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파 시에는 외출을 자제하고, 보온에 신경 쓰고, 가능한 술을 마시지 마세요.

     * 내복이나 얇은 옷을 겹쳐 입고, 장갑·목도리·모자·마스크로 따뜻하게 입기

어르신, 어린이, 만성질환자는 외출을 삼가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하세요.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12월 30일(수)부터 기온이 큰 폭으로 하강하면서 1월 8일(금)까지 전국적인 한파가 지속된다는 기상청 전망에 따라 한랭질환*에 주의를 당부하였다.


   * 한랭질환은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질환으로 저체온증, 동상, 동창이 대표적이며 대처가 미흡하면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음


 ○ 특히 이번 한파는 체감온도가 –20℃까지 떨어지면서 올 들어 가장 춥겠고 1월 초까지 강추위가 이어질 전망으로, 갑작스런 추위에 신체가 덜 적응되고 극심한 추위에 노출로 피해가 가중될 수 있어 한랭질환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 기상청 보도자료 ‘연말연시 전국 강추위’ (12.28.)


□ 올해(’20.12.1~12.28) 질병관리청「’20-’21절기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보고된 한랭질환자는 110명, 이 중 사망자는 2명으로 2019년 같은 기간(한랭질환자 113명, 사망자 0명)에 비해 2.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매년 12월부터 2월까지 전국 약 500개 협력 응급실로부터 한랭질환자 진료현황을 신고 받아 매일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국민과 유관기관에 정보 제공


 ○ 올해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65세 이상이 55명(50.0%)으로 많았고, 발생장소는 실외가 82명(74.5%)이었다.


   - 실외에서는 길가 33명(40.2%)와 주거지주변 22명(26.8%)이 많았으나 이 밖에 강가‧해변‧산 14명(17.1%), 실외작업장 3명, 미상 10명이었고, 실내 발생은 28명으로 집안 23명(82.1%), 건물 안 등이 5명(17.9%)이었다.


 ○ 또한, 한랭질환자 중에 음주 상태였던 사람은 29명(26.4%), 치매를 가진 사람은 10명(9.1%)(실내 5명, 실외 5명) 보고되었다.


□ 한랭질환은 심각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지만 건강수칙을 잘 지키는 것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다. 질병관리청은 한파에 의한 한랭질환 등 건강피해를 줄이기 위해 「한파대비와 한랭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수칙 바로알기」(개정판)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 이 자료에는 한파 시 일반 건강수칙은 물론 어르신, 어린이, 만성질환자 등 더욱 주의가 필요한 취약계층의 대처 요령과 이 밖에 심근경색, 뇌졸중, 낙상사고, 호흡기질환 등 겨울철에 특히 주의해야할 질환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 특히 어르신과 어린이는 일반 성인에 비해 체온 유지에 취약하여 한파 시에는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보온에 신경 써야 하며, 난방이 적절하지 않은 실내에서 지내는 경우 한랭질환 발생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 만성질환자(심뇌혈관, 당뇨병, 고혈압 등)는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등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 갑작스런 추위 노출과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해야 한다.


 ○ 또한,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고 추위를 인지하지 못해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에는 가능한 술을 마시지 않습니다.


〈 한파 대비 일반 건강수칙

 

생활 습관


- 가벼운 실내운동, 적절한 수분섭취와 고른 영양분을 가진 식사를 합니다.


실내 환경


- 실내는 적정온도(18~20)와적정습도(40%~60%)유지합니다.


외출 전


- 날씨정보(체감온도 등)를 확인하고 추운 날씨에는 가급적 야외활동을 줄입니다.


외출 시


- 내복이나 얇은 옷을 겹쳐 입고, 장갑·목도리·모자·마스크로 따뜻하게 입습니.




〈 한파 관련 특히 주의가 필요한 경우  

 

어르신과 어린이


- 일반 성인에 비해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이 약하므로 한파 시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평상시와 외출 시에 보온에 신경 쓰세요*.


* 내복이나 얇은 옷을 겹쳐 입고, 장갑·목도리·모자·마스크로 따뜻하게 입습니다.


 

만성질환자(심뇌혈관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


-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상승하고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위에

  갑자기 노출되지 않게 주의하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하세요.


 

음주


-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만 추위를 인지하지

  하여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에는 가능한 술을 마세요.


    

낙상(노인, 영유아, 퇴행성관절염과 같은 만성질환자)


- 빙판길, 경사지거나 불규칙한 지면, 계단을 피해 가급적 평지나 승강기를 이용하고,

  장갑을 착용하여 주머니에서 손을 빼고 활동합니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연말연시 전국적으로 강력한 한파가 예상되고,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임을 고려하여,


 ○ 이번 연말연시에는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고, 행사나 모임을 취소하는 등 사회적 거리 두기에 적극 동참해 달라”고 밝히며 한랭질환과 코로나19 예방에 힘써주실 것을 거듭 당부하였다.


 ○ 아울러, “독거노인과 노숙인, 치매 등 만성질환자는 한파에 특히 취약하므로 지자체와 이웃, 가족의 각별한 관심을 당부 드리며, 취약계층에 대한 한랭질환 예방을 위해 관계부처 및 지자체와 지속 협력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 2020-12-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939 휴대폰 사기판매 이용자 피해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2.08.08
1938 절연 미흡으로 인한 화재발생 위험 있는 스마트 전기오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2.04.01
1937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2.02.14
1936 “상조서비스 계약 시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12.09
1935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SANTAROME BIO 건강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12.01
1934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등록 및 이용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11.15
1933 기준 초과 비소 함유한 Bubs Organic Banana Rice 영유아용 시리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10.08
1932 체증형 종신보험 가입시 유의하세요!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08.25
1931 무등록 제조한 기타농산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07.29
1930 전지함 고정이 미흡해 삽입된 단추형 전지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어린이 손목시계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07.28
1929 제품명을 잘못 표시하여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는 enerBio 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05.26
1928 자연연소 주의사항 표시가 없는 Walrus Oil 가구광택제 4종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03.18
1927 식용불가 농·임산물 및 관련 식품이 유통되고 있어 소비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0.11.18
1926 방역수칙 철저히 지키며 안전한 문화생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0.11.06
1925 온라인 광고대행 관련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19.12.03
1924 수두.유행성이하선염 증가 대비,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18.10.29
1923 치아 투명교정, 부실진료 관련 소비자불만 크게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18.03.29
1922 “ 죽음에 이르는 질식사고, 봄철에 가장 많이 발생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18.03.15
1921 미승인 성분 포함으로 리콜된 Sante 안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3.07.12
1920 일부 부품 쉽게 분리되어 질식 위험있는 Wearxi 농구골대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2.03.07
Board Pagination Prev 1 ...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