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나노필터 등 일반 부직포 마스크 제품 안전관리 강화!
- 산업부, 유해물질 안전요건을 포함한 「방한대 예비안전기준」 공고 -
- 일반 마스크와 KF 마스크(보건용)를 오인하지 않도록 표시구분 명확화 -


정부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일회용 등 일반 부직포 마스크의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 부직포 : 천연·화학·합성 섬유 등을 서로 접합하여 결합한 시트 모양의 천으로, 일회용 마스크 등에 폭넓게 활용 중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은 부직포 마스크의 유해물질 기준치를 신설하고 표시사항 개선한 ‘방한대 예비안전기준’을 제정하여 오는 12월 1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 방한대(防寒帶) : 미세먼지ㆍ유해물질ㆍ비말 차단 등 기능 없이 추위를 막는 마스크(의류제품)

최근 나노필터 등 일부 부직포 소재의 제조공정에서 유해물질인 DMF(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DMAc(디메틸아세트아미드)가 사용되고 있어, 해당 제품에 대한 안전관리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 나노필터 : 100 nm(1천만분의 1 m, 머리카락 대비 1백분의 1굵기) 내외의 섬유가 접합된 부직포
* DMF, DMAc : 부직포 마스크의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유기용제로서, 생식독성, 간 손상, 발암성 등의 유해성을 나타냄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부직포 마스크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가 비말차단 기능이 검증되지 않은 일반 부직포 마스크를 보건용 마스크(KF 마스크)로 오인하는 사례가 많아 명확한 표시 구분도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국가기술표준원은 실태조사*(‘20.6월∼8월), 전문가(식품의약품안전처, 시험인증기관** 등) 논의 등을 거쳐 DMF와 DMAc를 규제하기 위한 기준치를 마련하여 부직포 마스크의 안전관리 기준을 강화하였다.
* 나노필터 마스크 판매 상위 17개 제품 중 14개 제품에서 DMF 또는 DMAc 검출
** 마스크 시험기관 : 의류시험연구원, FITI, KOTITI, 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등
이번 예비안전기준 시행 이후, 부직포 마스크 제조업자는 유해물질(DMF, DMAc) 기준치(5 mg/kg) 이하의 제품만 출시할 수 있으며, 앞으로는 제조공정에서 DMF 또는 DMAc를 사용하는 부직포 마스크는 실질적으로 시장에서 유통되지 못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마스크 제품명에 ‘가정용 섬유제품(방한대)’ 표시를 의무화하여 소비자가 일반 부직포 마스크와 보건용 마스크(KF 마스크)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기준도 신설하였다. 코로나19 감염 예방 등을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가정용 섬유제품(방한대)’ 대신 비말차단 기능이 검증된 ‘보건용 마스크(KF 마스크)’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또한, 소비자가 마스크 제품 선택 시 참고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부직포의 제조방법*과 취급상 주의사항**도 표시하도록 하였다.
* 스펀본드, 멜트 블로운, 전기방사 등 제조방법 명시
** 부직포가 사용된 경우 “세탁할 경우 사용할 수 없음”으로 표시

11월 10일 공고하는 ‘방한대 예비안전기준’은 1개월의 유예기간을 거쳐 12월 11일부터 시행된다. 시행일(12.11.) 이후 출시 또는 통관되는 일반 부직포 마스크 제품부터 적용되며, 이날 이후로는 새로운 기준을 적용하여 제품안전성 조사를 실시하고 불법·불량 제품을 차단할 계획이다. 예비안전기준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국표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국표원 홈페이지(www.kats.go.kr) → 안전기준열람 → 생활용품안전기준 → 방한대 예비안전기준



[ 국가기술표준원 2020-11-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91 신용카드를 이용한 지방세 등 대납사기를 조심하세요 -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1 2020.02.06
1890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문자 관련 보이스피싱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7 2020.02.03
188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팩트체크 8가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20.02.05
1888 신체부위가 끼일 위험있는 유아용 안전문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8 2017.06.02
1887 신학기 문구용품 안전주의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6 2021.03.30
1886 신학기 초등학생 교통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9.08.22
1885 신학기 학교생활 시작, 인플루엔자·홍역·수두 등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02.27
1884 신학기용품, 유 아용품 의류 등 53개 제품 리콜 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04.09
1883 실내 롤러스케이트장, 안전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19.12.13
1882 실내 인테리어용 시트지, 카드뮴과 납 다량 검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4 2016.11.28
1881 실내용 페인트, 피부 과민반응 유발 우려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18.07.23
1880 실데나필 성분 함유되어 부작용 위험이 있는 Evelle Hilti 건강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2.05.04
1879 실데나필 성분 함유되어 부작용 위험이 있는 Wonderfull Honey 건강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2.05.04
1878 실리카겔 봉지 포장이 찢어진 Edison mama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3.11.21
1877 실리카겔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Nestle 코코아 분말(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3.01.13
1876 실리카겔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Nestle 코코아 분말(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23.01.13
1875 실명을 유발할 수 있는 VEVOR 레이저 각인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1.10.28
1874 실손 보상이 된다는 의사 말만 믿고 고가의 신의료기술 치료를 받았다가는 큰 낭패를 당할 수도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3.20
1873 실제 체온보다 낮게 표시되는 Beurer 비접촉식 체온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3.05.26
1872 심폐소생술 교육으로 물놀이 안전사고 대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9 2017.06.23
Board Pagination Prev 1 ...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