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보험 가입 시 과거질병 등을 알리지 않으면 보험금 지급 거절될 수 있어

- 현재 및 과거 질병, 전동킥보드 사용 여부 등 반드시 청약서에 기재 필요 -


보험 가입 시 과거 진료사항이나 질병 등을 고지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보험사가 보험금 지급을 거절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3년 6개월간(2017.1.1.~2020.6.30.)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접수된 보험가입자의 고지의무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195건*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35건이 접수되어 전년 동기(28건) 대비 25.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피해구제 신청 건수 : (2017년) 51건 → (2018년) 54건 → (2019년) 55건 → (2020년 6월) 35건

의도하지 않은 고지의무 불이행 관련 피해가 63.6%로 가장 많아

보험가입자의 고지의무 관련 피해구제 신청 195건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의 의도하지 않은 고지의무 불이행’으로 인한 피해가 63.6%(124건)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보험설계사의 고지의무 이행 방해’ 17.9%(35건), ‘고지의무 불이행이 보험사고와 인과관계 부족’ 11.8%(23건) 등이 뒤를 이었다. 

[  사 례 별  세 부 내 용  ]

사례 유형

세부내용

의도하지 않은 고지의무 불이행

기억하지 못해 알리지 않은 경우
단순 진료로 생각해 알리지 않은 경우
질문이 불명확해 알리지 않은 경우 등

보험설계사의 고지의무 이행 방해

보험설계사가 고지할 기회를 주지 않은 경우
부실고지를 권유한 경우 등

보험사고와 인과관계 부족

고지의무 불이행이 보험사고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경우

기타

보험사의 무리한 조사에 대한 불만 등

고지의무 불이행으로 지급 거절된 보험금은 ‘평균 2,480만 원’

보험사가 보험가입자의 고지의무 불이행을 이유로 지급을 거절한 보험금은 평균 2,480만 원이었으며, 최고액은 3억 원에 달했다. 금액대별로는 `1,000만 원 ~ 3,000만 원 미만'이 33.6%(46건)로 가장 많았고, `100만 원 ~ 1,000만 원 미만' 24.8%(34건), ‘100만 원 미만’ 17.5%(24건) 등의 순이었다

                                  [ 고지의무 불이행을 이유로 지급 거절한 보험금 현황 ]

지급 거절 보험금

건수()

비율(%)

100만 원 미만

24

17.5

100만 원 ~ 1,000만 원 미만

34

24.8

1,000만 원 ~ 3,000만 원 미만

46

33.6

3,000만 원 ~ 5,000만 원 미만

14

10.2

5,000만 원 이상

19

13.9

137

100.0


한편, 보험가입자의 고지의무 관련 피해구제 신청 195건 중 당사자 간의 합의가 이루어진 건은 26.7%(52건)에 불과했다.

보험 가입 시 청약서에 경미한 사항이라도 반드시 기재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보험 가입 시 고지의무와 관련된 피해 예방을 위해서 소비자에게 ▲청약서 질문표에 과거 및 현재의 질병 등을 반드시 기재할 것, ▲경미한 진료사항이라도 보험사에 알릴 것, ▲‘전동휠’ 등 개인형 이동장치를 상시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보험사에 알릴 것, ▲‘간편심사보험’도 일반보험과 동일하게 고지의무 사항을 알릴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0-10-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13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미표시된 Cellife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5.20
4312 성분 규격 위반의 우려가 있는 Victory Water 생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5.20
4311 부착지점에 결함이 있는 등산 하네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5.20
4310 배터리 셀 관리가 미흡한 블루투스 스피커(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20
4309 배터리 셀 관리가 미흡한 블루투스 스피커(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20
4308 미세한 조각으로 인해 부상 위험이 있는 아이섀도우(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20
4307 미세한 조각으로 인해 부상 위험이 있는 아이섀도우(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5.20
4306 내용물을 삼킬 위험이 있는 세탁세제(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5.17
4305 내용물을 삼킬 위험이 있는 세탁세제(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4.05.17
4304 내용물을 삼킬 위험이 있는 세탁세제(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5.17
4303 낙상 위험이 있는 Kinderfeets 유아용 그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4.05.17
4302 기준치 초과 증발 잔류물이 검출된 Woru 뒤집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5.17
4301 오픈마켓 경유 사기사이트 FLEX-MALL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4.05.16
4300 화재 및 감전 위험이 있는 Seesil 무선 임팩트 렌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5.13
4299 간헐적으로 비상등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는 넥쏘 차량 무상수리 보증기간 연장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5.13
4298 품질 택에 소재가 잘못 표기된 티셔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5.13
4297 탈락한 부품 삼킴으로 질식 위험이 있는 피규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5.13
4296 청력 보호 효과가 감소된 소음 방지 차단 헤드셋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5.13
4295 질식 및 화상 위험이 있는 지팡이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13
4294 일부 원재료 성분이 표기되어 있지 않은 카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1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