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4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매년 11월 셋째 주)을 맞아 항생제 내성(‘슈퍼박테리아’)을 극복하기 위한 항생제 내성 예방 수칙 준수 및 실천을 강조하였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항생제 내성이 인류가 당면한 공중보건 위기가 될 것임을 경고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 극복을 위해 사람과 가축, 식품 및 환경 분야를 포괄한 다양한 분야의 노력이 필수라고 강조하고 있다.


   * 이러한 인식 확대를 위해 2015년부터 매년 11월 셋째 주를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World Antibiotic Awareness Week)’으로 지정하여 각 국가별 캠페인 실시를 권고하고 있음.


 ○ ‘18년 국내 인체 항생제 사용량(DDD*/1000명/일)은 29.8로 OECD 25개국 평균(18.6)보다 높은 수준으로, 우리 정부는 항생제 내성 예방을 위한 국제적 노력에 동참하여 보건의료와 농‧축‧수산, 식품, 환경 분야를 아우르는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16~‘20)」을 추진하고 있다.


<출처 : OECD Health Statistics 2020>


국가

스웨덴

노르웨이

체코

프랑스

한국

터키

25개국

평균

사용량

12.4

16.7

17.5

23.6

29.8

31.0

18.6


    * DDD(Defined Daily Dose) : 의약품 규정 1일 사용량


 ○ 이번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은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의 일환으로 일반국민이 동참하여 인식개선 및 실천 수칙을 준수함으로써 국가 대책을 견인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 항생제 내성 예방을 위해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이고 올바른 항생제 사용에 대한 인식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특히, 우리나라는 부적절한 항생제 처방이 27.7%* 수준이고 항생제가 필요 없는 감기 환자(급성상기도감염)에서 항생제 처방(‘19년: 38.3%, ’18년 :38.42%, ‘17년: 39.68%, ’16년: 42.9%)**이 높다.


     * 항생제 사용실태 분석 및 처방적정성 평가 체계 개발(‘18, 질병관리본부)


     ** ‘17~19년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결과(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일반인 대상 항생제 내성 인식도 조사(‘19년)*에 따르면,


   - ‘항생제가 감기 치료에 도움이 된다(40.2%)’, ‘항생제 복용기간을 지키지 않고 임의로 중단해도 된다(39.4%)’, ‘감기로 진료 받을 때 항생제 처방을 요구한 적이 있다(13.8%)’는 응답이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항생제에 대한 인식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 ‘19년 항생제 내성 예방캠페인 운영 결과보고(질병관리본부)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과 내성 예방을 위해 의료인뿐 아니라 국민 모두가 동참하여 항생제 내성 예방 수칙을 준수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항생제 내성 예방수칙】


  ①의사가 처방한 경우에만 항생제 복용하기, 처방받은 항생제는 용법과 기간을 지켜 복용하기, 남겨둔 항생제를 증상이 비슷하다고 임의로 먹지 않기, 항생제는 다른 사람과 나눠먹지 않기, 개인위생을 청결히 하고 예방접종으로 세균질환 사전에 예방하기


□ 질병관리청은 항생제 내성 예방에 대한 수칙 준수 및 실천을 돕고자 홍보물을 제작하여 질병관리청 소셜 채널 및 누리집(홈페이지)을 통해 온라인 등으로 게재할 예정이다(11월 셋째주).


 ○ 홍보물은 일반인용과 의료인용으로 제작되어 항생제 올바른 처방과 복용 오ㆍ남용 등을 주제로 영상물 3편과 항생제 내성 예방 수칙이 담긴 카드 뉴스 및 포스터 등으로 구성되었다.


 ○ 또한, 누구나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캠페인 음원(노래)도 제작하여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을 위한 실천을 촉구하고자 하였다.


 ○ 영상물과 카드뉴스 등 홍보자료는 질병관리청 누리집과 소셜 채널(페이스북, 카카오톡채널, 인스타그램 등)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 아울러,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국민 인식 제고 및 실천 등 항생제 내성 예방을 위한 범국가적 노력과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의 지속적 추진으로 국민건강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질병관리본부 2020-11-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91 실내용 페인트, 피부 과민반응 유발 우려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18.07.23
1890 실데나필 성분 함유되어 부작용 위험이 있는 Evelle Hilti 건강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22.05.04
1889 실데나필 성분 함유되어 부작용 위험이 있는 Wonderfull Honey 건강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2.05.04
1888 실리카겔 봉지 포장이 찢어진 Edison mama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3.11.21
1887 실리카겔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Nestle 코코아 분말(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3.01.13
1886 실리카겔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Nestle 코코아 분말(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23.01.13
1885 실명을 유발할 수 있는 VEVOR 레이저 각인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1.10.28
1884 실손 보상이 된다는 의사 말만 믿고 고가의 신의료기술 치료를 받았다가는 큰 낭패를 당할 수도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3.20
1883 실제 체온보다 낮게 표시되는 Beurer 비접촉식 체온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3.05.26
1882 심폐소생술 교육으로 물놀이 안전사고 대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9 2017.06.23
1881 싸구요 / ssa9yo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6.30
1880 싹딜(주식회사 엔씨지글로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2.12.26
1879 쌍용자동차(주) 코란도스포츠 차량 자동온도제어기(FATC) 무상수리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8 2017.04.26
1878 쌍용자동차㈜ 코란도C 차량, 이음 발생하는 선글라스케이스 무상수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6 2018.04.12
1877 썸데이룩 -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6.27
1876 쓰리엠(3M) 그라인더 디스크, 접합부 분리로 인해 부상 위험이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9.12.27
1875 쓴 아몬드의 비율이 높은 dmBio 아몬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07.13
1874 씨티마켓 / ctmarket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8 2020.07.17
1873 씰리침대 라돈 검출 관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9.02.14
1872 씻은 채소는 반드시 냉장보관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19.02.26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