.kr)에서 신고 가능

 ** (처리결과) 처리결과는 핸드폰 문자메시지, 카카오톡 등 통해 쉽게 확인 가능

운영 성과

  국민의 목소리를 관계기관과 공유, 방역정책 수립 보완

    * 매일 중대본 회의 시 주요 신고사례를 분석하여 보고, 관계기관과 공유를 통해 각 부처별 방역정책에 개선 반영

  신고 빈도가 높은 시설 대해 관계기관, 지자체에서 중점 점검

    * (위반시설) 식당, 실내체육시설, 카페, 종교시설, 대중교통, 학교 등

  신고사례 분석을 통해 방역 사각지대 발굴·점검

향후계획

  안전신고 사례 분석을 통해 사각지대 발굴, 방역정책 보완(계속) 

  국민과 적극적 소통을 위한 코로나19 안전신고 홍보(계속)


[행정안전부 2021-01-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36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환자에서 당뇨병 조기예측 및 중재 가능성 열린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7 58
4735 건강기능식품 안전성·규제합리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7 58
4734 식약처, 의약품 불법 유통.판매업자 20명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2 58
4733 나이지리아 방문 시 수막구균성수막염 감염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4 58
4732 암 사망률 1위 ‘폐암’, 진료 잘하는 병원은 어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8 58
4731 김밥.도시락 제조업체 등 전국 합동점검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7 58
4730 해외 호텔 예약 관련 불만상담 2배 이상 급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5.02 58
4729 쯔쯔가무시증 발생 증가, 감염 주의 재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5 58
4728 사립대학교 궁금한 정보, 이제 인터넷으로 손쉽게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1 58
4727 농수산물 원산지표시 위반 재범자 처벌 대폭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2 58
4726 전월 대비 가격 상승·하락률 상위 20개 품목 분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6 58
4725 산후조리원 부가서비스 사전설명 미흡으로 소비자 불만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2 58
4724 전자상거래 사기피해 소비자에 최대 20만원까지 지원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3 58
4723 주방용품 똑똑하게 사용하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0 58
4722 학교 주변 판매식품 제조.가공업체 점검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1 58
Board Pagination Prev 1 ...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611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