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4436b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41pixel, 세로 425pixel

보도참고자료

   

2021. 1. 8.()

담 당 과

식품안전정책국 식품관리총괄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식약처_국_상하.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17pixel, 세로 945pixel

   

최종동

(043-719-2051)

사 무 관

박현정

(043-719-2055)

위해식품은 마트 등에서 계산 전에 차단돼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소비자가 안심하고 식품을 구매 있도록 매장 계산대에서 위해식품* 자동으로 판매 중지시키는 위해식품 판매차단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차단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판매업소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 위해식품

 

 ✓ 식품 섭취로 인해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는 식품으로서 미생물 기준·규격 초과, 금속 등 이물 혼입, 알레르기 미표시 제품 등

  위해식품 판매차단 시스템은 위생점검, 수거‧검사를 통해 부적합 판명된 식품의 바코드 정보를 마트 판매업체의 계산대(POS*) 신속히 전송하여, 바코드를 스캔하는 순간 해당 식품의 판매가 차단되는 시스템으로 2009년부터 운영해 왔습니다.  

    * POS(Point of Sale, 판매시점 정보관리) : 컴퓨터에 카드 결제 장치(바코드 인식기 포함)를 달아 판매시점의 상품명, 가격 등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

  식약처는 대한상공회의소와 협업해 전국의 주요 대형마트, 편의점, 프렌차이즈, 슈퍼마켓 유통업체와 나들가게 중소형 매장에도 차단시스템을 설치·운영하고 있습니다(17만여곳).

  - 위해식품 판매차단 시스템이 설치된 매장은 ‘운영매장 표지판’이 부착돼 있으며, 판매자가 사전에 위해식품 정보를 인지하지 못해 시스템을 통해 제품 구매가 자동 차단되므로 소비자는 안심하고 식품을 구매할 있습니다.

 

약처는 앞으로도 안전한 식품유통 환경을 조성하고 위해식품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판매차단 시스템의 설치를 희망하는 판매업 영업자는 식약처 또는 식품안전정보원(1811-7296)으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해식품 정보는 식품안전나라 누리집(www.foodsafetykorea.go.kr) > 위해·예방 > 위반식품 업체정보 > 회수·판매중지에서 확인할 있습니다.

    * 식약처 누리집(www.mfds.go.kr) > 법령/자료 > 홍보물자료 > 동영상홍보물배너에서 ‘위해식품 판매차단 시스템’ 홍보 동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 바랍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21-01-0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840 영유아 1명당 평균 보육비용 ´12년 대비 41%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01 97
11839 농식품부, 2015 식품산업 원료소비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4 97
11838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초기감염 확인진단체계 도입1년, 진단소요일 단축에 큰 효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8 97
11837 자동차관리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11 97
11836 2015년 심사진료비 총 66조원, 전년 대비 6.5%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5 97
11835 최근 뎅기열 신고 증가에 따른 감염 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4 97
11834 과태료 부과 등 리콜이행 강제수단이 강화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3 97
11833 軍복무 중 고문피해 입었다면 보훈대상자로 인정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3 97
11832 무주택 서민의 내집마련 부담을 덜어드립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4 97
11831 농수산식품 원산지표시 확대로 국민 알권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3 97
11830 설 명절엔 "안전한 먹거리 OK! 부적절한 선물수수 NO!"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8 97
11829 국민 생활 속으로 파고드는 정부3.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6 97
11828 금융소비자 불편사항 32건이 개선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6 97
11827 래핑차일드 유아용 의류, 품질 미흡으로 자발적 환급 또는 무상 교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2 97
11826 설명자료(MBC ‘유통기한 남았는데 역겨운 맛이? 수입과자 관리 엉망’ 보도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5 97
Board Pagination Prev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