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뇌졸중 재활 장기추적조사 연구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발표

뇌졸중 초기의 집중재활치료 여부가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뇌졸중 이후 사회생활은 직업재활 및 재운전 교육으로 가능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회복을 높이기 위해서 초기 집중재활치료 강조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 장기추적조사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뇌졸중 재활치료가 일상생활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표했다.


   * 뇌졸중 환자의 재활분야 장기적 기능수준 관련요인에 대한 10년 추적조사연구(연구책임자: 삼성서울병원 김연희 교수) <붙임1 참조>


 ○ 고령화의 가속에 따라 뇌졸중 발생은 증가*하며, 의료기술의 발달로 사망률은 감소**하고 후유장애는 증가하고 있다.


   * 응급실 뇌졸중 환자 수(응급의료통계) : ’12년 9만 명 → ’18년 11.3만 명


   ** 뇌혈관질환 사망률(사망원인통계) : ’12년 51.1명/10만 명 → ’18년 44.7명/10만 명


 ○ 이에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초기 치료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치료뿐만 아니라 장애를 줄이기 위한 적절한 재활치료가 필요하다.


□ 뇌졸중 환자 재활 장기추적조사 연구에 따르면, 뇌졸중 발병 후 뇌병변 장애 판정 기준*에 해당하는 환자의 비율은 퇴원 시점 72.3%에서 발병 3년 시점 26.6%로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감소하였다<그림 1>.


   * 뇌병변 장애 판정 기준 : 일상생활동작 수준을 반영하는 수정바델지수(K-MBI) 96점 이하



<그림 1> 뇌졸중 후 일상생활동작 수행 기능 변화


 ○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및 인지기능은 발병 후 18개월까지 지속적으로 호전되나, 65세 이상의 경우 발병 2년 이후에는 기능이 저하되는 변화를 보였다.


<그림 2> 뇌졸중 발병 3년 추적 완료자의 기능변화


 ○ 뇌졸중 환자의 초기 입원 중 집중재활치료 여부가 발병 3개월 시점에서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였다. 또한 발병 3개월 시점의 일상생활동작 수준은 이후 3년까지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회복을 높이기 위해서는 뇌졸중 발병 초기부터 집중재활치료를 통해 기능 회복 증진을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다.


□ 직업을 가지고 있던 뇌졸중 추적환자 중 기능적 독립성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환자 933명의 직업 복귀를 추적한 결과, 발병 6개월 후 직업으로 복귀한 환자는 560명으로 60%의 직업 복귀율을 보였다.


   * 기능적 독립성의 기준 : 기능적 독립성, 인지기능, 독립적 이동이 모두 정상 수준으로 회복


 ○ 고용과 직업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뇌졸중 환자가 다시 직업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은 재활치료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며, 직업 복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직업재활과 함께 뇌졸중 환자의 직업 복귀를 위한 사회적 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또한 뇌졸중 발병 전 운전을 했고, 발병 1년 후 인지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된 뇌졸중 환자 620명 중에 다시 운전을 하게 된 경우는 410명으로 66.1%의 운전 복귀율을 보였다.


 ○ 운전 복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는 남성, 저연령, 높은 운동기능 수준, 발병 7일째의 낮은 뇌졸중 중증도, 운전 복귀 교육을 받은 경우이며, 이에 해당하는 환자는 운전 복귀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 뇌졸중 이후 다시 운전을 할 수 있는지 여부는 사회 활동 및 일상적 활동 등 환자의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운전 복귀 교육 등 재활 교육이 중요하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뇌졸중 환자의 초기 집중재활치료, 직업재활 및 운전 복귀 교육으로 뇌졸중 환자들의 장애를 개선하고 삶의 질 증진과 사회 복귀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라고 강조하며 뇌졸중 초기 집중재활치료를 적극 권고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2020-10-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19 냉동새우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24 18
10318 공공와이파이 이용 편의성 대폭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24 18
10317 2019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24 18
10316 2020년 해외리콜 제품 국내 유통 모니터링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25 18
10315 2021년 초중고 학생 교육급여·교육비, 지금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2 18
10314 분양가상한제 기본형건축비 3월 정기 고시…1일부터 적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2 18
10313 한부모‧조손가족 복지 서비스를 한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2 18
10312 과기정통부 내PC돌보미 서비스 확대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11 18
10311 3.30일 즉각 분리제도 시행, 학대 아동의 안전과 회복을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23 18
10310 정보공개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24 18
10309 국민취업지원제도, 보다 촘촘하고 든든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29 18
10308 행정안전부가 여러분의 「국민비서」가 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29 18
10307 ‘21.7.7일부터 법정 최고금리가 20%로 인하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30 18
10306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7월부터 4.1% 인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30 18
10305 식약처, 천연색소 '락색소' 독성시험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31 18
Board Pagination Prev 1 ...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