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현황은 11월 5일 0시 기준 약 1,791만 건*이 등록되었으며, 이 중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자의 접종건수는 1,213만 건이라고 밝혔다.


   * 예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에 자발적으로 입력된 유료접종 578만 건 포함


【접종 대상자별 접종현황(11.5일 0시 기준)】


구분

대상자()

접종실적(, %)

사용백신

무료

유료

생후

6개월

-12

 

2

접종자

(9.81))

1

409,064

226,047

5,555

231,602

민간 자체

구매 백신

(55.3)

(1.4)

(56.6)

2

109,489

4,016

113,505

(26.8)

(1.0)

(27.7)

1회 접종자

(9.25)

4,781,861

3,351,581

176,101

3,527,682

(70.1)

(3.7)

(73.8)

임신부(9.25)

304,295

111,873

1,206

113,079

(36.8)

(0.4)

(37.2)

13-18(10.13)

2,840,393

1,380,363

145,600

1,525,963

조달계약

백신

(48.6)

(5.1)

(53.7)

62세 이상

70세 이상

(10.19)

5,669,201

4,214,834

136,796

4,351,630

(74.3)

(2.4)

(76.8)

62-69(10.26)2)

4,983,539

2,042,366

226,211

2,268,577

(41.0)

(4.5)

(45.5)

18,988,353

11,436,553

695,485

12,132,038

 


 1) 2회 접종대상자의 경우, 9월 8일부터 사업 추진하였으나 9월 22일∼24일 일시 중단
2) 만 62∼69세의 경우, 10월 26일부터 사업 시행이나 지역특성, 당일진료 등의 사유로 예외인정 되는 경우 10월 19일부터 무료접종 가능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 현황 >


□ 질병관리청은 ’20-’21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사례로 1,787건(11.05일 0시 기준)이 신고 되었으며,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신고된 사망 사례는 총 94건(11.05일 0시 기준)으로 87건은 역학조사 및 피해조사반 심의 결과, 사망과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으며, 7건은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다.


 ○ 신고 된 사망사례는 70대 이상이 83.0%(78건)였고, 만 70세 이상 어르신 국가 예방접종 지원 사업이 시작된 10월 셋째 주(10.19~25일)에 신고가 집중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 경남, 전북, 전남, 대구, 경북에서 75.5%(71건)가 신고 되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사망 신고사례 현황(11.5일 0시 기준)】


사망신고 시기

성별

연령대

60대 미만

60

70

80대 이상

94

50

44

8

8

40

38

10.18

1

1

0

1

0

0

0

10.1925

60

32

28

4

2

27

27

10.2611.1

24

13

11

3

4

10

7

11.211.4

9

4

5

0

2

3

4


    * 10.16.∼11.5 00:00까지 사망사례 건수 (중증신고 후 사망사례 포함)


사망신고 시기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94

13

4

9

3

1

3

0

0

13

4

2

5

10

8

8

10

1

10.18

1

 

 

 

1

 

 

 

 

 

 

 

 

 

 

 

 

 

10.1925

60

8

2

5

1

1

2

 

 

6

2

 

3

6

8

6

9

1

10.2611.1

24

5

1

3

1

 

1

 

 

5

1

2

2

2

 

 

1

 

11.211.4

9

 

1

1

 

 

 

 

 

2

1

 

 

2

 

2

 

 


    * 10.16.∼11.5 00:00까까지 사망사례 건수 (중증신고 후 사망사례 포함)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사망까지 경과 시간은 57건(60.6%)에서 48시간 이상 소요되었고, 24시간 미만은 17건(18.1%)이었다.


【사망 신고사례 시기별 접종일 및 접종 후 사망까지 기간(11.5일 0시 기준)】


사망신고 시기

접종일

접종사망 경과 시간

10.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11.1

11.2

24h

24

48h

48

72h

72h

94

7

43

21

10

5

0

0

0

0

3

0

2

1

0

2

17

20

13

44

10.18

1

1

-

-

-

-

-

-

-

-

-

-

-

-

-

-

-

1

-

-

10.1925

60

4

34

13

8

1

0

0

0

-

-

-

-

-

-

-

11

14

11

24

10.2611.1

24

1

7

7

1

3

0

0

0

0

3

0

1

1

0

-

3

4

2

15

11.211.4

9

1

2

1

1

1

 

 

 

 

 

 

1

 

 

2

3

1

 

5


 ○ 11월 4일 개최된 피해조사반 신속대응 회의에서 추가된 사망사례 4건 대해 인과성 여부를 검토한 결과 사망과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 검토한 사망 사례는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급성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아나필락시스에는 해당하지 않았고, 동일 의료기관, 동일 날짜, 동일 제조번호 접종자들을 대상으로

이상반응 여부를 확인한 결과 예방접종 후 중증 이상반응 사례는 없어 백신의 이상이나 접종 과정상의 오류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하였다.


   - 11.4일까지 총 87건에 대해 개별사례별로 기초조사 및 역학조사 결과, 부검결과, 의무기록, 수진기록 등을 검토한 결과, ① 모든 사망사례에서 사망당시 백신의 이상반응으로 추정되는 소견이 없음, ② 기저질환(심혈관계 질환, 뇌혈관계 질환, 당뇨, 만성 간질환, 만성신부전, 부정맥, 만성폐질환, 악성 종양 등)의 악화로 인한 사망가능성이 높음, ③ 부검 결과 명백한 다른 사인이 있음(대동맥 박리, 급성심근경색증, 뇌출혈, 폐동맥 혈전색전증 등), ④ 임상적으로 사망에 이른 다른 사인이 있음(뇌출혈, 심근경색, 질식사, 패혈증 쇼크, 폐렴, 신부전 등) 등의 이유로 지금까지 검토한 사례 모두 사망과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인정되지 않아 백신 재검정이나 국가예방접종사업 중단을 고려할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11.4일까지 신고 된 사망 사례 총 94건 중 11.4일까지 45건에 대해 부검을 시행하였으며, 49건은 시행하지 않았다.


 ○ 추가로 확인된 사망 사례 7건에 대해서는 조사 중이며, 지속적으로 인과성 확인, 추가 조사 및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다.


□ 질병관리청은 11월 5일(목)부터 만19세~61세* 장애인연금·수당, 의료급여 수급권자를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한시지원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 주민등록번호 상 출생연도를 적용(1959. 1. 1. ∼ 2001. 12. 31. 출생자)


 ○ 접종이 가능한 지정의료기관은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예방접종 도우미 누리집(https://nip.kdca.go.kr)* 또는 예방접종도우미 이동통신 응용프로그램*(앱)을 통해 조회 가능하며, 사전에 병·의원 예약 후 접종을 받을 수 있다.


   * 예방접종도우미 > 예방접종관리 > 지정의료기관 찾기 > 장애인 연금·수당, 의료급여 수급권자 인플루엔자 지정의료기관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인플루엔자 유행수준은 예년보다 낮고 유행시기가 늦어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으로 예방접종을 너무 서두르지 마시고 건강상태가 좋은 날에 예방접종을 받아주시기 당부” 드리며,


 ○ “접종 대기 중에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예진 시 아픈 증상이 있거나 평소에 앓고 있는 만성질환, 알레르기 병력은 반드시 의료인에게 알리시고, 접종 후 반드시 의료기관에서 15~30분간 이상반응 여부를 관찰하며, 접종 당일은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쉬는 등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한 주의사항을 강조“하였다.


 ○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의 통증, 빨갛게 부어오름, 부종이나 근육통, 발열, 메스꺼움 등 경미한 이상증상은 접종 후에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부분 1-2일 이내에 호전된다. 그러나 접종 후 호흡곤란, 두드러기, 심한 현기증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으시길 안내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질병관리본부 2020-11-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850 백일해·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최근 4주 크게 유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21 1
13849 식품알레르기, 바로 알고 제대로 관리해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21 1
13848 중고차 구입 시 성능·상태 꼼꼼히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21 1
13847 ‘택배차 강매사기’, 꼼꼼한 계약서 확인으로 예방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21 1
13846 가정용 스탠드 에어컨, 냉방성능·소음 등 제품 간 성능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20 1
13845 데이터 요금 부담없이 무선인터넷 서비스 품질을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20 2
13844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 시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및 뇌기능회복률 향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19 2
13843 다제내성결핵 치료, 알기 쉽게 설명 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19 2
13842 공공임대주택, 자립준비청년의 보금자리로 한걸음 더 가까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19 3
13841 완행 관광열차 타고 추억이 깃든 간이역으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19 3
13840 택시표시등 사용광고 시범운영기간 3년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18 2
13839 2022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취업 현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18 1
13838 말라리아 매개모기 주의, 말라리아와의 싸움은 지금부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18 2
13837 보이스피싱 등 비대면 금융사고 피해 발생시 은행권 자율배상 제도를 통해 보상 받을 수 있는지 꼭 확인해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18 1
13836 전세로 저렴하게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든든전세주택”, 입주자 모집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18 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