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국립공원 시설 등 이용시 사회적 거리두기 필수

▷ 기상상황 확인 후 자신의 체력에 적합한 탐방계획 수립, 방한 복장 등 사전 준비를 철저하게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권경업)은 코로나19 재확산 방지를 위해 국립공원 시설 이용시 사회적 거리두기를 반드시 지킬 것과 겨울철 안전산행에 대해 당부했다.

※ 수도권에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호남권에 사회적 거리두기 1.5단계의 조치가 11월 23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소관 국공립시설의 방역 관리를 강화


겨울철 산행은 추위와 눈길로 체력소모가 심하고, 폭설·강풍 등 예측할 수 없는 기상이변이 많이 발생한다. 


산행 전에 반드시 기상정보 확인과 겨울철 산행에 필요한 아이젠, 각반(스패츠) 등 안전장비와 방한복, 모자, 장갑 등의 겨울용 산행용품을 반드시 갖춰야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겨울철에는 급격한 온도차로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하여 심장돌연사 및 뇌출혈의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충분한 준비 운동을 하고, 방한모를 쓰는 등 머리 부분을 따뜻하게 유지해야 한다.


또한, 초콜릿과 같은 열량이 높은 간식이나 비상식량을 준비해야 하며, 해가 떨어지기 2시간 전에는 산에서 내려가는 것이 좋다.   


국립공원공단은 탐방객들의 겨울철 안전산행을 위해 국립공원공단 누리집(www.knps.or.kr)에 기상현황, 산행장비, 사고 시 대응 요령 등을 제공한다.


또한 '국립공원 안전가이드 예약시스템(www.knps.or.kr/saferes/main.do)'을 통해 전문 안전 안내인(가이드)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한편, 국립공원에서 2015년부터 5년간 발생한 914건의 안전사고(부상) 중 겨울철(12월~1월)에 발생한 사고는 전체 20%인 187건을 차지했다. 


187건 중 골절은 전체의 59%인 110건이다. 다음으로는 상처가 35%인 66건, 탈진이 6%인 11건으로 나타났다. 골절과 상처를 합치면 전체의 94%로 겨울철 안전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5년간 사망 사고 83건 중 동사 사고는 1건이 발생했다. 다만 2014년 이후 6년간 발생한 동사 사고는 3건이다.


이승찬 국립공원공단 재난안전처장은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조되고 있는 지금 안전한 탐방이 되도록 노력을 다할 것이며, 겨울산행은 다른 계절에 비해 사고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산행 전에 탐방계획 등 사전 준비가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 환경부 2020-11-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71 피부 쥐젖(연성 섬유종), 함부로 제거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09.28
4070 피부 자극 성분 함유한 Clinic Clear 바디오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0.08.19
4069 피부 부작용 위험 있어 리콜된 여성용 니플 테이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2.13
4068 피부 및 안구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로진 성분 포함된 Rock Technologies 액체 초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3.03.10
4067 피부 감염 및 자극 위험 있는 Ecostore 영유아용 로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20.07.01
4066 피규어세상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3.02.07
4065 피규어 바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5 2022.08.23
4064 피규어 등 애니메이션 굿즈 인터넷쇼핑몰 애니큐브 피해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1.05.14
4063 플릭스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4 2021.06.02
4062 플러그 탈락 위험 있는 Brother 공기청정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10.17
4061 플러그 접촉핀 절연처리 되지 않아 감전 위험이 있는 Tetris 와플메이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4.02.15
4060 플러그 위험부위가 노출되는 LED 충전식 라이트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8 2017.04.19
4059 플러그 설계 불량으로 감전 위험 있는 Vevor 건습식 진공청소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9.07
4058 플라스틱 혼입 가능성 있는 Bounce 단백질 볼 식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0.12.07
4057 플라스틱 혼입 가능성 있는 Aptamil 영유아 시리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21.01.27
4056 플라스틱 파편 혼입 가능성 있는 IKEA 딸기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08.25
4055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Nabisco 과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4 2020.02.17
4054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Frisia 캔디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2.15
4053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Branston 피클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0 2020.05.21
4052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Branston 피클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3 2020.05.21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