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다 쓴 전지류는 완구·소형가전 등에서 반드시 분리해 폐전지 전용수거함에 배출

▷ 환경부, '충전용 보조배터리 재활용 시범사업' 성과분석 후 올해 12월까지 분리배출·재활용 제도개선 추진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선별장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나 폭발 사고 위험요인을 차단*하고 재활을 활성화를 위해 충전용 보조배터리(리튬계 2차전지 폐기물)를 포함한 폐전지류의 올바른 분리배출 홍보를 강화할 예정이다.

* 충전용 보조배터리 또는 전지류, 이를 포함한 완구류나 소형가전 제품 등이 생활계 폐기물과 섞여 배출되면 선별, 재활용 과정에서 화재나 폭발사고를 일으킬 수 있음


(사)한국전지재활용협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국내 전지류 재활용률이 20%대*에 머물고 있으며, 이는 폐전지류에 대한 소비자의 분리배출과 유해성에 대한 인식 부족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 최근 3년 전지 재활용률: '17년(25.3%), '18년(21.6%), '19년(23.5%)


환경부는 일상생활 속에서 폐전지류의 올바른 분리배출이 정착될 수 있도록 11월 10일부터 전국 지자체 대상 폐전지류 분리배출 홍보물(가정용·사업장용 포스터)을 배포한다.


홍보물에는 가정에서 배출되는 완구류, 소형가전(노트북 배터리, 충전용 보조배터리 포함)에 내장된 전지류를 분리하여 폐전지류 전용수거함에 배출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노트북 배터리, 충전용 보조배터리 등도 폐건전지 전용수거함에 배출 가능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건전지는 해당 지자체와의 협의를 통해 배출하되, 유해물질 유출 방지 등을 위해 전지류에 붙어있는 배선 등을 임의로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배출해야 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한편, 환경부는 올해 9월부터 전국 10개 기초지자체*와 업무협약을 맺고 `충전용 보조배터리 재활용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은 시범사업의 분리배출부터 재활용까지의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달 중간점검을 실시했다.

* 부산광역시(수영구), 대구광역시(달서구, 북구), 대전광역시(유성구, 중구), 경상남도(창원시, 양산시, 김해시), 경상북도(구미시), 충청북도(청주시)


분리배출과정에서는 지자체로부터 총 55.8톤*의 폐전지류가 수거됐고, 그중 4개 지자체에서 0.15톤의 충전용 보조배터리가 선별되어 재활용업체로 입고됐다.

* 대구 달서구(9.5톤)·북구(6.6톤), 대전 유성구(3.3톤),·중구(5.3톤), 충북 청주시(10.5톤), 경북 구미시(11.5톤)·창원시(5.5톤)·양산시(3.6톤)


재활용과정에서는 재활용업체에서 충전용보조배터리를 방전한 후 분쇄하여 블랙파우더*와 알루미늄, 구리 등 유가금속을 분리하는 과정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있다.

* 양극활물질(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등)과 음극활물질(카본) 분말 혼합물


환경부는 올해 12월까지 시범사업을 진행한 후 성과분석 등을 거쳐 효과적인 충전용보조배터리 회수·재활용체계를 갖추는 한편, 생산자 등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을 통해 생산자책임자재활용제도(EPR) 도입 등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영기 자원순환정책관은 "폐기물의 안전한 처리 여건 조성과 자원순환사회를 선도하기 위해 폐전지류의 올바른 분리배출 실천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20-11-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39 추석 맞아 착한가격업소 이용 시 환급(캐시백) 행사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1 9
938 가을 매력이 가득한 섬으로 여행을 떠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1 11
937 취업 준비하느라 힘들죠? 청년들 ‘신청해’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2 8
936 주민 ‘생활고’ 해결 위해 강원·충북 찾아갑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2 11
935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 및 과세특례 신고(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2 10
934 “카드대출·결제성 리볼빙의 금리 비교공시가 강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2 10
933 온라인 중고거래에서도 의약품 판매는 안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2 10
932 9월 13일은 ‘세계 패혈증의 날’ 패혈증도 조기진단과 조기치료가 중요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2 9
931 한우 선물세트, 등급·가격 꼼꼼히 비교해서 선택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2 9
930 2023년 8월 강원특별자치도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3 12
929 고분자 흡수체(SAP)를 사용하지 않은 생리대의 흡수성능 양호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3 10
928 야생포유류 조류인플루엔자 예방 국민의 적극적인 신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3 10
927 대중교통에서 나오는 전자파 안전기준 충족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4 9
926 분양가상한제 기본형건축비 9월 정기고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4 14
925 인앱구매 상품, 앱마켓 간 최대 76.9% 가격 차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4 10
Board Pagination Prev 1 ... 857 858 859 860 861 862 863 864 865 866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