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최근 중국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보건용 마스크의 구입 및 사용 요령, 주의사항 등에 대한 안전관리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 :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아주 가늘고 작은 먼지 입자로 각종 폐질환을 유발하는 대기오염물질. 먼지크기에 따라 PM10(직경 10μm 이하, 머리카락 크기의 1/6이하), PM2.5(직경 2.5μm 이하)로 구분
○ 의약외품으로 허가를 받은 보건용 마스크는 일반 마스크와 달리 황사, 미세먼지 등 미세입자를 걸러내는 성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호흡기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 보건용 마스크는 평균 약 0.6 μm 이하 크기의 입자를 80% 이상 걸러낼 수 있어 황사, 미세먼지와 같은 입자성 유해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다.
- 현재 의약외품으로 허가된 ‘보건용 마스크는’ 35개사 141제품이다.
○ 구입 시에는 입자차단 성능이 없는 방한대, 의약외품으로 허가받지 않은 무허가 마스크 등이 황사, 미세먼지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광고․판매되는 사례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
- 특히 약국, 마트, 편의점 등에서 ‘보건용 마스크’를 구입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제품의 외부 포장에 ‘의약외품’이란 문자와 KF80, KF94 표시를 꼭 확인해야 한다.
* KF(Korea Filter): 보건용 마스크는 KF문자 뒤에 숫자를 표시하여 해당 제품의 입자차단 성능을 나타냄. 예) KF80-평균 입자크기 0.6㎛ 미세입자를 80% 이상 차단, KF94-평균 입자크기 0.4㎛ 미세입자를 94% 이상 차단
○ 보건용 마스크는 세탁하면 모양이 변형되어 기능을 유지할 수 없고 오히려 먼지나 세균에 오염될 수 있으므로 세탁하여 재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 또한 수건이나 휴지 등을 덧댄 후 마스크를 사용하면 밀착력 감소로 인해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식약처는 미세먼지가 심할 때 외출을 가급적 자제하되 외출 시에는 의약외품으로 허가받은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고, 외출 후 집에 돌아와서는 반드시 얼굴과 손발 등을 깨끗이 씻는 등 생활습관을 좀 더 철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12-2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993 누드본즈 / NUDEBONES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1.09.16
1992 벤젠 검출된 Coppertone 유아용 자외선 차단 스프레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1.12.21
1991 벤젠 검출된 Aussie 드라이샴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2.03.14
1990 알레르기 유발성분 미표기한 Develey 소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2.06.08
1989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7)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2.06.08
1988 ‘유명 연예인‘을 내세우면서, ‘플랫폼, NFT 투자‘ 등을 통해 ‘고수익이 가능하다‘고 유혹하는 불법 자금모집 업체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3.02.09
1987 식약처, 구강용 ‘벤조카인 제제’ 24개월 미만 영아에 사용 금지토록하는 안전성 서한 배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18.05.29
1986 국민 10명 중 7명은 아파트 단지 내 보행안전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18.05.31
1985 추석연휴, 교통사고와 주택화재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18.09.13
1984 “ 휴대폰 사기판매 피해 주의!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19.03.26
1983 2006년생 여학생, 올해 12월말까지 사람유두종바이러스백신 1차 접종 완료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19.12.12
1982 라벨에 전성분 표시가 잘못된 Jurlique 에센스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0.07.01
1981 여름철 물놀이 사고에 주의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0.07.09
1980 단추 탈락으로 영유아 삼킴·질식 위험 있는 유아용 겉싸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0.08.24
1979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Olde Thompson 고수 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1.07.12
1978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WIFI 연결 멀티탭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1.09.14
1977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SANTAROME BIO 건강식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1.09.13
1976 알레르기 성분(겨자) 미표시한 Nomad Nutrition Kathmandu Curry 카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1.10.08
1975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2.06.08
1974 단추형 전지 단자함 고정 미흡으로 부상 및 사망 위험 있는 Fender 기타조율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3.02.14
Board Pagination Prev 1 ...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