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고용노동부(장관 이재갑)와 한국노동연구원(원장 배규식)은 현장 노사의 임금결정이나 노동자들의 직장이동 등에 참고할 수 있는 "'20.6월 기준, 사업체 특성별 임금분포현황"을 발표했다.

"사업체 특성별 임금분포 현황" 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중 임금구조부문(3년치)의 원자료 등을 활용하여 사업체 특성(규모.산업), 직무특성(직업.경력) 및 인적속성(성.학력) 별 임금수준을 도출한 것으로 현장의 기업이나 노동자들이 전반적인 임금분포 및 임금격차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임금정보이다.

이번에 발표한 임금분포현황은 ’17년부터 ‘19년까지 3년간의 임금통계를 ’20.6월 기준 임금수준으로 변환하여 분석한 결과로 ‘임금직무정보시스템(www.wage.go.kr)’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이 통계를 통해 특정 산업 내에서 사업체 규모나 직업별로 임금수준을 확인할 수 있고 직업별로도 사업체 규모나 경력, 성.학력 등에 따른 전반적인 연간임금 수준을 손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사업체 규모나 산업 또는 특정 직업 내에서의 경력이나, 성.학력 등에 따른 임금차이도 참고할 수 있다.
이번 통계를 바탕으로, 사업체 규모 또는 직업에 따른 ‘학력별’ 임금차이를 살펴보면(대졸 이상 노동자의 평균임금(=100) 기준)
【사업체 규모】대졸 이상 노동자의 평균임금과 비교한 ‘고졸 이하 노동자’의 임금차이는 500명 이상 사업체에서 가장 적은 반면(70.20%), 100~299명 사업체에서 가장 크고(59.20%),
【직업】‘고졸 이하 노동자’의 경우, 대졸 이상 노동자 대비 임금차이가 가장 적은 직업은 단순노무 종사자이며(87.34%), 임금차이가 가장 큰 직업은 판매종사자(64.17%)로 나타났다.

한편, 고용노동부는 ‘임금직무정보시스템(www.wage.go.kr)’을 통해 국민에게 유용하고 활용가치가 높은 다양한 임금.직무 관련 정보를 지속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임금정보’는 현장의 수요가 많은 업종별, 규모별, 직업별 등 다양한 변수를 조합해 세분된 임금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검색기능을 탑재(맞춤형 임금정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강화했다.
이를 통해 동종.유사 기업의 임금정보를 제공하여 자율적 임금격차 완화를 유도하는 한편, 공정임금 구축을 위한 임금.평가가체계 개선 컨설팅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류경희 노사협력정책관은 “사업체 특성별 임금분포 현황은 여러 변수를 조합하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임금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지난 2.18. 최초로 공개한 당시, 현장의 반응이 매우 뜨거웠던 것으로 기억”하며 “임금정보를 영업비밀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임금정보 기반의 확충과 다양한 통계의 제공이 장기적으로 노동시장 내 임금 격차 및 양극화 완화 등 공정한 임금질서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 고용노동부 2020-11-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9 전국 모든 초·중·고 학교장.영양사 대상 식중독예방 특별교육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9 260
208 아동학대를 근본적으로 예방하여 부모님이 믿고 맡길 수 있는 안전한 어린이집을 만들겠습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8 260
207 위택스로 법인지방소득세를 편리하게 신고납부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2 260
206 행자부·지자체 협업해 도로명주소 민원 적극 해결 관리자 2015.01.16 261
205 농업손실 보상 시 임차농민 ‘도장값’ 피해 없앤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30 261
204 대한민국 전자정부, 동유럽 진출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7 261
203 ‘국민신문고 민원서비스’수준 전반적 상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8 262
202 조명기기, 직류전원장치 등 81개 전기용품 리콜명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4 262
201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계약해지 관련 피해가 46.5%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1 263
200 과도한 온도상승 전기찜질기 등 결함보상(리콜)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3 263
199 전지카트리지 결함으로 화상·화재 우려 있는 아이리스오야마 충전식 진공청소기 판매중지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8 263
198 실내용전기용품 및 스포츠레저용품 38개 제품 리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1 265
197 프라이팬, 코팅 및 손잡이 강도 등 품질 대체로 우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0 266
196 플라스틱 수도꼭지도 욕실, 주방에 쓸 수 있게 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3 266
195 농업인안전재해보험으로 안심 농사 지으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2 267
Board Pagination Prev 1 ... 907 908 909 910 911 912 913 914 915 916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