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항공서비스, ‘에어아시아제스트’가 소비자피해 접수 가장 많아

이 자료는 즉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해외여행 선호 분위기 속에 항공서비스 이용객이 늘면서 관련 소비자피해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소비자들에게 합리적인 선택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14년1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접수된 항공서비스 관련 피해를 항공사별로 비교분석하였다.

국내외 항공사 관련 피해구제 접수는 총 1,179건으로, 외국 항공사가 63.4%(748건), 국내 항공사가 36.6%(431건)를 차지하였다.

국내외 항공사 통틀어 외국 항공사인 ‘에어아시아제스트’가 여객수 대비 소비자피해 접수 가장 많아

(국내 항공사) 국내 항공사 7개사에 대한 여객 10만 명당 소비자피해 접수건수는 제주항공이 0.64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스타항공 0.57건, 진에어 0.48건 등 모두 1건 미만이었다.

1 

(외국 항공사) 이에 반해 여객수 대비 피해구제 접수 상위 10개 외국 항공사의 경우 에어아시아제스트가 21.86건으로 가장 많았고, 에어아시아엑스 16.36건, 가루다 인도네시아항공 9.42건국내 항공사에 비해 피해 접수가 상당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에어아시아제스트는 국내외 항공사를 통틀어 여객수 대비 소비자피해 접수가 가장 많았다.

2 

피해유형은 ‘위약금 과다 요구·환급 거절’, ‘운송 불이행·지연’이 대부분

소비자 피해유형을 보면 ‘항공권 구매 취소 시 위약금 과다 요구·환급 거절’운송 불이·지연’이 각각‘ 45.2%(533건)와 35.0%(413건)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 외 ’위탁수하물 분실·파손‘이 7.0%(82건), ’환승 및 탑승 정보제공 미흡에 따른 미탑승‘도 3.6%(42건)를 차지하였다.

3 

 소비자피해 합의율은 40.5%로 저조

이번 분석기간 동안 항공사가 소비자원의 합의권고를 받아들여 계약해제, 배상, 환급 등으로 합의처리 된 사건은 40.5%(478건)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이는 지난 분석기간(2013.1~2014.9)합의율(30.1%)에 비해 10.4%p 증가한 것으로, 항공사들이 소비자 피해보상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합의내용은 항공권 대금 환급, 분실물에 대한 배상 등

합의로 종결된 478건의 처리내용을 보면, 항공권 구매 취소 등에 따른 대금 ‘환급’ 56.1%, 수하물 분실 등에 대한 ‘배상’ 29.1%, 누락된 마일리지 적립 등 ‘계약이행 3.6%, 파손된 수하물의 ‘수리·보수’ 2.1%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항공서비스 관련 소비자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 계약해제 시 위약금이 항공사별ㆍ노선별로 다르고 특히 특가항공권경우 항공사가 자체 약관을 내세워 환급을 거절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구매하기 전 약관을 꼼꼼히 확인하고, 기상악화나 공항사정 등의 사유로 인한 지연·결항은 항공사의 귀책사유로 인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배상받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일정을 여유 있게 계획하는 등의 대비가 필요하며, ▲ 외국 항공사 이용 중 지연ㆍ결항, 수하물 관련사고 등이 발생할 경우 항공사에 따라 원활한 피해구제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피해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지연ㆍ수하물 확인서 등의 입증자료를 현지 공항에서 확보할 것을 당부하였다.

 

비교정보는 언론보도 및 공정거래위원회 스마트컨슈머(www.smartconsumer.go.kr)' 등을 통해 공개하고, 소관 부처(국토교통부)에도 전달하여 항공서비스 관련 정책 개선에 활용되도록 할 예정임.

 

[한국소비자원 2015-12-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35 6개월 이상 국내 거주한 외국인 및 재외국민은 7월 16일부터 건강보험 당연적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6 21
1834 6개 홈쇼핑사의 대규모 유통업법 위반 행위에 대한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30 79
1833 65세 이후에도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2 20
1832 65세 이상에 무료 지원하는 폐렴구균 국가예방접종사업, 비용대비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8 54
1831 65세 이상 틀니·인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등 보장성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5 502
1830 65세 이상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사전예약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8 38
1829 65세 이상 어르신의 건강보험 보장율, 67.5%에서 70.6%로 확대(´13→´1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9 126
1828 65세 이상 어르신 치과 임플란트 본인부담 50%에서 30%로 낮아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5 54
1827 65세 이상 노년층 등록장애인 지속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0 7
1826 65세 이상 73%, 6-59개월 54% 인플루엔자 접종 마쳐, 가능하면 11월 15일 이전 완료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5 43
1825 65세 이상 547만명 인플루엔자 접종 완료, 미접종 어르신은 11월 안에 예방접종 받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31 76
1824 65세 어르신, 올해엔 가까운 병.의원에서 폐렴구균 예방접종 맞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9 20
1823 65만 명에게 본인부담상한액 초과 의료비 8,000억 원 환급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14 55
1822 65개 법령 속 숨은 차별 없앤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2 26
1821 64만여 가구에 가구당 50만 원 또는 20만 원 한시 생계지원금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25 15
Board Pagination Prev 1 ... 799 800 801 802 803 804 805 806 807 80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