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주요 확대추진 내용

 

저소득층의 의료비 본인부담 기준금액을 인하(’21.1월 시행예정)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 (현재) 100만 원 (개선) 80만 원

       - 기준중위 50% 이하 : (현재) 200만 원 (개선) 160만 원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의 입원 중 지원 신청기한을 완화(’21.1분기 시행예정)

- (현재) 퇴원 7일 전까지 신청 (개선) 퇴원 3일 전까지 신청

 

희소·긴급 의료기기지원범위추가(’20.11월 중 시행예정)

- (현재) 미지원 (개선)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를 통해 공급되는 의료기기 구입 비용 지원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재난적의료비 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에 따른「재난적의료비지원 정책심의위원회」(위원장 보건복지부 2차관, 이하 위원회)를 11월 2~4일(3일간) 개최했다고 밝혔다.

 ○ 코로나19 유행 대비 사회적 거리 두기에 따라 서면회의로 개최된 위원회는 보건복지부, 건보공단, 의료계, 환자·소비자단체, 사회복지 전문가, 공익대표 등 위원 총 13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원 참여했다.


재난적의료비 지원사업주요 내용

- (개요) 질병·부상 등으로 인한 치료·재활 과정에서 소득·재산 수준 등에 비추어 과도한 의료비(연소득의 15%수준)가 발생한 경우 의료비 본인부담금의 50%연간 3,000만 원 이내 지원

- (대상) 준중위소득 100% 이하 중심 지원(재산합산액이 54000만 원 초과 경우 제외)

- (대상질환) 입원은 모든 질환, 외래는 중증질환(, 뇌혈관질환, 희귀질환, 증증난치질환, 중증화상질환)

- (지원범위) 본인부담상한제 적용을 받지 않는 항목(예비급여, 선별급여 등) 법정본인부담금 비급여(미용·성형, 특실이용료 등 제외)

 

 

□ 이번 위원회에서는 코로나19 유행 대응 중 저소득층 등의 의료안전망을 강화하기 위해 ①의료비 본인부담 기준금액 인하, ②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 계층의 입원 중 지원 신청기한 완화, ③희소·긴급 의료기기 비용에 대한 지원 등을 의결했다.

 ○ 먼저, 지원대상자 선정기준인 의료비 부담 기준금액(본인부담의료비)을 인하해 의료안전망 역할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은 당초 100 → 80만 원 초과, 기준중위소득 50%이하 가구는 당초 200 → 160만 원 초과로 확대한다.

      * 「재난적의료비 지원을 위한 기준 등에 관한 고시」 개정 후 시행(’21.1월 예정)

 ○ 또한, 현재 입원 중 지원 신청할 경우 퇴원 7일 전까지 신청해야 하는 기한을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퇴원 3일 전까지로 완화하였다.

  - 이는 정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 간의 전산연계로 재산·소득 요건 자격 확인을 위한 행정처리 기간 단축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 이를 통해 입원일이 7일 미만이거나, 퇴원 7일 전까지 신청하지 못하여 입원 중 의료비 지불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 등이 줄 것으로 기대한다.

     * 「재난적의료비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개정 후 시행(’21.1분기 예정)

 ○ 아울러, 희귀·난치질환 치료에 필수적이나 지원범위에 제외되었던 혈관용 스탠트, 카테터삽입기 등 희소·긴급 의료기기 구입비가 지원 범위에 포함된다.

  - 이에 따라 희귀·난치질환자가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을 통해 건강보험에 미등재된 의료기기 구입 시 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 「재난적의료비 지원사업 안내」 개정 즉시 시행(’20.11월 예정)

□ 보건복지부 공인식 의료보장관리과장은 “코로나19 유행이 지속됨에 따라 가계소득 영향이 클 수 있는 저소득층의 재난적의료비 발생 가능성이 높아져 이로 인한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 우려 된다.”라며,

 ○ “이번 의료비 지원기준 인하 등의 재난적의료비 지원 확대를 통해 의료 안전망을 더욱 촘촘히 해 힘든 시기 국민들의 갑작스런 의료비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정부도 계속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20-11-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03 임산부 등 초음파검사 건강보험 적용 확대, 선택진료 환자부담은 절반으로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8 150
11002 수입 미국산 밀과 밀가루에서 미승인 유전자변형 밀 불검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8 130
11001 식약처, 치주 질환에 사용하는 의약품의 효능.효과 변경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8 101
11000 최근 유사수신 혐의업체의 특징과 소비자 유의사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9 83
10999 본인부담상한액 넘는 의료비 건강보험에서 돌려드려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9 88
10998 7월 세계식량가격지수 하락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9 100
10997 공업용 에탄올이 사용된 빙수용 떡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9 251
10996 동물용의약품 기준초과 검출된 수입 활미꾸라지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9 78
10995 2016.9.1일부터「파인」(FINE) 두 글자만 치면 금융생활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129
10994 증권회사에 대한 전문투자형 사모펀드 운용업 최초 허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173
10993 드라이브스루 시설, 보행자 안전대책 마련 시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116
10992 안마의자·타이어 렌탈서비스 분석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132
10991 ’16년 7월 자동차 산업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115
10990 비엠더블유, 한국지엠 리콜 실시(총 13개 차종 12,352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76
10989 폭염 대비 독거노인 보호활동 강화 요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77
Board Pagination Prev 1 ...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