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6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매년 11월 셋째 주)을 맞아 항생제 내성(‘슈퍼박테리아’)을 극복하기 위한 항생제 내성 예방 수칙 준수 및 실천을 강조하였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항생제 내성이 인류가 당면한 공중보건 위기가 될 것임을 경고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 극복을 위해 사람과 가축, 식품 및 환경 분야를 포괄한 다양한 분야의 노력이 필수라고 강조하고 있다.


   * 이러한 인식 확대를 위해 2015년부터 매년 11월 셋째 주를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World Antibiotic Awareness Week)’으로 지정하여 각 국가별 캠페인 실시를 권고하고 있음.


 ○ ‘18년 국내 인체 항생제 사용량(DDD*/1000명/일)은 29.8로 OECD 25개국 평균(18.6)보다 높은 수준으로, 우리 정부는 항생제 내성 예방을 위한 국제적 노력에 동참하여 보건의료와 농‧축‧수산, 식품, 환경 분야를 아우르는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16~‘20)」을 추진하고 있다.


<출처 : OECD Health Statistics 2020>


국가

스웨덴

노르웨이

체코

프랑스

한국

터키

25개국

평균

사용량

12.4

16.7

17.5

23.6

29.8

31.0

18.6


    * DDD(Defined Daily Dose) : 의약품 규정 1일 사용량


 ○ 이번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은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의 일환으로 일반국민이 동참하여 인식개선 및 실천 수칙을 준수함으로써 국가 대책을 견인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 항생제 내성 예방을 위해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이고 올바른 항생제 사용에 대한 인식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특히, 우리나라는 부적절한 항생제 처방이 27.7%* 수준이고 항생제가 필요 없는 감기 환자(급성상기도감염)에서 항생제 처방(‘19년: 38.3%, ’18년 :38.42%, ‘17년: 39.68%, ’16년: 42.9%)**이 높다.


     * 항생제 사용실태 분석 및 처방적정성 평가 체계 개발(‘18, 질병관리본부)


     ** ‘17~19년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결과(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일반인 대상 항생제 내성 인식도 조사(‘19년)*에 따르면,


   - ‘항생제가 감기 치료에 도움이 된다(40.2%)’, ‘항생제 복용기간을 지키지 않고 임의로 중단해도 된다(39.4%)’, ‘감기로 진료 받을 때 항생제 처방을 요구한 적이 있다(13.8%)’는 응답이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항생제에 대한 인식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 ‘19년 항생제 내성 예방캠페인 운영 결과보고(질병관리본부)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과 내성 예방을 위해 의료인뿐 아니라 국민 모두가 동참하여 항생제 내성 예방 수칙을 준수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항생제 내성 예방수칙】


  ①의사가 처방한 경우에만 항생제 복용하기, 처방받은 항생제는 용법과 기간을 지켜 복용하기, 남겨둔 항생제를 증상이 비슷하다고 임의로 먹지 않기, 항생제는 다른 사람과 나눠먹지 않기, 개인위생을 청결히 하고 예방접종으로 세균질환 사전에 예방하기


□ 질병관리청은 항생제 내성 예방에 대한 수칙 준수 및 실천을 돕고자 홍보물을 제작하여 질병관리청 소셜 채널 및 누리집(홈페이지)을 통해 온라인 등으로 게재할 예정이다(11월 셋째주).


 ○ 홍보물은 일반인용과 의료인용으로 제작되어 항생제 올바른 처방과 복용 오ㆍ남용 등을 주제로 영상물 3편과 항생제 내성 예방 수칙이 담긴 카드 뉴스 및 포스터 등으로 구성되었다.


 ○ 또한, 누구나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캠페인 음원(노래)도 제작하여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을 위한 실천을 촉구하고자 하였다.


 ○ 영상물과 카드뉴스 등 홍보자료는 질병관리청 누리집과 소셜 채널(페이스북, 카카오톡채널, 인스타그램 등)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 아울러,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국민 인식 제고 및 실천 등 항생제 내성 예방을 위한 범국가적 노력과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의 지속적 추진으로 국민건강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질병관리본부 2020-11-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29 안전기준 초과하는 E202 첨가제 함유해 리콜된 WuFuYuan 타피오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11.14
1828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Enlighten 장난감 총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62 2015.05.26
1827 안전사고 예방으로 즐거운 가을 축제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10.10
1826 안전성 검증되지 않은 TOAMIT 공간 제균 목걸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20.07.01
1825 안전성 검증되지 않은 마스크 패치, 사용하지 말아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6.08
1824 안전성 미흡한 Denver 어린이용 전동킥보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1.10.07
1823 안전성조사결과 리콜명령대상 제품(38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44 2016.07.05
1822 안전수칙 지켜 놀이시설 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18.05.02
1821 안전수칙 지켜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 특히 하천·강에서 물놀이 시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17.07.14
1820 안전용기 사용하지 않은 Rocky Mountain Oils 에센셜오일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1.01.27
1819 안전인증 받지 않은 Tupa 등산용 하네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1.04
1818 안전인증 의무화 등 승강기 안전관리 강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19.03.05
1817 안전적합성 평가를 받지 않은 안전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4.04.16
1816 안전정보 표시를 누락한 Coleman 휴대용 버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2 2021.12.27
1815 안전하고 희망찬 새해 맞이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18.12.27
1814 안전한 사회, 교통 안전수칙 지키기부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7.11.03
1813 안전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위한 예방수칙 준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0.10.26
1812 안전확인 표시를 하지 않은 한국잡월드 캐치볼 자발적 환급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83 2016.06.15
1811 안정세 유지를 위한 엠폭스 고위험군의 적극적 예방접종 및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3.07.31
1810 안트라퀴논 잔류 함량이 높은 Kharta 마테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2.08.26
Board Pagination Prev 1 ...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