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국민권익위, "장기기증 활성화 및 기증자 예우 강화, 그 방안은?"

국민의견 수렴

-이번 달 4일부터 18일까지 국민생각함 국민의견 수렴 후 제도개선 추진-

 
□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이번 달 4일부터 18일까지 온라인 정책참여 공간인 국민생각함에서 “장기기증을 활성화하고 기증자·유가족 예우와 지원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 국민의견을 받는다.
   이후 국민권익위는 국민생각함 국민의견과 국민신문고 민원분석, 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해 제도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 설문항목은 ▲ 뇌사자 장기기증 희망등록 인지여부 및 의향 ▲ 생존 장기기증자 건강관리 지원방안 ▲ 장기기증자 및 유가족 예우에 대한 인식 ▲ 생존 장기기증자 및 사후 장기기증자의 유족에 대한 정부 지원방안 등 총 8개다.
   이외에도 설문참여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책방안을 자유롭게 제시할 수 있도록 했다. 국민권익위는 설문에 참여한 국민 중 100명을 선정해 5천원 상당의 커피상품권을 지급할 계획이다.
   설문은 국민생각함에서 진행하며 비회원인 경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 또는 휴대전화 등으로 본인 인증을 거쳐 참여하면 된다.
    *국민생각함 화면에서   ‘장기기증’ 으로 주제어 검색
     설문참여:https://www.epeople.go.kr/cmmn/idea/redirect.do?ideaRegNo=1AE-2012-0000142 
□ 장기이식 활성화를 위해 관련 법령*이 제정된 지 20년이 지났지만 우리나라 뇌사자 장기기증자 수는 인구백만명당 8.7명으로 스페인 48.9명, 미국 36.9명, 영국 24.9명에 비해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장기기증 대기자(골수, 각막 제외)의 경우 2017년 34,187명, 2018년 37,217명, 2019년 40,253명으로 해마다 증가 추세지만 기증자 부족으로 이식을 기다리다가 사망하는 환자는 하루 5.2명에 달했다.
   때문에 불법 장기매매, 해외원정 이식 등 심각한 사회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 가족과 지인에게 자신의 장기를 기증하는 ‘생존 시 장기기증’ 비율은 높지만, 이로 인해 정신적‧신체적 후유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 이들에 대한 보호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 국민권익위 전현희 위원장은 “국민의견을 수렴해 합리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국민 한분, 한분의 의견이 정책 수립과 변화로 이어지는 만큼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린다.”라고 당부했다.

[국민권익위원회 2020-12-0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74 전기장판, 온도균일성·소비전력량에서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30 11
9673 아이들이 일상을 보내는 학교와 어린이집 안전정보 한 눈에 확인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30 21
9672 내년부터 풍수해보험료 70% 이상 정부에서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30 11
9671 내년부터 국가건강검진 후 결핵 확진검사 무료, 보건소 결핵 검진결과서 온라인 발급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4 37
9670 곰팡이독소 기준 초과 '수수분말'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4 21
9669 한국지엠, 비엠더블유, 아우디, 에프씨에이, 닛산 결함시정(리콜) 실시[총 5개사 210,738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4 20
9668 전국 공동주택에서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의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3 43
9667 미세먼지 운행제한 차량, 환경개선부담금 감면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3 39
9666 여러분도 안전한 헌혈에 동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3 49
9665 생후 14~35일 영유아까지 영유아건강검진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3 34
9664 서민들의 고금리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법정 최고금리를 20%로 인하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3 37
9663 2021년 표준지 공시지가(안) 24일부터 열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3 19
9662 2020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 종합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3 15
9661 영양정보 확인, 나트륨 섭취 줄이기의 지름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2 19
9660 아산화질소 카트리지 내년부터 사용 못 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2 36
Board Pagination Prev 1 ...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