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정용 정수기, 주기적인 위생관리 필요

- 취수부(코크) 등 위생관리에 대한 인식 낮아 -

인천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되는 등 수돗물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고 정수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정수기의 수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더 커지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가정용 정수기 수질에 대한 위생실태를 조사한 결과 상당수 가정집의 위생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조사대상 : 아파트에 거주 중인 40가구에서 사용하는 가정용 정수기 / 조사항목 : 일반세균·총대장균군·진균·pH

아파트 40가구 중 1가구의 정수기 물에서 총대장균군 검출

일반 가정에서 마시는 환경과 동일하게 정수기 물을 멸균병에 채수하여 수질검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대상 40가구 중 직수형·자가관리 1가구의 정수기 물에서 총대장균군이 검출(기준 : 불검출)되었고, 일반세균*은 평균 257CFU**/ml 수준이었다.

   * 현행법상 정수기 관련 일반세균의 기준이 없으나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에서 식수용 수돗물의 기준을 100CFU/ml로 규정하고 있고, 「먹는물 관리법」에서는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정수기에만 제한적인 기준(총대장균군·탁도)을 두고 있음.

   * CFU(Colony Forming Unit, 집락형성단위) : 독자적으로 번식 가능한 세포 군락이 형성된 수

진균(곰팡이균)은 0~4CFU/ml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대한민국약전」 상 밀·옥수수 전분, 꿀 등의 진균 기준(100CFU/g 이하)과 비교하면 안전한 수준이었고, pH도 6.7~7.8로 식수용 수돗물 기준*(5.8~8.5) 이내였다.

   *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별표1

아파트 40가구 중 1가구의 정수기 물에서 총대장균군 검출

정수기의 취수부(코크)를 살균 소독(83% 에탄올)한 후에 정수기 물을 채수하여 시험한 결과 소독 전에 검출됐던 총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았다.

특히 총대장균군이 검출되었던 1가구는 4년간 취수부(코크) 관리를 한 차례도 하지 않아 코크에 검정색 이물질이 묻어나는 등 위생상태가 불량했으나 소독 후에는 총대장균군이 불검출 된 바, 취수부(코크) 소독으로 위생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 약전에 실리지 않은 의약품에 대한 기준(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2014.12.5. 폐지)

또한 일반세균은 취수부 소독 후 평균 126CFU/ml 수준으로 50.8%가 감소했다. 일반세균은 체내에서 직접 병을 일으키는 경우가 거의 없으나 일부는 기회성 병원체*로 기회감염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필터·저수조·직수관 및 취수부(코크) 등에 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 평소에는 병원성이 없으나 면역반응장애 등 특정 환경조건에서 병원성을 갖는 생물체를 지칭함.

한편, 진균은 취수부 소독 후 0~3CFU/ml 검출되어 안전한 수준이었고 pH도 6.7~7.9로 기준 이내에 해당했다.

대부분 가정에서 취수부(코크) 관리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해

조사대상 40가구 중 3가구(7.5%)만이 취수부(코크) 관리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평소에도 관리하고 있었으나 대부분의 가구는 렌탈 업체의 청소 서비스에 위생관리를 위임하고 별도의 관리를 하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가정용 정수기의 위생관리 주체는 소비자이므로, 렌탈 업체의 청소 서비스 여부와 관계없이 정수기 주변부 및 취수부(코크)에 대한 주기적인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정수기를 판매·대여하는 13개 업체*에 ▲렌탈 케어 서비스에 취수부(코크) 소독을 포함시켜 주기적으로 관리하고 ▲취수부(코크)에 대한 위생관리의 필요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소비자들에게 안내 가이드를 제공해 줄 것을 권고해 해당 업체들은 이를 수용해 적극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 LG전자, SK매직, 교원, 바디프랜드, 원봉, 위닉스, 청호나이스, 코웨이, 쿠쿠, 한국암웨이, 현대렌탈서비스, 현대렌탈케어, 피코그램 총 13개 업체

아울러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들에게 첨부된 「가정용 정수기의 선택 및 위생관리 가이드」를 참고하여 정수기의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소비자원 2020-10-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70 2019년 2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5 12
6769 새학년·신학기 고민은 청소년상담1388로 지금 연락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5 11
6768 일자리 자동상담 서비스 챗봇(Chatbot)‘고용이’를 만나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5 11
6767 갑작스런 ‘추가 전기요금’ 부담 줄인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5 15
6766 행정정보공동이용 확대로 국민의 서류 제출 불편 해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4 8
6765 국민이 이해하기 어려운 한자어 공문서에서 퇴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4 8
6764 2018년 성희롱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4 34
6763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기관별 만족도 공개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4 13
6762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 더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4 40
6761 ‘평창의 봄’ 관람 신청 예약 시작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4 13
6760 야영장 화재안전 및 위생 기준 강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4 36
6759 대폭 인상된 초·중·고 교육급여·교육비, 지금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4 13
6758 건설근로자공제회, 대학생 자녀 교육비 지원 신청.접수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4 36
6757 “과정평가형 자격 제도 통해 1년 과정에서 산업기사 배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4 9
6756 화물운송사업을 양도한 사업자의 위반행위 때문에 양수한 사업자가 행정처분 받는 것은 잘못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4 60
Board Pagination Prev 1 ...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