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1절기 한랭질환 감시체계 첫 추정 사망자(저체온증) 신고

 

한파 시 고령자·어린이·만성질환자 등 실외활동 자제 등 한랭질환 예방수칙 준수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12월 13일(일)부터 시작된 한파가 확대되고 이번 주 목요일(12.17.)까지 지속되어 올 겨울 가장 추울 것’ 이라는 기상청 전망에 따라 한랭질환* 주의를 당부하였다.


   * 한랭질환은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질환으로 저체온증, 동상, 동창이 대표적이며 대처가 미흡하면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음


□ 올해(’20.12.1~12.14) 질병관리청「’20-’21절기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보고된 한랭질환자는 52명**이었고, 12월 15일(화)에는 경북에서 저체온증으로 추정되는 한랭질환 사망자 1명(50대, 여성)이 신고 되었다.


   * 매년 12월부터 2월까지 전국 약 500개 협력 응급실로부터 한랭질환자 진료현황을 신고 받아 매일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국민과 유관기관에 정보 제공


   ** ’19-’20절기 동기간(한랭질환자 70명, 사망자 0명) 대비 24.3% 감소


 ○ 해당 사망자는 집 밖 계단에서 08시경 발견되어, 병원으로 옮겨져 심폐소생술 등 처치를 받았으나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 당 사망자는 12.16.(수) 16시에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발표되는 집계에 포함


      (http://kdca.go.kr>정책정보>기후변화>한파>감시체계신고현황, 상세신고결과)


□ 한랭질환은 심각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지만 건강수칙을 잘 지키는 것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므로「한파대비 건강수칙」의 준수가 중요하다.


〈 한파 대비 일반 건강수칙 〉

 

생활 습관

- 가벼운 실내운동, 적절한 수분섭취와 고른 영양분을 가진 식사를 합니다.

 

실내 환경

- 실내는 적정온도를 유지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합니다.

 

외출 전

- 날씨정보(체감온도 등)를 확인하고 추운 날씨에는 가급적 야외활동을 줄입니다.

 

외출 시

- 내복이나 얇은 옷을 겹쳐 입고, 장갑·목도리·모자·마스크로 따뜻하게 입습니다.

 


 ○ 특히 어르신과 어린이는 일반 성인에 비해 체온 유지에 취약하여 한파 시에는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보온에 신경 써야 하며, 난방이 적절하지 않은 실내에서 지내는 경우 한랭질환 발생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 만성질환자(심뇌혈관, 당뇨병, 고혈압 등)는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등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 갑작스런 추위 노출과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해야 한다.


 ○ 또한,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고 추위를 인지하지 못해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에는 과음을 피하고 절주해야 한다.


〈 한파 관련 특히 주의가 필요한 경우 〉

어르신과 어린이

- 일반 성인에 비해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이 약하므로한파 시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평상시와 외출 시에 보온에 신경 쓰세요.

 

만성질환자(심뇌혈관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

-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상승하고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추위에

갑자기 노출되지 않게 주의하고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하세요.

 

음주

-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만 추위를 인지하지

못하여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에는 과음을 피하고 절주하세요.

 

낙상(노인, 영유아, 퇴행성관절염과 같은 만성질환자)

- 빙판길, 경사지거나 불규칙한 지면, 계단을 피해 가급적 평지나 승강기를 이용하

, 장갑을 착용하여 주머니에서 손을 빼고 활동합니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올겨울은 기온 변동성이 커 갑작스런 한파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을 고려하여 필수적인 경우 이외 외출을 자제하고, 연말 연시 행사나 모임을 취소하는 등 사회적 거리두기에 적극 동참하여 코로나19와 한랭질환 예방에 힘써주실 것을 거듭 당부 한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 2020-12-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90 물놀이 사고…음주수영은 50대 이상, 수영미숙은 10대가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18.08.08
2789 물놀이 안전수칙 정보무늬(QR코드)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1.06.16
2788 물놀이,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르신도 주의해야 !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18.07.19
2787 물티슈 정확히 알아보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0.04.01
2786 물티슈 판매중단 및 교환 또는 환불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5 2016.09.08
2785 뮈싱쇠 비치체어(해변의자) 전액 환불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63 2017.01.26
2784 미생물 검출된 완하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2.08.23
2783 미생물 기준 초과 검출된 피부연고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08.23
2782 미생물 오염 가능성 있는 Kate Farms 영양 음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10.17
2781 미생물 오염 가능성 있는 라자냐 소스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9.26
2780 미생물 오염 가능성 있어 리콜된 M.Asam 파운데이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11.14
2779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Bausch+lomb 렌즈액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4 2021.07.12
2778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Bausch+lomb 렌즈액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1.09.14
2777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Bausch+lomb 렌즈액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1.11.04
2776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ION 비강 스프레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3.12.19
2775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Ozona Organics 반려동물 프로바이오틱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1.21
2774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미야자키 토무라 드레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3.11.21
2773 미생물 오염으로 감염이나 염증 유발 위험 있는 Ere Perez 화장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8 2021.05.24
2772 미생물 증식 가능성 있어 리콜된 Floradix 액상 마그네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11.14
2771 미생물 증식 가능성 있어 리콜된 Floradix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3.02.10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