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환경부, 1회용품과 플라스틱을 근본적으로 줄이기 위한 탈플라스틱 운동 전개

▷ 환경부 장관, 김동현 선수, 염태영 수원시장, 박서정 자원순환 미래세대 대표 등으로 이어져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1회용품과 플라스틱을 근본적으로 줄이기 위한 생활 속 탈(脫)플라스틱 실천을 약속하고 이어가는 실천 운동을 1월 4일부터 시작한다.


생활 속 탈플라스틱 실천 운동의 주요내용은 생활 속에서 하지 말아야 할 일 1가지 행동과 할 수 있는 1가지 행동을 약속하는 '고고 릴레이*'이다.
* 플라스틱 줄이기를 위해 '(하지 말아야 할 한 가지를 거부하)고, (해야 할 한 가지 실천을 하)고'에서 따온 말로,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실천 운동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의미를 담고 있음


탈 플라스틱 실천운동의 첫 주자는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다.


조명래 장관은 1월 4일 오전 '일회용 빨대 사용하지 않기, 텀블러 사용하기' 등 생활 속 탈(脫)플라스틱 실천을 약속하고, 그 내용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환경부 페이스북 및 인스타그램에 올렸다.
※ 환경부 페이스북(http://www.facebook.com/mevpr) 및 인스타그램(http://www.intagram.com/ministry_environment)


다음 실천 주자로 조명래 장관은 김동현 격투선수, 염태영 수원시장, 박서정 자원순환 실천 플랫폼 미래세대 대표 등 탈플라스틱 전환에 관심이 많은 3명을 지명했다.


최근 활발한 방송 활동을 펼치고 있는 김동현 선수는 지난해 환경부의 '투명 페트병 별도 배출' 공익 광고에 출연한 바 있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 초대 대표이며, 박서정 자원순환 실천 플랫폼 미래세대 대표는 자원순환 사회에 앞장서는 고등학생이다.


이들 3인은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거부하는 실천 약속을 본인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리고 각자 다음 도전자를 지명하게 된다.


환경부는 플라스틱 줄이기 생활 속 실천 운동 국민 확산과 더불어, 내부 조직에서의 실천 운동도 시작한다.


장관에서 시작해 홍정기 차관, 박재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장준영 한국환경공단 이사장 등 3명으로 이어지는 실천 릴레이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내부 구성원에게 확산된다.


환경부는 탈플라스틱에 대한 국민의 공감과 참여 확대를 위한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행사도 1월 5일부터 두 달 동안 개최한다.


참여자는 플라스틱 줄이기를 위한 두 가지 실천을 약속하고, #탈플라스틱, #고고챌린지, #플라스틱줄이기 해시태그를 첨부한 본인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게시물을 올려 행사에 참여할 수 있다.


행사 참여자 수에 따라 500원씩 적립하여, 행사가 끝난 후 참여자에게는 추첨을 통해 자원순환을 실천할 수 있는 소정의 선물을 증정할 예정이다.


조명래 장관은 "탄소 중립과 탈플라스틱 사회로의 전환은 피할 수 없는 과제"라며, "일상에서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재활용품, 다회용품을 사용하고 일회용품을 거부하는 작은 노력이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라며 국민들의 실천 운동 참여를 당부했다.



[ 환경부 2021-01-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60 친환경 녹색제품, 이제 온라인 녹색매장에서 구매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9 12
1459 친환경 농산물 인증기관 특별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4 46
1458 친환경 도시락, 전국 21개 국립공원으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1 15
1457 친환경 보일러 보조금 신청, 이젠 인터넷으로 편리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09 9
1456 친환경 서비스 호텔, 환경보호 노력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06 103
1455 친환경 야영방법 알려주는 야영학교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1 35
1454 친환경 제품 광고 모니터링 결과, 절반이 환경성 인증마크 사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4 41
1453 친환경농산물 시장, 2020년까지 2.5조원으로 확대 (‘15: 1.4조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1 113
1452 친환경농산물의 비의도적 농약 오염에 대한 행정처분 개선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1 45
1451 친환경농산물의 소비자 신뢰 제고를 위한 친환경 인증관리 강화 및 관리 체계 개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5 92
1450 친환경인증농지에서 농약이 검출되었다면, 임대한 농지라도 인증변경을 하지 않은 농민이 책임져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4 41
1449 친환경자동차 충전구역 불법주차, 안전신문고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11 12
1448 친환경차 충전소 도로점용료 50% 감면 · 1만원 미만 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8 38
1447 침낭, 보온성·세탁 후 뭉침 정도에서 제품별로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4 16
1446 침대, 주식·투자자문, 인터넷·모바일정보이용서비스 고령소비자 상담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8 22
Board Pagination Prev 1 ... 824 825 826 827 828 829 830 831 832 83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