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나노필터 등 일반 부직포 마스크 제품 안전관리 강화!
- 산업부, 유해물질 안전요건을 포함한 「방한대 예비안전기준」 공고 -
- 일반 마스크와 KF 마스크(보건용)를 오인하지 않도록 표시구분 명확화 -


정부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일회용 등 일반 부직포 마스크의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 부직포 : 천연·화학·합성 섬유 등을 서로 접합하여 결합한 시트 모양의 천으로, 일회용 마스크 등에 폭넓게 활용 중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은 부직포 마스크의 유해물질 기준치를 신설하고 표시사항 개선한 ‘방한대 예비안전기준’을 제정하여 오는 12월 1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 방한대(防寒帶) : 미세먼지ㆍ유해물질ㆍ비말 차단 등 기능 없이 추위를 막는 마스크(의류제품)

최근 나노필터 등 일부 부직포 소재의 제조공정에서 유해물질인 DMF(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DMAc(디메틸아세트아미드)가 사용되고 있어, 해당 제품에 대한 안전관리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 나노필터 : 100 nm(1천만분의 1 m, 머리카락 대비 1백분의 1굵기) 내외의 섬유가 접합된 부직포
* DMF, DMAc : 부직포 마스크의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유기용제로서, 생식독성, 간 손상, 발암성 등의 유해성을 나타냄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부직포 마스크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가 비말차단 기능이 검증되지 않은 일반 부직포 마스크를 보건용 마스크(KF 마스크)로 오인하는 사례가 많아 명확한 표시 구분도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국가기술표준원은 실태조사*(‘20.6월∼8월), 전문가(식품의약품안전처, 시험인증기관** 등) 논의 등을 거쳐 DMF와 DMAc를 규제하기 위한 기준치를 마련하여 부직포 마스크의 안전관리 기준을 강화하였다.
* 나노필터 마스크 판매 상위 17개 제품 중 14개 제품에서 DMF 또는 DMAc 검출
** 마스크 시험기관 : 의류시험연구원, FITI, KOTITI, 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등
이번 예비안전기준 시행 이후, 부직포 마스크 제조업자는 유해물질(DMF, DMAc) 기준치(5 mg/kg) 이하의 제품만 출시할 수 있으며, 앞으로는 제조공정에서 DMF 또는 DMAc를 사용하는 부직포 마스크는 실질적으로 시장에서 유통되지 못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마스크 제품명에 ‘가정용 섬유제품(방한대)’ 표시를 의무화하여 소비자가 일반 부직포 마스크와 보건용 마스크(KF 마스크)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기준도 신설하였다. 코로나19 감염 예방 등을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가정용 섬유제품(방한대)’ 대신 비말차단 기능이 검증된 ‘보건용 마스크(KF 마스크)’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또한, 소비자가 마스크 제품 선택 시 참고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부직포의 제조방법*과 취급상 주의사항**도 표시하도록 하였다.
* 스펀본드, 멜트 블로운, 전기방사 등 제조방법 명시
** 부직포가 사용된 경우 “세탁할 경우 사용할 수 없음”으로 표시

11월 10일 공고하는 ‘방한대 예비안전기준’은 1개월의 유예기간을 거쳐 12월 11일부터 시행된다. 시행일(12.11.) 이후 출시 또는 통관되는 일반 부직포 마스크 제품부터 적용되며, 이날 이후로는 새로운 기준을 적용하여 제품안전성 조사를 실시하고 불법·불량 제품을 차단할 계획이다. 예비안전기준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국표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국표원 홈페이지(www.kats.go.kr) → 안전기준열람 → 생활용품안전기준 → 방한대 예비안전기준



[ 국가기술표준원 2020-11-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13 에틸렌옥사이드가 허용치 초과 검출된 OLIOSEOTIL 식이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2.04.29
2712 단추형 전지 노출 우려 있는 Smiggle 유아용 손목시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2.04.29
2711 버클 결함 있는 Cosatto 유아용 카시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2.04.29
2710 삼킴 및 질식 우려 있는 Silicone Koala Rattle Collection 딸랑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04.29
2709 CMIT/MIT 함유한 헤어로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2.04.29
2708 사용 중 호스 분리 위험 있는 WORX 압력세척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 2022.04.29
2707 브레이크 레버 이상으로 부상 위험있는 STIHL 전기톱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2.04.29
2706 부품분리 및 삼킴 위험 있는 Kenwood 푸드 프로세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2.04.29
2705 부품 파손으로 사용자 부상 위험 있는 Edelrid 등반용 하네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22.04.29
2704 사이클로핵세인 함유사실 미표시한 T9000-ELEpure 액상 접착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2.04.29
2703 파손 우려 있는 Karrimor 숄더 파우치백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2.04.29
2702 눈 손상 위험 있는 Two Trees 레이저 각인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2.04.29
2701 즐거운 캠핑, 화재 안전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2.04.28
2700 예방접종주간을 맞아 코로나19 백신 접종 참여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22.04.28
2699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확진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4.28
2698 면세 SHOPPING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 2022.04.28
2697 제이엔유샾 / JNUSHOP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2.04.27
2696 전화금융사기 범죄피해 증가에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0 2022.04.26
2695 조각투자에 대한 소비자경보 발령(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 2022.04.20
2694 "가정 내 작업공구로 인한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2.04.19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