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다 쓴 전지류는 완구·소형가전 등에서 반드시 분리해 폐전지 전용수거함에 배출

▷ 환경부, '충전용 보조배터리 재활용 시범사업' 성과분석 후 올해 12월까지 분리배출·재활용 제도개선 추진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선별장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나 폭발 사고 위험요인을 차단*하고 재활을 활성화를 위해 충전용 보조배터리(리튬계 2차전지 폐기물)를 포함한 폐전지류의 올바른 분리배출 홍보를 강화할 예정이다.

* 충전용 보조배터리 또는 전지류, 이를 포함한 완구류나 소형가전 제품 등이 생활계 폐기물과 섞여 배출되면 선별, 재활용 과정에서 화재나 폭발사고를 일으킬 수 있음


(사)한국전지재활용협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국내 전지류 재활용률이 20%대*에 머물고 있으며, 이는 폐전지류에 대한 소비자의 분리배출과 유해성에 대한 인식 부족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 최근 3년 전지 재활용률: '17년(25.3%), '18년(21.6%), '19년(23.5%)


환경부는 일상생활 속에서 폐전지류의 올바른 분리배출이 정착될 수 있도록 11월 10일부터 전국 지자체 대상 폐전지류 분리배출 홍보물(가정용·사업장용 포스터)을 배포한다.


홍보물에는 가정에서 배출되는 완구류, 소형가전(노트북 배터리, 충전용 보조배터리 포함)에 내장된 전지류를 분리하여 폐전지류 전용수거함에 배출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노트북 배터리, 충전용 보조배터리 등도 폐건전지 전용수거함에 배출 가능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건전지는 해당 지자체와의 협의를 통해 배출하되, 유해물질 유출 방지 등을 위해 전지류에 붙어있는 배선 등을 임의로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배출해야 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한편, 환경부는 올해 9월부터 전국 10개 기초지자체*와 업무협약을 맺고 `충전용 보조배터리 재활용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은 시범사업의 분리배출부터 재활용까지의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달 중간점검을 실시했다.

* 부산광역시(수영구), 대구광역시(달서구, 북구), 대전광역시(유성구, 중구), 경상남도(창원시, 양산시, 김해시), 경상북도(구미시), 충청북도(청주시)


분리배출과정에서는 지자체로부터 총 55.8톤*의 폐전지류가 수거됐고, 그중 4개 지자체에서 0.15톤의 충전용 보조배터리가 선별되어 재활용업체로 입고됐다.

* 대구 달서구(9.5톤)·북구(6.6톤), 대전 유성구(3.3톤),·중구(5.3톤), 충북 청주시(10.5톤), 경북 구미시(11.5톤)·창원시(5.5톤)·양산시(3.6톤)


재활용과정에서는 재활용업체에서 충전용보조배터리를 방전한 후 분쇄하여 블랙파우더*와 알루미늄, 구리 등 유가금속을 분리하는 과정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있다.

* 양극활물질(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등)과 음극활물질(카본) 분말 혼합물


환경부는 올해 12월까지 시범사업을 진행한 후 성과분석 등을 거쳐 효과적인 충전용보조배터리 회수·재활용체계를 갖추는 한편, 생산자 등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을 통해 생산자책임자재활용제도(EPR) 도입 등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영기 자원순환정책관은 "폐기물의 안전한 처리 여건 조성과 자원순환사회를 선도하기 위해 폐전지류의 올바른 분리배출 실천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20-11-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545 국민 89.9% "1회용컵 보증금제도 도입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04 33
9544 국민 97.7%, “더 강력한 음주운전 방지 대책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01 9
9543 국민 간식 안전관리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0 69
9542 국민 관심 질병·행위 통계 100항목 → 150항목으로 제공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3 64
9541 국민 기초생활 보장으로 빈곤 사각지대를 해소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0 8
9540 국민 누구나 '사회문제 해결사'에 도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09 10
9539 국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이해충돌 방지 신고시스템 구축 착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8 13
9538 국민 다섭취 외식 78종 영양성분 확인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3 74
9537 국민 다소비 식품 등 유통식품 방사능검사 확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30 231
9536 국민 밀착형 전자정부 서비스, 삶을 더 편리하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3 42
9535 국민 불편 해소 및 교통안전 확보를 위해 어린이보호구역 시간제 속도제한 본격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30 25
9534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환경정책을 찾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14 9
9533 국민 생활 속 목소리가 정책 공약으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9 36
9532 국민 생활 속에 뿌리내린 전자정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1 55
9531 국민 생활 속으로 파고드는 정부3.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6 97
Board Pagination Prev 1 ...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