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9-20절기(’19.12.1~’20.2.29) 한랭질환자 중 65세 이상 노년층 48.2%, 실외 발생 76.9%

한파 시 고령자·어린이만성질환자 등 실외활동 자제 등 수칙 준수

노약자는 실외 뿐 아니라 난방이 적절하지 않은 실내에서도 주의 필요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올해 11월 들어 일부 지역 아침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면서 일교차가 커지고, 갑작스런 추위에 신체 적응력이 떨어져 한랭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초겨울 한랭질환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한랭질환은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질환으로 저체온증, 동상, 동창이 대표적이며 대처가 미흡하면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다.


 ○ 기상청(겨울 수시 전망, 10.23.)에 따르면 올 겨울은 평년과 평균기온이 비슷하겠지만 찬 대륙고기압 확장 시 기온이 크게 떨어질 수 있어, 갑작스런 추위로 인한 한랭질환 발생에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 질병관리청은 올 겨울 한파로 인한 건강피해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올해 12월 1일부터 내년 2월 28일까지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가동할 계획이다.


 ○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는 한파에 따른 국민의 건강보호 활동을 안내하기 위해 한랭질환 발생현황과 주요특성을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으로,


   - 운영기간 동안 전국 약 500개 협력 응급실로부터 한랭질환자 현황을 신고 받아 매일 질병관리청 누리집(홈페이지)을 통해 국민과 유관기관에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24시까지 한랭질환자 응급실 내원 현황을 익일 16시 질본관리청 누리집에 게시(http://kcda.go.kr > 정책정보 > 기후변화 > 한파 > 감시체계신고현황, 상세신고결과)


□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지난 19-20절기 한랭질환 감시결과에 따르면, 19-20절기는 전국적으로 기상관측을 시작(1973년)한 이후 가장 따뜻한 겨울*이었고, 한랭질환자는 303명(사망자 2명 포함)이 신고 되어 18-19절기(’18.12.1~’19.2.28)** 대비 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20절기 평균 최저기온은–1.4℃로 평년 –4.2℃보다 2.8℃ 높았음(기상청)


     ** 18-19절기「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한랭질환자수 404명(사망자 10명)


 ○ 특히,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날에는 한랭질환자 신고가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고, 12월 첫 추위 시에는 기온 하강 폭에 비해  한랭질환자가 많이 신고된 것으로 나타나,


  - 신체가 추위에 덜 적응돼 있는 초겨울에는 갑작스런 추위 시 한랭질환의 위험이 크므로 더욱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고 밝혔다.


12

1

2

날짜

(1~10)

(11~20)

(21~31)

(1~10)

(11~20)

(21~31)

(1~10)

(11~20)

(21~29)

환자수

48

33

46

37

37

22

34

36

10

기온

-2.2

-0.4

-2.5

-1.6

-2.9

0.9

-4.4

-0.5

1.5


<2019-2020절기 평균 최저기온과 한랭질환자 신고 수(순기별) >


 ○ 19-20절기 한랭질환자의 세부특성을 살펴보면,


   -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이 전체 환자 중 48.2%(146명)로 가장 많았고, 고령일수록 저체온증과 같은 중증 한랭질환이 많았다.


     * 저체온증 환자의 51.6%(139명)가 65세 이상


   - 발생 장소는 길가나 집주변과 같은 실외가 76.9%(233명)로 많으나, 집에서도 17.5%(53명)*로 발생하였다.


     * 19-20절기 한랭질환자 중 0-9세의 71.4%, 65세 이상 고령층의 23.3%는 집에서 발생


   - 발생 시간은 기온이 급감하는 새벽·아침(0시~9시)이 43.9%(133명)로 많았다.


   - 또한, 한랭질환자 중 32.7%(99명)는 음주상태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 더욱 상세한 내용은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제공하는「2019-2020절기 한파로 인한 한랭질환 신고현황 연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열람 및 자료 내려 받기 위치 :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dca.go.kr) > 정책  정보 > 기후변화 > 한파 > 감시체계 연보


□ 한랭질환은 심각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지만 기본수칙을 잘 지키는 것으로 예방이 가능하므로, 다음의 한파 대비 건강수칙을 잘 숙지하고 준수해야 한다.


 

한파 대비 일반 건강수칙

 

 

 

생활 습관

- 가벼운 실내운동, 적절한 수분섭취와 고른 영양분을 가진 식사를 합니다.

 

실내 환경

- 실내는 적정온도를 유지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합니다.

 

외출 전

- 날씨정보(체감온도 등)를 확인하고 추운 날씨에는 가급적 야외활동을 줄입니다.

 

외출 시

- 내복이나 얇은 옷을 겹쳐 입고, 장갑·목도리·모자·마스크로 따뜻하게 입습니다.


 ○ 특히 어르신과 어린이는 일반 성인에 비해 체온 유지에 취약 하여 한파 시에는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보온에 신경 써야 하며, 난방이 적절하지 않는 실내에서 지내는 경우 한랭질환 발생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 만성질환자(심뇌혈관, 당뇨병, 고혈압 등)는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등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 갑작스런 추위 노출과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해야 한다.


 ○ 또한,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고 추위를 인지하지 못해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에는 과음을 피하고 절주해야 한다.


 

한파 관련 특히 주의가 필요한 경우

 

 

 

어르신과 어린이

- 일반 성인에 비해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이 약하므로 한파 시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평상시와 외출 시에 보온에 신경쓰세요.

 

만성질환자(심뇌혈관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

-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상승하고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추위에 갑자기 노출되지 않게 주의하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하세요.

 

음주

-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만 추위를 인지하지 못하여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에는 과음을 피하고 절주하세요.

 

낙상(노인, 영유아, 퇴행성관절염과 같은 만성질환자)

- 빙판길, 경사지거나 불규칙한 지면, 계단을 피해 가급적 평지나 승강기이용하고, 장갑을 착용하여 주머니에서 손을 빼고 활동합니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올겨울 한랭질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한파 특보에 주의하고 한파에 취약한 노숙인과 독거노인 등에 대해 지자체와 이웃, 가족의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하며, 한파 대비 건강수칙을 잘 지켜줄 것을 거듭 강조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0-11-1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513 본격적인 무더위 시작, 온열질환 주의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7.27
2512 본격적인 벌초 시기, 예초기 사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0.09.10
2511 본격적인 봄, 4월에는 이런 재난안전사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18.03.29
2510 본격적인 영농기,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2.04.14
2509 본격적인 휴가철, 물놀이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0.07.24
2508 본체 부분이 과열되어 화상 위험이 있는 전기 핫플레이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2.29
2507 볼거리와 먹거리가 풍성한 10월, 안전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19.09.27
2506 볼트가 탈락하여 낙상 위험이 있는 자전거 변속 브레이크 레버(Apex 모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3.27
2505 볼트가 탈락하여 낙상 위험이 있는 자전거 변속 브레이크 레버(Force 모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4.01
2504 볼트가 탈락하여 낙상 위험이 있는 자전거 변속 브레이크 레버(Red 모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4.01
2503 볼트가 탈락하여 낙상 위험이 있는 자전거 변속 브레이크 레버(Rival 모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4.01
2502 봄 나들이 갈 때 교통안전도 챙기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8.04.06
2501 봄 나들이 때 유모차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4.04
2500 봄 나들이철 위험 신고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18.04.02
2499 봄 산행, 덜 녹은 얼음과 서리에 미끄러지기 쉬우니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1.03.11
2498 봄 산행, 실족과 조난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2.03.24
2497 봄 이사철, 가스 안전 먼저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18.04.12
2496 봄나물 5종에서 기준초과 농약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04.03
2495 봄나물, 닮은 꼴도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1.03.15
2494 봄의 시작, 3월에는 이런 재난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19.02.27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